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인터뷰
"금융정보분석원이 작년 초 수사의뢰…근데 왜 지금?"
"영장 기각은 범죄 혐의와 관련해 아무 것도 없다는 것"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9일 아침 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자신을 둘러싼 ‘60억 코인 투자’ 논란에 대해 입을 열었다.
김 의원은 검찰 수사에 대해 “정치수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금융정보분석원에서 수사의뢰했던 시점이 지난해 초라고 들었는데, 이걸 들고 있다가 특정 언론사를 통해 꺼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또 계좌 압수수색 영장이 기각된 사실에 대해 “범죄혐의와 관련된 것들이 인정되지 않았다고 평가해야 할 것 같다”며 “영장이 기각될 정도로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내부정보를 활용해 고점에서 매도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서는 “폭락 시점에 매도했다”고 잘라 말했다. “만약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팔았다면 고점 혹은 폭락 직전에 팔아야 하지 않느냐”고 되묻기도 했다. 또 내부자 정보를 취득한 적도 없고, 가상화폐 관계자와 말을 나눈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하다못해 말단에 있는 사람하고도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투자금 출처에 대해서는 “전세 만기가 도래해 전세자금으로 LG디스플레이를 샀고, (이를 매도해) 가상화폐 초기 투자자금으로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투자하느라 월세에 살고 있다”는 말도 전했다.
전날 김 의원은 <입장문>을 내고 지난 2021년 1월 보유하고 있던 LG디스플레이 주식 전량을 매도해 9억 8500여만 원의 예수금이 발생했으며, 한 달여 뒤 가상화폐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다음은 방송인 김어준 씨와 나눈 일문일답이다. 일부 내용은 생략했다.
-가상화폐 투자는 언제부터 시작하신 거예요?
“2016년 2월 지인 추천으로 8000만 원 투자했습니다.”
-돈은 어떻게 마련한 거예요?
“제가 변호사 일을 하고 있을 때였기 때문에 내돈내투(내 돈으로 내가 투자) 한 겁니다.”
-위믹스 초기 투자금이 9억 8574만 원이라고 공개했어요. 자금 출처를 수사한다는 기사가 나왔던데?
“전세가 만기 도래해서 그 전세 자금 6억을 투자해 LG디스플레이를 산 겁니다.”
-전세 자금 뺀 뒤 어디서 살았어요?
“안산으로 이사해 월세로 살고 있어요. 그 전세 자금 가지고 가상화폐 초기 투자 자금으로 활용한 겁니다.”
-투자 과정에서 본인 명의가 아닌 계좌를 사용한 적 있어요?
“단 하나도 없습니다.”
-차입한 적은 있습니까?
“차입한 적도 없습니다.”
-개인한테 빌린 적 있어요?
“없습니다.”
-순전히 본인 돈이 본인 계좌에 있었고, 다 실명이고, 그걸로만 거래했다?
“네, 마이너스 통장 하나가 있긴 하지만 그것도 다 제 명의고 빌린 돈이 하나도 없습니다.”
-누군가에게 빌려준 적은 있습니까?
“형편 어려운 후배에게 700만 원쯤 빌려준 적 있습니다.”
-투자는 왜 위믹스에 했어요?
“가상화폐 발행 회사들이 실체가 없거나 페이퍼 회사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위믹스는 상장사인 대형사인 위메이드가 발행한 코인이었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했습니다.”
-나중에 주가가 폭락했지만 그때는 그렇게 판단했다는 거네요.
“그때는 주목도가 높은 코인이었죠.”
-종편에서 폭락 직전에 매도하고 내부자 정보 취득한 거 아니냐는 식으로 문제 제기하거든요?
“만약에 미공개 정보를 이용했다면 고점에서 팔았어야 하고, 내부자 정보를 취득하려면 그 업계에 아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말단에 있는 사람하고도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어요.”
-위믹스 코인 60억 원어치를 인출했다, 이게 (의혹의) 출발이었어요. 인출해서 빼돌린 거 아니냐, 재산 신고도 안 하고. 실명제 직전 현금을 인출한 적 있습니까?
“작년 1월부터 3월까지 4차례쯤 440만 원 인출, 부모님 용돈으로 (드렸습니다.)”
-그러면 ‘60억 원을 인출했다’는 것은, (언론이) 의도적으로 ‘인출’이라는 단어를 쓴 것 같은데, 우리가 보통 금융거래에서 인출이라고 하면 현금 인출밖에 없거든요. 그러니까 인출했다면 60억 어디 갔어, 이렇게 돼 있어요.
