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윤 정부 들어 4번째 동해서 연합 MD 훈련
중·러 해군, 동해 첫 출동…"동해, 중요한 전략 통로"
한·미·일, 북 핵 위협 대응 '3국 연합 훈련' 강화한다
평화의 바다였던 동해가 이젠 각국의 '공용 군사 훈련장'으로 전락했다.
한·미·일 3국이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독도 인근을 비롯해 동해상에서 미사일 방어훈련과 대잠수함전을 빈번하게 실시하고 있고, 중·러도 처음으로 동해에서 연합군사훈련에 돌입한다.
게다가 북한이 최근 동해 배타적 경제수역(EEZ) 안에서 미국 정찰기가 정탐 활동을 했다고 주장하며 무력 대응을 경고하고 나서 동해 일대에서 군사적 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해군에 따르면, 한·미·일 3국은 16일 동해 공해상에서 연합 미사일 방어훈련을 벌였다. 지난 12일 북한이 두 번째 고체연료를 사용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을 발사한 데 대한 맞대응 차원이다.
한·미·일, 윤 정부 들어 4번째 동해서 연합 MD 훈련
율곡이이함과 존핀함, 마야함 등 3국의 이지스 구축함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된 이날 훈련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 상황을 상정해 가상의 탄도미사일 표적에 3국 함정이 대응하는 절차를 숙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윤 정부 출범 이후 한·미·일 3국이 독도 인근을 포함해 동해상에서 미사일 방어훈련을 진행한 것은 작년 10월, 올해 2월과 4월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다.
앞서 한·미 양국은 북한의 ICBM) 화성-18형을 발사 이튿날인 13일 미국의 전략폭격기 B-52H 가 참가한 가운데 한국 공군의 F-15K와 연합 공중훈련을 실시했다.
14일에는 박진 외교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아세안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만나 북한 규탄 공동 성명을 채택했다.
한·미·일, 북 핵 위협 대응 '3국 연합 훈련' 강화한다
3국은 공동 성명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북한 미사일 경보정보 실시간 공유, 해상 미사일방어 훈련, 대잠수함전 훈련, 해양 차단 훈련을 포함한 3국 간 안보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18일에는 서울에서 핵협의그룹(NCG) 첫 회의가 열리며, 8월에는 미국에서 한·미·일 3국 정상회담도 개최돼 안보 현안이 논의될 전망이다.
중국과 러시아도 연합군사훈련 장소를 처음으로 '동해'로 옮겼다. 중국 국방부는 15일 "러시아가 일본해(동해) 중부에서 진행될 중국 인민해방군 북부전구의 '북부·연합-2023' 훈련에 참가하고자 해·공군 전력을 파견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중국 관영 글로벌 타임스가 전했다.
중국 국방부에 따르면, "전략적 해상 항로의 안전 수호"를 주제로 한 이번 훈련은 중·러 양국 군의 조율 능력을 제고하고 다양한 안보 도전에 대처하는 것은 물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함께 유지하기 위해 마련됐다. 훈련에 참가하기 위해 순항 미사일 구축함 치치하얼과 구이양, 순항 미사일 소형 구축함 자오좡과 리자오, 4대의 헬기를 탑재한 종합 보급함 타이후 등으로 구성된 중국군 함대가 이날 산둥성 칭다오의 해군기지를 떠났다.
중·러 해군, 동해 첫 출동…"동해, 중요한 전략 통로"
중국 군사전문가인 쑹중핑은 중·러 양국 해군이 '동해 중부 지역'을 연합훈련 장소로 택한 배경과 관련해 먼저 이곳은 국제법에 따라 군사훈련을 할 수 있는 국제수역이라는 점을 거론했다. 그는 "또한 동해는 중국과 러시아에 중요한 전략적 통로"라며 "소야 해협, 대한 해협, 쓰가루 해협 등 3개 해협은 모두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 국가안보와 연관돼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러시아 해군 태평양함대 소속 호위함 등이 지난 5∼11일 상하이를 방문해 중국 해군과 편대 기동, 통신, 해상 수색 등으로 구성된 연합훈련을 실시했으며, 6월초엔 양국 공군이 동해와 동중국해, 서태평양에서 '제6차 연합 공중 전략순찰'을 실시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양국 군용기는 남해와 동해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진입했다가 빠져나갔다.
쑹중핑은 중국과 러시아의 공군과 해군 전력이 동시에 참가하는 '연합 전략 공중·해양 전략순찰'이 조만간 조직될 것이며, 이 연합훈련은 양국의 협력 강화뿐 아니라 실전 능력을 높임으로써 실전 상황을 더 많이 반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일과 중·러의 대립 구도는 지난 13일 ICBM 화성-18형 발사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해 서방국이 소집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에서도 선명하게 드러났다.
한·미·일은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의 불법적이고 부당한 탄도미사일 개발"을 사실상 두둔하고 있다고 비판하는 반면, 중·러는 전략자산 전개를 비롯한 빈번한 한·미, 한·미·일 연합군사훈련이 한반도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맞섰다. 끝 없는 평행선을 긋고 있는 셈이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