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꽃] 새정부에서 ‘경제 발전할 것’ 67.3%

대통령 국정운영, 전화면접 ‘긍정’ 73.6%, ‘부정’ 23.4%

ARS조사는 ‘긍정’ 67.7% ‘부정’ 30.1% (격차: 37.6%p)

정부의 대출규제 영향으로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거래 및 집값 상승폭이 일부 둔화한 것으로 나타난 6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및 빌라단지의 모습.한국부동산원이 최근 발표한 '6월 다섯째주(6월 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40%로 전주(0.43%↑) 대비 소폭 줄었다. 가격 상승세 둔화에 이어 거래량도 급감하는 조짐을 보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6·27 대책 전 일주일(6월 20~26일) 서울 아파트 거래건수는 총 1천629건이었으나 이후 일주일(6월 27일~7월 3일)은 577건으로 3분의 1 수준이다. 2025.7.6 연합뉴스
정부의 대출규제 영향으로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거래 및 집값 상승폭이 일부 둔화한 것으로 나타난 6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및 빌라단지의 모습.한국부동산원이 최근 발표한 '6월 다섯째주(6월 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40%로 전주(0.43%↑) 대비 소폭 줄었다. 가격 상승세 둔화에 이어 거래량도 급감하는 조짐을 보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6·27 대책 전 일주일(6월 20~26일) 서울 아파트 거래건수는 총 1천629건이었으나 이후 일주일(6월 27일~7월 3일)은 577건으로 3분의 1 수준이다. 2025.7.6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가 고공행진을 계속하는 가운데 경제발전에 대한 기대치도 대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명 정부의 첫 부동산대책에 대한 지지율 역시 50%를 크게 웃돌 정도로 신뢰를 얻었다.

‘여론조사꽃’이 7월 4~5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상대로 실시한 전화면접조사(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280명 중도 437명 보수 212명, 기타 자세한 사항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임기 동안 우리나라 경제가 얼마나 발전할 것으로 기대하는지에 대해 물은 결과 ‘발전할 것 같다’는 응답은 67.3%, ‘발전하지 못할 것 같다’는 응답은 30.2%로 조사됐다. 양자 간 격차는 37.1%p에 달했으며, 국민 3명 중 2명은 이재명 대통령의 임기 동안 우리나라 경제가 발전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주축세대 40·50대는 76~77%가 ‘발전할 것’

모든 권역에서 ‘발전할 것 같다’는 응답이 우세했으며 특히 호남권은 90.0%로 가장 높았다. 강원·제주 (76.3%), 경인권(68.4%), 서울(67.1%)도 높았고, 충청권, 대구·경북, 부·울·경 등도 10명 중 6명 가량이 ‘발전할 것 같다’는 긍정적 기대를 나타냈다.

연령대별로도 모든 세대에서 ‘발전할 것 같다’는 응답이 우세했다. 40대(77.3%)와 50대(76.4%)에서 ‘발전할 것 같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고, 30대(67.3%), 60대(63.5%), 70세 이상(59.7%), 18~29세(56.7%) 순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에서 3명 중 2명 이상이 경제 발전을 기대했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5.8%가 ‘발전할 것 같다’고 응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77.5%는 ‘발전하지 못할 것 같다’고 응답해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무당층에서는 ‘발전할 것’ 39.9%, ‘발전하지 못할 것’ 53.7%로 부정적 응답이 13.8%p 더 많았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92.8%), 중도층(66.4%)에서 ‘발전할 것’이라는 긍정 평가가 우세했고 보수층(60.1%)은 ‘발전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같은 시기에 100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조사(진보 303명 중도 429명 보수 199명)에서는 ‘발전할 것 같다’는 응답은 65.2%, ‘발전하지 못할 것 같다’는 응답은 32.0%로 조사됐다. 양자 간 격차는 33.2%p였다. ARS조사 역시 전국 모든 지역, 30대 이상 모든 연령대, 남녀 모두에서 ‘발전할 것 같다’는 기대가 우세했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5.8%가 ‘발전할 것 같다’고 응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87.1%가 ‘발전하지 못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념 성향별로도 진보층(86.9%)과 중도층(65.1%)은 ‘발전할 것 같다’고 긍정적으로 응답한 반면, 보수층(59.0%)은 ‘발전하지 못할 것 같다’는 부정적 응답이 더 높았다.

