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평가 이유 41%가 외교, 나머지는 1~6%
‘‘한국갤럽’의 대통령 지지율은 ‘아무 하는 일 없이’ 저절로 상승하는 이상현상에서 벗어나 다시 10%대로 떨어졌다.
’한국갤럽‘이 2024년 11월 넷째 주(26~28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1명에게 윤석열 대통령이 현재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에 대해 물은 결과(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19%가 긍정 평가했고 72%는 부정 평가했으며 그 외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4%, 모름/응답거절 5%) ‘한국갤럽’의 윤석열 대통령 직무수행 지지율 조사에서는 11월 1주차 17%까지 떨어졌다가 2주차 조사에서 20%를 회복했고 3주차에서도 20% 횡보세를 보였으나 이번에 1% 떨어져 다시 10%대를 기록한 것. 그러나 부정 평가는 72% 동률이다.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윤 대통령이 현재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많고, 특히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성향 진보층에서는 그 비율이 90% 내외다. 여당인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만 직무 긍정률이 50%, 70대 이상에서는 긍·부정 평가가 43%-42%로 엇비슷하게 갈렸다.
부정평가 이유 7주만에 '김건희 때문' 1위 자리 내줘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이하 '가중적용 사례수' 기준 195명, 자유응답) '외교가 41%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724명, 자유응답)는 '경제/민생/물가'(15%), '김건희 여사 문제'(12%), '외교'(8%)를 이유로 들어 7주만에 김 여사 관련 문제가 경제·민생에 밀렸다.
한편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윤 대통령 지지율이 하는 일 없이 오르는 이상현상을 보여 고개를 갸우뚱하게 했다. 여론조사꽃이 11월 22일과 23일 양일간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에서 전화면접조사(표본오차 ±3.1%p, 신뢰수준 95%,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기준 국정운영 ‘긍정’평가는 1.6%p 상승한 21.5%, ‘부정’평가는 1.9%p 하락한 77.6%로 집계되었고 같은 시기에 진행한 ARS조사에서도 ‘긍정’평가는 1.6%p 상승한 29.3%, ‘부정’평가는 1.7%p 하락한 69.7%로 집계되었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8일부터 22일까지 18세 이상 유권자 25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1월 3주 차 여론조사(표본 오차 ±2.0%p 95% 신뢰수준)에서도 윤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도는 전주 대비 2.0%p 높아진 25.7%로 조사됐다. 부정 평가는 70.3%(잘못하는 편 8.4%, 매우 잘못함 61.9%)로 2.7%p 낮아졌다. 그 전주 지지율은 22.3%로 2주간 3.4%p나 오른 것이다.
19일~21일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도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잘하고 있다’(매우+잘함)는 긍정적 평가는 8% 대폭 상승한 27%, ‘잘못하고 있다’(매우+못함)는 부정적 평가는 68%(모름/무응답 6%)로 6% 떨어졌다.
정당 지지도는 3주만에 민주-국힘 다시 팽팽한 호각세
이번 갤럽 조사에서 현재 지지하는 정당은 국민의힘이 지난주보다 4% 오른 32%, 더불어민주당이 1% 떨어진 33%, 조국혁신당이 2% 떨어진 5%를 기록했다.(무당층 24%) 양대 정당은 총선 후 국민의힘 경선 기간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30% 안팎에서 비등한 구도였는데, 3주 전 더불어민주당이 올해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간격을 벌렸고 2주 전과 지난주에는 그 간격을 유지한 채 양당이 동반 하락했는데 3주만에 다시 호각세를 이룬 것.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위증교사혐의에 대한 1심 판결에서 무죄가 선고된데 대해서는 '잘 된 판결' 41%, '잘못된 판결' 39%로 의견이 팽팽하게 엇갈렸다. 민주당 지지층 75%, 성향 진보층 68%가 '잘 된 판결', 국힘당 지지층 75%, 성향 보수층 66%가 '잘못된 판결'이라고 답하는 등 정치성향에 따라 완벽하게 다른 입장을 보였다.
정치성향 따라 극명하게 갈라진 이재명 재판 평가
11월 15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1심 법원이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을 때에도 43%가 '정당한 판결', 42%는 '부당한 정치 탄압'이라고 답했고(15%는 의견을 유보), '정당한 판결'에는 국민의힘 지지층(86%), 성향 보수층(76%) 등에서, '부당한 정치 탄압'에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79%), 성향 진보층(71%) 등에서 지배적 공감대를 형성했었다.
참고로, 작년 9월 백현동 개발 특혜, 쌍방울그룹 대북송금 수사와 관련해 검찰이 이재명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한 직후 ‘한국갤럽’ 조사에서는 '정당한 수사 절차' 46%, '부당한 정치 탄압' 37%로 나타난 바 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