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채 연이은 경매부진…국채 공급폭탄
한도, 끝도 없이 쌓이고 있는 미국의 정부 부채
구조적 인플레이션은 끈질기고 견조해
미 10년물 국채수익률 6%터치설도 나와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이라는 미국 국채가 시장에서 잘 소화되지 않고 있다. 미 재무부가 국채 발행에 나섰지만 연달아 경매흥행에 실패하고 있는 것이다. 미 정부가 멀지 않은 장래에 빚더미에 깔려 질식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우려, 견조하기 이를 데 없는 인플레이션의 존재 등이 미 국채에 대한 시장의 수요를 위축시키고 있다. 시장 일각에선 미 국채의 랜드마크격이라 할 10년물 수익률이 6%를 터치할 수도 있다는 경고까지 나오는 중이다. 미 국채수익률은 시장금리의 토대이기 때문에 향방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연달아 경매시장에 나온 미 국채, 시장의 반응은 냉담
29일(현지시간) 440억달러 규모의 7년 만기 미 국채 입찰이 끝나자 국채수익률이 일제히 상승했다. 7년 만기 국채 응찰률이 이전 평균치인 2.53배보다 낮은 2.43배로 나와 흥행에 실패해서다. 이날 오전까지 연 4.5%대를 유지하던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입찰 결과가 나온 오후 1시 이후 연 4.6%를 넘어섰다. 기준금리 동향을 반영하는 2년 만기 금리는 7년 만기 경매 발표 직후 연 5%를 돌파하기도 했다.
미 재무부를 실망시킨 건 전날 이뤄진 2년 만기와 5년 만기 국채 입찰도 흥행에 실패했다는 사실이다. 690억달러 규모의 2년 만기 경매에서 응찰률은 2.41배로 최근 6회 평균(2.59배)보다 낮았다. 700억달러의 5년 만기 응찰률도 2.3배로 평균(2.41배)에 못 미쳤다.
시장은 이틀간 1800억달러 상당의 미국 국채가 한꺼번에 쏟아져 나와 국채시장이 제대로 소화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했다. 크리스 자카렐라 인디펜던트어드바이저얼라이언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시장은 이번 경매를 통해 나온 국채를 소화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미 대선을 앞두고 미 국채 발행 물량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점이다. 미국 재무부가 이달 1일 발표한 국채발행계획(5~7월)에 따르면 6월과 7월에도 각각 3150억달러 규모의 국채가 발행된다.
천문학적이라는 말이 무색한 미국의 정부 부채
미 국채는 흔히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미 국채의 판로는 얼마전까지만해도 별 문제가 아니었다. 하지만 제 아무리 미국 국채라고 해도 수요에 비해 공급이 너무 많으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미국 정부는 정기 경매를 통해 채권을 시장해 매각해 사회보장, 국방비 등에 대한 지출을 부분적으로 충당하고 있는데, 팬데믹 여파로 미국 재정적자 규모가 커지면서 경매 규모는 급증하고 있다.
미 의회예산국(CBO)에 따르면 미국의 국내 총생산 대비 재정적자가가 올해 5.6%에서 10년 후 6.1%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0년 전 13조달러였던 공공부채는 올해 28조달러, 10년 후에는 48조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증세가 아닌 신규 국채 발행을 통한 국가부채의 폭증은 고스란히 이자부담으로 돌아오는데, 이미 미 정부는 국채 이자를 부담하는데 국방비를 초과하는 예산을 사용 중이다. 조만간 국채이자도 지급하지 못하는 처지로 몰릴 수도 있다는 말이다.
지금의 인플레이션은 오래가고 강고해
구조적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제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것도 미 국채수익률을 흔들고 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내릴 수가 없기 때문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5월 미국 서비스업,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모두 확장세로 돌아섰다. 뜨거운 고용시장 역시 좀처럼 식을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심지어 최근 워싱턴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식료품·주거·의료 등 기본 생활비만 고려한 '체감 인플레이션’은 2021년 초 이후 21.2%에 달했다. 이는 공식 CPI 상승률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보도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절실한 현실은 코로나 이전에 65달러 주고 샀던 제품에 대해 지금은 99달러를 내야 한다. 이는 영세한 소상공인들의 영업을 어렵게 하고, 소비자의 소비를 줄이는 등 연쇄적 파급 영향을 초래한다.
미 국채수익률이 상승하면 시장금리도 오를 수 밖에 없어
눈덩이처럼 쌓이는 미 정부 부채, 공급폭탄이라 해야 할만큼 많은 미국의 신규 국채 발행량, 난공불락을 자랑하는 인플레이션 등이 모두 미 국채수익률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더해 미 국채 투자의 큰 손인 중국과 일본도 미 국채 보유량을 줄이고 있다. 악재가 아닐 수 없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제이미 다이먼 JP모간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한 행사에서 “경기 연착륙이 어려워지면 빚이 많은 기업 등의 부담은 가중될 것”이라며 “많은 사람이 10년 만기 국채가 연 6%인 것을 본 적이 없겠지만 그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의 예측이 적중할지는 알 수 없지만, 분명한 사실은 미 국채수익률이 경향적으로 상승하면 시장금리도 따라서 상승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미 국채수익률의 방향성에 주목해야 하는 까닭이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