“(인출이 아니고) 이체입니다. 다른 거래소 실명 인증이 된 제 지갑 주소로 이체한 겁니다.”
-그 과정에서 타인에게 이체하거나 다른 사람 명의의 계좌를 쓴 적이 있어요?
“없습니다.”
-인출이 아니라 이체했을 뿐이다, 그 이체한 계좌들도 다 본인 계좌예요?
“실명인증이 된 제 계좌만 썼어요.”
-실명제 전에 실명인증 안 된 계좌를 쓴 적 있어요?
“없습니다.”
-실명제 하기 전부터 본인은 실명 계좌만 썼어요? 단 한 번도 다른 사람의 계좌를 쓴 적이 없다? 전체 거래내역을 확인해 보면 다 나온다는 거죠?
“그렇습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가상화폐 지갑 주소로도 타인이 저한테 보낸 것이 없습니다.”
-거래 전체를 실명 확인된 계좌로만 했다, 그래서 언제든지 당국이 들여다보고 싶으면 들여다볼 수 있다, 그런데 지금 FIU(금융정보분석원)에서 이상 거래로 통보가 됐다는 거 아닙니까? 수사는 그렇게 시작된 것이라고 검찰은 얘기할 텐데, FIU에서 왜 이걸 이상 거래로 통보한 겁니까?
“저한테는 통보된 게 전혀 없고요, 아마 FIU에서는 일정 금원 이상인 경우에는 이상거래로 수사의뢰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체할 때 증빙 자료를 내야 된다면서요?
“자금 출처의 금원, 어떤 코인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거래 내역 등 증빙자료를 첨부해 소명해야 합니다. 다 소명했습니다.”
-검찰은 수사에 들어갔나 봐요. 그러니까 계좌 영장을 청구했겠죠. 계좌 영장은 기각되는 경우가 거의 없거든요. 근데 본인 경우에는 기각됐어요. 무슨 의미인가요?
“범죄 혐의와 관련된 것들이 아예 인정이 안 됐다, 라고 평가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영장을 보면 허무할 거예요. 몇 페이지 안 돼서.”
-판사가 이거 뭐야, 하고 기각해버렸어요. 영장이 기각될 정도로 아무것도 없다는 거잖아요. 계좌 영장 기각됐으면 기자들(의 의혹 관련기사가) 끝나야 하고, 검찰 강제 수사가 끝나야 되는 건데 왜 계속 할까요?
“정치 수사라고 생각됩니다. FIU에서 수사 의뢰를 했던 시점이 지난해 초라고 들었거든요.”
-1년 이상 들고 있다가 지금 꺼낸 거예요?
“네, 들고 있다가 갑자기 특정 언론사를 통해 흘렸다는 것은 정치 수사 아니냐.”
-100% 정치수사구만! (그러나 자료를 제출하고 소명을 했어도) 기사는 계속 나올 겁니다.
“제가 답답했던 게 해명을 했는데 해명한 거를 또 해명하라고 하니까.”
-해명했는데 못 알아들었거나 못 알아듣는 척하거나, 해명 자료를 자세히 보면 다 들어 있어요. 본인이 자세히 설명하면 그칠 것이라는 착각을 하면 안 된다는 거지. 이것은 정치수사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계속 꼬투리를 잡을 겁니다. 어떻게 하실 생각이세요?
“그래서 저는 아예 (계좌 정보 전체를) 통째로 그냥 검찰에 던져줘 버릴 생각인데.”
-(종편 등의) 기사들은 어떻게 할 거예요?
“허위 보도라든가 이런 것들은 강력하게 법적으로 대응(할 생각입니다.)”
김 의원은 8일 “지난 연휴동안 여러 언론을 통해 사실이 아닌 내용이 보도되고 있어 국민들께 소상히 설명을 드리는 것이 도리라 생각되어 보고드린다”며 페이스북에 <입장문>을 냈다.
김 의원은 <입장문>을 통해 “△가상화폐 초기 투자금은 보유하고 있던 LG디스플레이 매각대금 △대형 거래소에서 실명 계좌를 이용한 거래만 했고, 현금과 가상화폐 이체내역은 모두 투명하게 확인 가능 △대선 기간동안 전체 계좌에서 실물인 현금으로 인출된 것은 440만 원에 불과 △현재 보유하고 있는 가상화폐는 9억 1000여만 원”이라며 관련 의혹에 대해 조목조목 해명했다.
이와 함께 “허위사실에 기초한 의혹 보도를 생산하며 저뿐만 아니라 민주당의 명예를 훼손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할 것”임을 예고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