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지표조사] 찬성 71%, 반대는 23% 불과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적 평가 지속적 상승세 65%
국정운영 방향, 인사도 ‘잘 한다’ 60%선 상회
검찰 수사·기소권 분리 ‘찬성’ 58% ‘반대’ 29%
부동산 전망 ‘상승’ 25%, ‘보합’ 50%, ‘하락’ 18%
윤석열 재구속은 지극히 당연하게도 국민여론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관한 평가 조사의 거의 모든 항목에서 60% 이상의 높은 지지를 받는 가운데 검찰 기소권 수사권 분리에 대한 여론의 지지도 %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새벽 윤석열 재구속된 가운데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 회사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전국지표조사(NBS)가 재구속 결정 전인 7월 7일~9일(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p, 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280명, 중도 364명, 보수 224명)에서 윤석열 구속 수사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찬성한다’ 71%로 ‘반대한다’ 23%를 압도했다(모름/무응답 6%).
이념성향별로 봤을 때, 진보층(n=280)에서는 ‘찬성’이 93%에 이르렀고, 중도층(n=364)에서도 78%로 높았는데, 보수층(n=244)에서는 ‘찬성한다(45%)’와 ‘반대한다 (52%)’는 응답이 다소 엇갈리게 나타났다. 7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찬성’ 응답 비율이 ‘반대’ 응답을 크게 앞선 가운데, 70세 이상(n=154)에서는 ‘찬성한다’는 응답이 50%로 절반 수준이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부분의 지역에서 ‘찬성한다’는 응답 비율이 ‘반대한다’는 응답보다 높게 나타난 가운데, 대구/경북에서는 ‘찬성한다’가 52%, ‘반대한다’가 42%로 윤 전 대통령 구속 수사에 대한 의견이 다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적 평가, 취임 후 지속적 상승세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잘하고 있다’(매우+잘함)라는 긍정적 평가는 65%, ‘잘못하고 있다’(매우+못함)라는 부정적 평가는 23%로 조사됐다(모름/무응답 12%). 2주 전 조사(6월 4주)보다 긍정적 평가는 3%p 올랐고 부정적 평가는 2%p 내린 것이며, 취임 직후 6월 2주 대비 긍정적 평가가 12%p 오른 것이다.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성에 대해서도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매우+대체로)는 응답이 64%,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매우+대체로)는 응답이 26%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n=453)에서는 ‘올바른 방향’이라는 응답이 93%, 국민의힘 지지층(n=187)에서는 ‘잘못된 방향’이라는 응답이 63%였다.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층(n=364)은 ‘올바른 방향’이라는 응답이 66%, 보수층(n=244)은 ‘잘못된 방향’이라는 응답이 56%로 조사됐다.
“기자회견도 잘 했고, 인사도 잘 했고, 김민석 총리도 잘 할 것”
정당지지도: 국민의힘 20% 이하로 추락
검찰개혁 방향: 찬성(58%)이 반대(29%) 보다 두 배 높아
대통령의 취임 30일 기자회견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응답이 65%, ‘부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응답이 18%였다(모름/무응답 18%).
이재명 대통령의 인사에 대해서도 ‘잘하고 있다’(매우+잘하는 편)라는 긍정적 평가가 60%로 높게 나타났다. ‘잘못하고 있다’(매우+잘못하는 편)라는 부정적 평가는 29%였다(모름/무응답 11%). 더불어민주당(n=453) 지지층에서는 긍정 평가가 91%, 국민의힘 지지층(n=187)에서는 부정 평가가 69%였고 중도층(n=364)은 긍정 평가가 63%, 부정 평가가 26%였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업무 수행을 ‘잘할 것이다’(매우+잘할 것)라는 응답이 62%, ‘잘못할 것이다’(매우+잘못할 것)라는 응답이 25%였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n=453)과 조국혁신당 지지층(n=35)에서는 긍정적 기대가 90%를 상회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n=187)에서는 긍정적 기대(25%)에 비해 ‘잘못할 것이다’(매우+잘못할 것)라는 응답(60%)이 우세했다.
정당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5%, ‘국민의힘’ 19%, ‘개혁신당’ 5%, ‘조국혁신당’ 3%, ‘진보당’ 1% 등의 순으로 나타나(없다+모름/무응답 등 ‘태도유보’ 25%). 지난 조사에서는 국민의힘 지지율이 20%를 턱걸이했다.
수사와 기소를 분리해 검찰의 권한을 분산시키는 현 정부의 검찰 개혁 방향에 대해 ‘찬성한다’는 응답이 58%, ‘반대한다’는 응답이 29%로 나타났다(모름/무응답 13%). 더불어민주당 지지층(n=453)과 조국혁신당 지지층(n=35)에서는 ‘찬성한다’는 응답이 80%를 상회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n=187)에서는 ‘반대한다(74%)’가 우세했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n=280)은 ‘찬성한다’는 응답이 84%, 중도층(n=364)은 ‘찬성한다’는 응답이 62%로, 찬성 응답의 비율이 반대 응답의 비율보다 높으나, 보수층(n=244)에서는 반대 응답 비율(58%)이 높았다.
현 정부 부동산 정책, 잘 사는 계층일수록 ‘잘 한다’ 높아
이재명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해 ‘잘하고 있다’(매우+잘하는 편)라는 긍정 평가가 53%, ‘잘못하고 있다’(매우+잘못하는 편)는 부정 평가가 29%로 나타났다. 경제적 상위 계층(n=210)과 중위 계층(n=373)에서는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긍정 평가가 각각 60%, 56%인 가운데, 하위 계층(n=391)에서의 긍정 평가는 49%로 나타나, 스스로 인식하는 경제적 귀속계층이 높을수록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추진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40대와 50대에서는 긍정적 평가가 60%를 상회하며, 30대와 60대에서도 긍정적 평가가 각각 50%, 55%인 반면, 18~29세와 70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각각 36%, 41%로 나타났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등의 부동산 시장 안정화 조치에 대해서는 ‘부동산 시장 안정에 도움이 되는 조치’라는 의견이 55%,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에 부담을 줄 수 있는 부적절한 조치’라는 의견이 33%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53%), 40대(65%), 50대(70%), 60대(60%)에서는 ‘부동산 시장 안정에 도움이 되는 조치’라는 응답 비율이 ‘부적절한 조치’라는 부정적 평가에 비해 높은 가운데, 18~29세 연령층에서는 긍정적인 평가(37%)와 부정적인 평가(40%)가 엇갈렸다. 진보층(n=280)에서는 ‘부동산 시장 안정에 도움이 되는 조치이다’라는 응답이 73%인 반면, 보수층(n=244)에서는 ‘부적절한 조치이다’라는 응답이 53%로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 평가보다 높았고, 중도층(n=364)은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58%, ‘부적절한 조치이다’는 응답이 32%로 조사됐다. 무주택자(54%)와 1주택자(57%), 2주택 이상 보유자(54%)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한편 6개월 후 현재 거주 지역의 전반적인 주택가격에 대해 ‘변화가 없을 것이다’는 전망이 50%로 나타난 가운데, ‘오를 것이다’는 전망이 25%, ‘내릴 것이다’는 전망이 18%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보합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서울에서만 상승 전망이 38%, 보합 전망이 37%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최근의 부동산 시장 안정화 조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층(n=533)에서도 전반적인 주택가격이 ‘변화가 없을 것이다’라는 보합 전망이 55%로 가장 높고, ‘오를 것이다’는 전망은 21%, ‘내릴 것이다’라는 전망은 20%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