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면접 대통령 지지율, 조사 이래 최저치 24.6%
이재명의 ‘계엄령 준비설’에 '공감한다' 우세
“문재인 대통령 가족 수사는 정치보복” 56~58%
우리 국민들이 추석 연휴 중 응급실에 가야 할 때 제대로 치료 받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우려가 극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꽃’이 9월 6일과 7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3명(전화면접방식 조사)과 1002명(ARS 조사)을 대상으로 추석 응급실 상황에 대해 얼마나 우려하는지 물은 결과 전화면접조사에서는 ‘우려한다’ 87.8% 대 ‘우려하지 않는다’ 11.0%, ARS조사에서는 ‘우려한다’ 84.4% 대 ‘우려하지 않는다’ 14.3%로 조사(표본오차 ±3.1%포인트, 신뢰수준 95%,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되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비상진료체계가 원활하게 가동되고 있다’고 했으나, 추석 연휴 응급실 과부하에 대한 우려는 모든 지역, 모든 연령대, 남녀 모두에게서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정당지지도, 이념성향과도 상관없이 모두 같은 목소리로 ‘우려한다’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조차 75%(매우 우려한다 28.2% 약간 우려한다 47.8%)가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화면접방식 대통령 지지율, 여론조사꽃 조사 이래 최저치 24.6%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에서는 전화면접조사 기준 긍정 평가는 1.4%p 하락한 24.6%, 부정 평가는 1.6%p 상승한 74.0%로 집계되었고 ‘긍·부정’격차는 49.4%p로 조사되었다. 연령별로 보면 18~29세는 긍정 평가가 5.1%p 상승했지만, 60대와 70세 이상은 각각 8.7%p, 6.3%p 하락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60대 여성에서 긍정 평가 20.5%p 하락, 부정 평가 19.3%p 상승, 70세 이상 남성에서 긍정 평가 9.7%p 하락, 부정 평가 11.5%p 등 큰 폭으로 움직였다. 이는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의료 대란’ 불안이 국정운영 평가로 드러난 것으로 해석된다. 중도층에서는 긍정 평가가 21.2%(3.2%p↑), 부정 평가는 78.5%(2.9%p↓)로 집계되었다(격차: 57.3%p). ‘여론조사꽃’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에서 긍정 평가 24.6%는 최저치이다.
같은 시기에 진행한 ARS조사 결과 긍정 평가는 2.6%p 하락한 28.0%, 부정 평가는 3.2%p 상승한 71.5%로 집계되었다(격차 43.5%p). 연령별로도 3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긍정 평가는 하락하고 부정 평가는 상승했다. 지난 조사(8월 23일~24일)에서 긍정 평가가 앞섰던 70세 이상 포함한 모든 연령대에서 부정 평가가 앞서거나 우세로 변했고 중도층은 긍정 평가 26.6%(0.2%p↓), 부정 평가 72.9%(1.0%p↑)로 집계되어 46.3%p의 격차를 보였다.
대통령 지지도, 다른 여론조사에서도 대부분 20%대에서 횡보
‘여론조사꽃’ 포함 중요한 여론조사 대부분에서 대통령 지지율은 전화면접방식 조사의 경우 20%대 초중반에서, SRS 조사의 경우 20% 후반에서 횡보하고 있는 가운데 강한 하향 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 SRS 조사업체 ‘리얼미터’의 경우 9월 1주차 주간 집계(조사기간 9월 2일~6일. 18세 이상 남녀 유권자 2508명 대상. 표본오차 ±2.0%P. 95% 신뢰수준)에서 윤석열 대통령 취임 92주차 국정 수행 지지도(긍정 평가)가 지난주 8월 5주차 주간집계 대비 0.3%P 높아진 29.9%(매우 잘함 13.8%, 잘하는 편 16.1%)를 기록, 4주 만에 하락세를 멈추고 소폭 반등했으나, 2주 연속 20%대에 머물렀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66.1%(잘 못하는 편 8.3%, 매우 잘 못함 57.7%).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회사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8월 31~9월 2일 사흘간 실시한 윤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한 ARS 조사(18세 이상 남녀 2003명 대상. 표본오차 ±2.2%포인트. 95% 신뢰수준)에서도 '잘한다'는 긍정 평가 28.1%, '잘 못한다'는 부정 평가 69.5%로 집계됐다. 2주 전보다 긍정 평가는 3.6%포인트 하락하고, 부정 평가는 3.8% 상승했다. '모름' 응답은 2.4%.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지지율 28.1%는 같은 조사에서 윤 대통령 취임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수치이다. 최저 지지율이 취임 첫 해인 2022년 9월 넷째 주의 27.7%인데 이번에 불과 0.4%포인트까지 좁혀진 것이다.
전화면접방식의 ‘한국갤럽’ 조사(9월 3일~5일. 전국 남녀 만18세 이상 1001명 대상. 표본오차 ±3.1%포인트, 95% 신뢰수준)에서도 윤 대통령 긍정평가는 23% 지난 8월 5주차 조사와 같았다. 부정 평가만 지난주 보다 1% 오른 67%였다.
