한은‧통계청 '2022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 발표
법인 625.1조↑, 정부 134.2조↑, 가계·비영리단체 317.8조↓
부동산값 주거용 하락, 비주거용 상승탓에 희비
가구당 2021년 5.4억원→5.2억원으로 4.1% 줄어
가계 순자산 중 부동산 비중 74.6%…0.6%p 하락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자산과 비금융자산을 합친 순자산이 사상 처음 감소했다. 가계의 보유 비중이 높은 주거용 건물과 토지가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경제주체가 보유한 국민순자산도 통계 편제가 시작된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2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민순자산은 2경 380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442조원(2.2%) 증가했다. 국민순자산 증가율 2.2%는 지난 2008년 국민대차대조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기록이다.
국민순자산은 금융·비금융법인, 일반정부, 가계 및 비영리법인의 순자산을 모두 합친 국부(國富)의 개념이다.
특히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법인의 순자산은 1경 1237조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318조원(-2.8%) 줄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가구당 순자산은 5억 2071만원으로, 2021년 말 5억 4301만원보다 4.1%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구당 순자산이 감소한 것도 사상 처음이다.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서는 가계 부문만을 따로 추계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구당 순자산 액수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을 추계 가구수로 나눠 추정한 값이다.
지난해 제도부문별 비금융자산 증감을 보면 비금융법인은 382조원(6.5%), 일반정부는 183조원(4.4%), 금융법인은 14조원(6.4%)가 각각 증가했다. 그러나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비금융자산이 303조원 감소했다. 가계의 경우 주거용건물과 주거용건물부속토지의 비중이 높은데, 지난해 비주거용건물과 부속토지 자산은 크게 증가한 반면 주거용은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비금융자산 중 생산자산의 주거용건물은 77조원이 감소했고, 비주거용은 161조원 증가했다. 비생산자산의 건물부속토지도 주거용은 266조원이나 줄었지만, 비주거용은 84조원 늘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 순자산도 15조원 줄었다. 현금·예금이 151조원 증가했으나 주가 하락 등으로 지분증권·투자펀드가 152조원 감소한 영향이다.
작년 말 기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의 구성 비중을 보면 ▲ 주택 5728조원(51.0%) ▲ 주택 이외 부동산 2651조원(23.6%) ▲ 현금·예금 2290조원(20.4%) ▲ 보험 등 1545조원(13.8%) ▲ 지분증권 등 982조원(8.7%) 순이었다.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이 가계 순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75.2%에서 지난해 74.6%로 0.6%p 축소됐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와 금융·비금융법인, 일반정부의 순자산을 모두 더한 '국민순자산'은 지난해 말 2경 380조원으로, 1년 전(2021년 말)보다 442조(2.2%) 늘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지만, 증가율(2.2%) 자체는 지난 2008년 통계 편제 이후 가장 낮았다.
국민순자산 규모는 명목 국내총생산(2천162조원)의 약 9.4배로, 배수가 전년(9.6배)보다 낮아졌다. 국민순자산 증가율(2.2%)이 명목 GDP 증가율(3.9%)을 밑돈 탓이다.
국민순자산 증가 폭이 둔화한 것은,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비금융자산의 명목 보유손익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국민순자산의 증감 요인 가운데 자산순취득(거래요인)은 2021년 326조원에서 지난해 276조소폭 축소되는 데 그쳤다. 그러나 거래 외 증감에서 '명목 보유손익'이 2021년 1358조원 이익에서 74조원 손실로 전환됐다. 명목 보유손익이 손실을 나타낸 것은 지난 1998년(-140조원) 이후 처음이다.
김민수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대차대조표(B/S) 팀장은 "지난해 거래 요인에 해당하는 자산순취득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자산가격이 하락하면서 명목보유손익이 큰 폭의 이익에서 손실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부동산 자산(1경 4710조원)은 1년 전보다 35조원 감소하면서, 전체 비금융자산에서 부동산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77.1%에서 지난해 75.8%로 줄었다. 주택가격 하락으로 지난해 전체 주택 시가총액(6209조원)이 1년 전보다 343조원(5.2%) 줄어든 탓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배율도 1년 새 3.1배에서 2.9배로 낮아졌다.
건물을 뺀 토지만 보면 토지자산은 1.1% 감소하면서 작년 말 토지 자산의 GDP 대비 배율(4.9배)도 전년(5.1배)보다 하락했다.
지난해 전체 비금융자산 가격은 0.4% 하락했다. 비금융자산 가격이 하락한 것 역시 지난 1998년(-4.1%) 이후 처음이다.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건설자산 가격 상승률이 큰 폭으로 둔화한(+8.2%→+1.1%) 가운데 토지가격이 하락 전환(+8.1%→-2.2%) 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