부동산대책, ‘집값 안정에 도움될 것’ 56.6%, 서울 59.9%

지난 6월 27일 주택 담보 대출 한도를 최대 6억 원으로 제한하고 전입 의무를 부과하는 등 집값을 잡기 위해 나온 이재명 정부의 첫 번째 부동산 대책이 어떤 영향을 미칠 것 같은지 물은 결과, 전화면접조사에서는 ‘시의 적절한 규제로 집값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56.6%, ‘과도한 규제로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이 생길 것’ 35.2%를 기록해 21.4%p의 격차로, 이재명 정부의 첫 번째 부동산 대책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8.2%였다.

 

지역별로는 충청권과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집값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란 응답이 우세했다. 특히 호남권에서는 78.8%로 가장 높았고, 서울(59.1%), 경인권(56.7%), 강원·제주(56.5%), 부·울·경(55.1%) 모두 ‘긍정’ 응답이 과반을 넘었다. 충청권과 대구·경북은 양 응답이 팽팽했다.

연령별로는 30대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집값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 응답이 앞서거나 우세했다. 40대에서 72.3%로 가장 높은 응답을 얻었고 50대(68.1%), 60대(56.3%), 30대(53.3%), 70세 이상(44.1%) 순이었다. 18~29세는 ‘집값 안정에 도움이 될 것’ 40.5% 대 ‘과도한 규제로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이 생길 것’ 49.8%로 응답해 ‘부정’응답이 소폭 더 높았다.

같은 시기에 진행한 ARS조사에서는 ‘시의적절한 규제로 집값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는 응답은 58.7%, ‘과도한 규제로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이 생길 것이다’는 응답은 28.5%로 조사됐다. 양자 간 격차는 30.2%p에 달했고,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2.7%였다. ARS조사에서도 전국 모든 지역, 30대 이상 모든 연령대, 남녀 모두에서 ‘집값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는 긍정 응답이 우세했다. 다만, 18~29세는 ‘도움이 될 것’ 38.4% 대 ‘어려움이 생길 것’ 45.3%로 부정적 응답이 소폭 높았다.

검찰개혁 ‘연내에 빨리’ 52.8% vs ‘단계적으로 천천히’ 30.6%

‘여론조사꽃’이 6월 27일부터 28일까지 실시한 검찰의 개혁 속도 및 필요성에 대한 전화면접조사 결과, ‘빠른 법안 통과 후 연내 시행해야 한다’는 응답이 52.8%로 가장 높은 응답을 얻었다. 이어 ‘충분한 시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천천히 시행해야 한다’ 30.6%, ‘검찰 개혁은 필요없다’ 13.2%로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검찰 개혁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총 83.4%로 10명 중 8명 이상이 검찰 개혁의 필요성에 공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모든 권역에서 ‘연내 시행’ 응답이 앞서거나 우세했다. 호남권(68.7%)과 서울(59.1%)에서는 연내 시행 요구가 두드러졌다. 검찰 개혁 필요성 자체에 대해서는 호남권 93.9%, 강원·제주 86.2%, 서울 85.8%, 경인권 82.4%, 부·울·경 81.9%, 대구·경북 78.8%, 충청권 77.9% 등 모든 지역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공감대를 보였다. 연령별로도 개혁 필요성에 대한 공감은 전 세대에 걸쳐 높았으며 특히 40대 92.9%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50대(88.1%)와 30대(85.2%)도 두드러졌다. 60대(81.8%), 70세 이상(76.1%), 18~29세 (74.1%) 순으로 나타났다. ‘연내 시행’을 요구한 비율 역시 40대(70.5%)와 50대(67.4%)가 가장 높았다. 남녀 모두 과반 이상이 ‘연내 시행’에 찬성했다.

정당 지지층 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6.1%가 개혁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이중 80.0%는 ‘연내 시행’을 요구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은 ‘검찰 개혁은 필요없다’가 36.1%로 응답했지만, ‘천천히 시행’ 50.0%, ‘연내 시행’ 12.1%로 응답해 국민의힘 지지층의 62.1%도 개혁의 필요성에는 공감했다. 무당층은 ‘천천히 시행’ 55.9%, ‘연내 시행’ 10.8%로 응답해 66.7%가 ‘검찰을 개혁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22.0%가 ‘검찰 개혁은 필요없다’고 응답했다.