엠브레인퍼블릭ㆍ케이스탯리서치ㆍ코리아리서치ㆍ한국리서치 4개 사가 전화면접방식으로 2주마다 실시하는 ‘전국지표조사(NBS)’ 9월 첫주 조사(조사기간 9월 2일~4일. 전국 남녀 1001명 대상. 표본오차 ± 3.1% 포인트. 신뢰수준 95%)에서도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27%(부정 평가 66%)로 직전 조사와 같았다.
이재명 ‘계엄령 준비설’ 공감 여부, 전화면접 팽팽, ARS ‘공감’ 우세
한편 이번 ‘여론조사꽃’의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계엄령 준비설’에 대해 전화면접조사 결과 ‘공감한다’ 45.4% 대 ‘공감하지 않는다’ 44.2%로 조사되어 ‘공감’ 대 ‘비공감’ 의견이 1.2%p 격차로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과 조국혁신당 지지층은 각각 73.6%, 78.1%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계엄령 준비설’ 발언에 ‘공감한다’고 응답했고, 국민의힘 지지층 80.7%는 ‘공감하지 않는다’고 압도적으로 응답했다. 무당층도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우세했다(무당층: ‘공감’ 23.4% 대 ‘비공감’ 56.6%). 진보층의 70.8%는 ‘공감’, 보수층의 69.3%는 ‘비공감’한다고 응답해 이념성향에 따라 확고히 다른 응답을 보였고 중도층은 ‘공감’ 48.0% 대 ‘비공감’ 43.5%로 응답해 이재명 대표의 ‘계엄령 준비설’에 대해 ‘공감한다’는 응답이 소폭 앞선 것으로 조사되었다(격차 4.5%p).
같은 시기에 진행한 ARS조사 결과 ‘공감한다’ 56.4% 대 ‘공감하지 않는다’ 37.3%로 조사되어 이재명 대표의 ‘계엄령 준비설’ 발언에 대해 ‘공감한다’는 의견이 19.1%p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화면접조사보다 좀 더 편하게 응답할 수 있는 ARS조사 특성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모든 지역, 30대부터 60대, 남녀 모두에서 ‘공감’의견이 앞서거나 우세했다. 18~29세는 양쪽 응답이 팽팽했고, 70세 이상은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소폭 높았다(6.1%p).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과 조국혁신당 지지층 10명 중 8명 이상이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계엄령 준비설’ 발언에 ‘공감’한다고 응답했고, 국민의힘 지지층 10명 중 8명 이상이 ‘공감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진보층의 78.5%는 ‘공감’, 보수층의 60.3%는 ‘비공감’ 한다고 응답했다. 중도층은 ‘공감’ 53.3% 대 ‘비공감’ 41.8%로 응답해 중도층의 절반 이상은 이재명 대표의 ‘계엄령 준비설’ 발언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격차 11.5%p).
“문재인 대통령 가족 수사는 정치보복” 56~58% “아니다” 37%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해 검찰이 뇌물수수 혐의를 적시해 수사를 시작했고, 딸 문다혜 씨에 대한 압수수색도 진행되는 가운데, 이 수사의 성격에 대해 물은 결과 전화면접조사에서는 ‘불법 정황에 대한 정당한 수사이다’ 37.2% 대 ‘정치보복이자 국면전환용 수사이다’ 56.8%, ARS조사 결과 ‘불법정황에 대한 정당한 수사이다’ 35.9% 대 ‘정치보복이자 국면전환용 수사이다’ 58.8%로 조사되어, 두 조사 모두 문다혜 씨에 대한 수사가 ‘정치보복이자 국면전환용 수사’라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화면접조사의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과 조국혁신당 지지층은 각각 86.6%, 94.5%가 ‘정치보복이자 국면전환용 수사’라고 압도적으로 응답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은 83.5%가 ‘불법정황에 대한 정당한 수사’라고 응답해 첨예한 대립각을 세웠다. 무당층은 두 응답이 41.5%로 똑같이 나뉘었다. 진보층의 83.6%가 ‘정치보복이자 국면전환용 수사’라고 응답했고 보수층의 64.6%가 ‘불법정황에 대한 정당한 수사’라고 응답했다. 중도층은 ‘불법정황에 대한 정당한 수사’ 36.2% 대 ‘정치보복이자 국면전환용 수사’ 60.1%로 응답해 중도층 10명 중 6명은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의 수사와 딸 문다혜 씨에 대한 압수수색이 ‘정치보복이자 국면전환용 수사’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RS조사의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과 조국혁신당 지지층 10명 중 9명(91.0%, 91.7%)은 ‘정치보복이자 국면전환용 수사’라고 응답했고 국민의힘 지지층 10명 중 8명 이상(88.0%)은 ‘불법정황에 대한 정당한 수사’라고 응답했다. 진보층의 84.4%는 ‘정치보복이자 국면전환용 수사’라고 압도적으로 응답했고, 보수층 62.0%는 ‘불법정황에 대한 정당한 수사’라고 응답했다. 중도층 ‘정치보복이자 국면전환용 수사’ 56.9% 대 ‘불법정황에 대한 정당한 수사’ 38.5%로 응답해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의 수사와 딸 문다혜 씨에 대한 압수수색이 ‘정치보복이자 국면전환용 수사’라는 의견에 더 공감했다(격차 18.4%p).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