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지표조사] 민생쿠폰 '경기활성화 도움 될 것' 67%

법인세율 및 대주주 기준 복원 '찬성' 51% '반대' 31%

대통령 국정 운영 '긍정' 65%, 국정 방향 '옳다' 63%

산업현장 폭염 시 휴식규정 '있는 줄 몰랐다' 31%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4개 여론조사 회사가 8월 4~6일(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 대상 전화면접방식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3.1%p. 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316명, 중도 336명, 보수 245명.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결과, 국민의 62%가 지난주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을 ‘긍정 평가(매우+긍정적)’했고, 28%만이 ‘부정 평가(매우+부정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연령대에서 ‘긍정적 평가’ 비율이 ‘부정적 평가’보다 높게 나타났고,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n=445)에서는 ‘긍정적 평가’가 86%, 국민의힘 지지층(n=161)에서는 ‘부정적 평가’가 56%였다. 무당층(n=301)의 경우 ‘긍정적 평가’가 41%, ‘부정적 평가’가 39%로 비슷했다.

 

한국의 외교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균형외교를 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응답이 51%로 ‘한미동맹을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42%에 비해 9%p 높아, 1년 전인 24년 8월 2주 조사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별로 보면, 18~29세(n=154)와 70세 이상(n=152)에서는 ‘한미동맹 강화’가 각각 62%, 55%로 과반을 차지했고, 이념성향별로 보면 진보층(n=316)과 중도층(n=336)에서는 ‘중국과 미국 사이 균형외교’가, 보수층(n=245)에서는 ‘한미동맹 강화’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침체된 경기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매우+다소)’는 인식은 전체의 67%로 응답자 3명 중 2명꼴이었는데, 경제적 계층 인식별 ‘도움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은 상위 61%, 중위 70%, 하위 68%로, 중·하위 계층이 상위 계층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지지정당별로 살펴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n=445)에서는 ‘도움 될 것’이 92%, 국민의힘 지지층(n=161)에서는 ‘도움되지 않을 것’이 69%. 이념성향별로 보면, 진보층(n=316)와 중도층(n=336)에서는 ‘도움 될 것’이 각각 90%, 68%로 높았던 반면, 보수층(n=245)에서는 ‘도움되지 않을 것’이 60%로 높게 나타났다.

산업재해 예방조치 인식: 규제 통해서라도 강화 52%
기업 활동의 자율성과 효율 추구도 보장돼야 44%
노란봉투법 ‘찬성’ 42%, ‘반대’ 38%, 태도유보 19%

최근 정부가 반복적인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기업의 안전관리 의무를 크게 강화하도록 주문한 것에 대해 ‘노동자 안전은 최우선 가치이므로 규제를 통해서라도 강화돼야 한다’는 응답이 52%로 ‘노동자 안전만큼 기업 활동의 자율성과 효율 추구도 보장돼야 한다’는 응답 44%에 비해 8%p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40대 이하 연령층에서는 ‘규제를 통해서라도 강화돼야’ 응답이 58~59%로 과반이었으며, 50대 이상에서는 40~49% 수준으로 나타났고. 이념성향별로 보면 진보층(n=316)에서는 ‘노동자 안전은 최우선 가치이므로 규제를 통해서라도 강화돼야 한다’가 67%, 보수층(n=245)에서는 ‘노동자 안전만큼 기업 활동의 자율성과 효율 추구도 보장돼야 한다’가 64%로 크게 엇갈렸다.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노동조합법 개정안, 일명 노란봉투법에 대해 ‘찬성한다’는 응답이 42%, ‘반대한다’는 38%로 오차범위 내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 보면 진보층(n=316)에서는 ‘찬성한다’가 70%, 보수층(n=245)에서는 ‘반대한다’가 71%로 팽팽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중도층(n=336)에서도 ‘찬성(38%)’과 ‘반대(43%)’ 의견이 다소 엇갈렸다.

법인세율 및 대주주 기준 복원 ‘찬성’ 51%, ‘반대’ 31%

윤석열 정부에서 완화된 법인세율과 주식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는 대주주 기준을 원상 복귀시키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는 응답이 51%로 ‘반대한다’는 응답(31%)보다 20%p 더 높게 나타났다.

 

18~29세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찬성한다’는 응답이 상대 우위를 점한 가운데, 60대(n=174)에서의 ‘찬성’ 비율이 60%로 가장 높았고, 경제적 계층 인식별 상위 계층을 포함한 전 계층에서 ‘찬성’ 의견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념성향별로 보면, 진보층(n=316)과 중도층(n=336)에서는 ‘찬성’ 의견이 각각 67%, 50%로 높았던 반면에 보수층(n=245)에서는 찬성(40%)’과 ‘반대(45%)’ 의견 격차가 크지 않았다.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지난주 보다 ‘긍정’ 1%p 올라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잘하고 있다’(매우+잘함)라는 긍정적 평가는 65%, ‘잘못하고 있다’(매우+못함)라는 부정적 평가는 24%로 조사됐다(모름/무응답 11%). 지난 한 달간 거의 변화가 없다.

 

국정 방향성에 대해서는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매우+대체로)는 응답이 63%,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매우+대체로)는 응답이 27%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 진보층(n=316)과 중도층(n=336)은 ‘올바른 방향’이라는 응답이 각각 92%와 63%로 높았던 반면 보수층(n=245)은 ‘잘못된 방향’이라는 응답이 59%로 조사됐다. 이 역시 지난번 조사 결과와 유사하다.

 

정당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4%, ‘국민의힘’ 16%, ‘조국혁신당’ 3%, ‘개혁신당’ 3%, ‘진보당’ 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태도유보’ (없다+모름/무응답) 30%). 국민의힘은 지난 조사보다 1%p 떨어지며 또다시 최저치를 기록했다.

기후변화 심각성 인식, ‘심각하다’ 92%
산업현장 폭염 시 휴식규정 31%가 비인지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 ‘심각하다(매우+심각함)’는 인식이 92%로 높게 나타난 가운데 ‘매우 심각하다’는 인식이 절반 수준(51%)에 달했고 ‘심각하지 않다’는 고작 7%였다. ‘심각하다’는 인식은 60대(98%), 광주/전라(97%) 및 강원/제주(98%) 지역 거주자에서 특히 높았다.

우리나라의 산업현장에서 폭염 시 일정 시간마다 휴식을 취하도록 정해둔 법 규정을 ‘알고 있다’는 응답이 69%로 절반을 넘었으나 ‘모르고 있었다’는 경우도 전체의 31%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모르고 있었다’는 응답은 18~29세(40%) 및 70세 이상(43%), 대구/경북(39%) 및 강원/제주(38%) 지역 거주자, 주부(43%), 학생(42%)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