이념 성향별로도 진보층의 96.9%, 중도층의 84.5%, 보수층의 66.7%가 검찰 개혁을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검찰 개혁이 필요없다고 응답한 보수층은 31.4%에 그쳤다. 진보층의 78.9%, 중도층의 50.9%, 보수층의 27.7%가 ‘연내 시행’으로 개혁을 강하게 촉구해 정치 성향과 상관없이 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같은 시기에 진행한 ARS조사 결과에서도 ‘빠른 법안 통과 후 연내 시행해야 한다’는 응답이 58.0%로 가장 높은 응답을 얻었고, ‘검찰 개혁은 필요없다’ 21.1%, ‘충분한 시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천천히 시행해야 한다’ 18.0% 순으로 나타났다. 검찰 개혁 필요성에 대한 전체 의견이 76.0%로 전화면접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10명 중 7명 이상은 개혁 필요성에 동의했다.

국정운영 평가 ‘긍정’(73.6%)이 ‘부정’(23,4%) 3배 넘어

한편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73.6%, ‘부정’평가는 23.4%로 조사됐다. ‘긍정’ 평가가 ‘부정’의 3배에 이른다.

 

모든 권역에서 ‘긍정’평가가 우세했다. 호남권이 91.0%로 가장 높았고, 서울 78.0%, 경인권 73.3%, 대구·경북 69.6%, 강원·제주 69.4% 등 대체로 70% 안팎의 높은 긍정 응답률을 보였다. ‘긍정’평가가 가장 낮은 충청권도 ‘긍정’ 평가가 63.8%, ‘부정’ 평가가 34.3%로 ‘긍정’ 응답이 29.5%p 많았다.

연령별로도 전 세대에서 ‘긍정’ 평가가 우세했다. 40대(84.9%)가 가장 높았고, 50대(79.2%), 30대(73.8%), 18~29세(69.6%), 60대(69.1%) 모두 10명 중 7명 정도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70세 이상에서도 63.1%가 ‘긍정’ 평가를 내렸다. 성별로도 남·녀 모두 10명 중 7명 이상이 국정운영을 잘했다고 평가했다.

정당 지지층과 이념성향에 따른 평가는 명확히 갈렸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8.3%는 ‘긍정, 국민의힘 지지층의 68.9%는 ‘부정’ 평가를 했다. 무당층에서도 ‘긍정’ 48.3%, ‘부정’ 42.0%로 6.3%p 격차로 ‘긍정’평가가 우세했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94.3%, 중도층의 73.6%가 국정운영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보수층은 ‘긍정’ 47.6% 대 ‘부정’ 49.9%로 팽팽했다.

같은 기간 ARS조사에서는 ‘긍정’평가가 67.7%, ‘부정’평가는 30.1%로 나타나 격차는 37.6%p였다. 호남권(90.5%)을 비롯, 대구·경북(68.5%), 경인권(68.2%) 강원·제주(67.9%), 서울(63.2%), 부·울·경(61.6%), 충청권(61.0%) 모두 60% 이상이 ‘긍정’ 평가를 내렸다. 연령별로는 18~29세(‘긍정’ 47.1%, ‘부정’ 51.2%)에서만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30대 이상 모든 연령층에서 ‘긍정’평가가 우세했다.

정당 지지층에 따른 차이도 두드러졌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7.2%는 ‘긍정’평가를, 국민의힘 지지층의 82.5%는 ‘부정’평가를 했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 88.3%가 ‘긍정’, 보수층은 56.2%가 ‘부정’ 평가를 내렸다. 중도층은 ‘긍정’ 67.2%(5.7%p↓) 대 ‘부정’ 30.8%(4.7%p↑)로, 격차는 여전히 36.4%p로 크게 나타났다.

정당지지도: ‘더불어민주당’ 또 최고치 경신 57.0%

정당지지도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정당 지지율은 57.0%로, 직전 최고치를 경신하며 올해 들어 네 번째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이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정책 추진에 대한 긍정 평가와 높은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국민의힘’은 23.1%로 하락하며 올해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로써 양당 간 격차는 33.9%p까지 벌어졌다.

 

같은 기간 ARS조사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은 60.6%(0.4%p↓)의 지지를 얻으며 여전히 60%대 지지율을 유지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24.3%(1.0%p↓)로 하락해, 양당 간 격차는 36.3%p로 확대됐다. ARS조사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의 독주 구도가 분명히 드러났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과 중도층에서 ‘더불어민주당’ 지지가 일부 하락했지만 보수층에서 9.0%p 상승하며 이념 간 확장력도 확인됐다. ‘국민의힘’은 보수층에서 2.7%p 하락했다. 중도층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60.3%(3.0%p↓) 대 ‘국민의힘’ 22.2%(0.3%p↑)로 38.1%p의 격차를 기록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