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꽃' 24·25일 조사 ‘거부권 탄핵’ 필요 64.4%

이재명 당대표 연임 ARS조사 '공감한다' 과반

"국회의장·원내대표 선출때 당원의사 반영" 60%대

여론조사꽃의 대통령 국정지지율 조사에서는 전화면접·자동응답(ARS) 두 조사 모두 ‘긍정’평가가 20%대로 내려가고 ‘부정’평가는 오르며 격차가 커졌고. 채상병 특검에 거부권을 행사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탄핵이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57.2%(전화면접조사), 64.4%(ARS조사)가 ‘탄핵이 필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꽃이 지난 24~25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대통령 국정지지도를 전화면접조사한 결과(표본오차 ±3.1%포인트 95% 신뢰수준, 그 밖의 사항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국정운영 ‘긍정’평가는 지난 조사보다 0.8%포인트(p) 하락한 26.2%, ‘부정’평가는 1.4%p 상승한 72.7%로 집계됐고 ‘긍·부정’격차는 지난주에 비해 2.2%p 늘어난 46.5%p로 조사됐다. 연령별로 보면 18~29세와 50대, 70세 이상은 ‘긍정’평가 상승, 30·40대와 60대는 ‘부정’평가가 상승했다. 이에 따라 60대 이하는 ‘부정’평가가 우세, 70세 이상은 ‘긍정’평가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성향별 조사에서는 특히 중도층에서 ‘긍정’평가가 5.2%p 급락(17.9%)하고 ‘부정’평가는 7.0%p 급상승한 81.9%를 기록해 중도층 10명 중 8명은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부정적으로 보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격차 64.0%p).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한 ARS 조사(표본오차 ±3.1%포인트 95% 신뢰수준, 그 밖의 사항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는 ‘긍정’평가는 2.5%p 하락한 29.6%, ‘부정’평가는 2.3%p 상승한 69.5%로 집계돼 39.9%p의 격차를 보이며 ‘부정평가’가 70%에 육박했다. 연령별로 보면 4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긍정’평가는 하락하고, ‘부정’평가는 상승하며 윤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인 70세 이상 연령층에서도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중도층은 ‘긍정’평가 25.0%(3.0%p↓), ‘부정’평가 74.6% (2.9%p↑)를 기록하며, 여론조사꽃 ARS 조사 이래 ‘긍·부정’격차가 최대였다(격차 49.6%p).

“채상병 특검 거부권 윤 대통령 탄핵 필요” 중도층 67.4%

채상병 특검에 거부권을 행사한 윤 대통령에 대해 ‘탄핵이 필요한지’ 묻는 ARS 질문에서는 ‘탄핵이 필요하다’ 64.4% 대 ‘탄핵이 필요하지 않다’ 33.5%로 집계돼 10명 중 6명 이상이 ‘탄핵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모든 지역, 60대 이하 모든 연령대, 남녀 모두 ‘탄핵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고,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지지층 10명 중 9명이 ‘탄핵이 필요하다’고 압도적인 수치로 응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 82.8%는 ‘탄핵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중도층은 ‘탄핵 필요’ 67.4% 대 ‘탄핵 불필요’ 31.7%로 응답해 중도층 10명 중 6명 이상은 채상병 특검에 거부권을 행사한 윤 대통령의 ‘탄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격차 35.7%p).

전화면접조사에서는 ‘탄핵이 필요하다’ 57.2% 대 ‘탄핵이 필요하지 않다’ 40.3%로 집계돼 ARS 조사와 약간 다른 수치를 보였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과 조국혁신당 지지층은 각각 84.6%, 88.4%의 높은 수치로 ‘탄핵이 필요하다’고 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87.2%가 ‘탄핵이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 60대 이상, 국민의힘 지지층, 보수층에서만이 ‘탄핵 반대가 우세했다. 무당층은 ‘탄핵 필요’ 46.3% 대 ‘탄핵 불필요’ 44.9%로 응답해 1.4%p 격차로 양 의견이 팽팽했고, 중도층은 ‘탄핵 필요’ 63.2% 대 ‘탄핵 불필요’ 35.8%로 응답해 27.4%p의 격차로 ‘탄핵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재명 대표 연임, 비슷한 찬반 여론 속 민주당 지지자 압도적 찬성

정당지지도 조사에서는 지난주 국회의장 후보 선거로 빚어진 갈등의 여파로 지지율이 폭락했던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반등하며 40%대를 회복했고, 국민의힘과 조국혁신당 지지율이 하락하면서 지난주 2.5%p까지 좁혀졌던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지지율 격차는 다시 두 자릿수(양당 지지율 격차: 전화면접조사 10.8%p, ARS 조사 10.4%p)로 벌어졌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조사 대비 6.1%p 상승한 39.5%, ‘국민의힘’은 2.2%p 하락한 28.7%, 조국혁신당은 1.0%p 하락한 14.1%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진행한 ARS조사 결과는 더불어민주당이 지난주보다 5.0%p 상승한 41.2%, 국민의힘은 1.2%p 하락한 30.8%, 조국혁신당은 3.9%p 하락한 14.5%로 조사됐다. 양당 간 격차는 10.4%p로 나타났고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과 국민의힘 격차는 24.9%p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당 대표를 연임 여부에 대한 조사에서는 전화면접조사 결과 ‘공감한다’ 47.2% 대 ‘공감하지 않는다’ 49.3%로 팽팽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지지층은 ‘공감한다’는 의견이 우세했고(공감: 더불어민주당 81.8%, 조국혁신당 69.8%), 국민의힘 지지층은 92.0%가 ‘공감하지 않는다’고 응답해 지지정당에 따른 의견차가 확실하게 나뉘었다. 무당층은 ‘공감’ 18.1% 대 ‘비공감’ 67.0%로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압도적이었고, 중도층은 ‘공감’ 50.3% 대 ‘비공감’ 47.1%로 ‘공감’한다는 의견이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반면 ARS조사에서는 ‘공감한다’ 53.4% 대 ‘공감하지 않는다’ 43.1%로 집계돼 ‘공감’ 응답이 과반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격차 10.3%p).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지지층은 ‘공감한다’는 응답이 각각 86.1%, 80.8%, 국민의힘 지지층은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88.9%로 나타나 지지하는 정당에 따라 확연히 다른 답변을 보였다. 중도층은 ‘공감’ 54.8% 대 ‘비공감’ 41.7%로 공감한다는 의견이 앞섰다(격차 13.1%p).

반면 “국민의힘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차기 당 대표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에는 전화면접조사 결과 ‘공감한다’ 34.0% 대 ‘공감하지 않는다’ 60.5%로 답변했다. 70세 이상, 국민의힘 지지층, 보수층에서만 ‘공감한다’는 응답이 높았고(정당 지지도별 ‘공감’ : 국민의힘 지지층 73.4%, 더불어민주당 15.9%, 조국혁신당 19.3%). 무당층에서는 ‘공감’ 22.6% 대 ‘비공감’ 61.8%, 중도층에서도 ‘공감’ 28.5% 대 ‘비공감’ 67.8%로 응답해 전화면접조사의 무당층과 중도층 10명 중 6명은 “국민의힘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차기 당 대표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시기에 조사한 ARS 조사 결과 역시 ‘공감한다’ 41.6% 대 ‘공감하지 않는다’ 53.2%로 집계돼 응답자의 과반 이상이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차기 당 대표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의장 선출 시 당원 의사 반영” 지지정당 관계없이 대단히 높아

한편 조국혁신당이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고발 사주 연루 의혹, 자녀 입시 비위 의혹 등을 근거로 한동훈 특검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전화면접조사 결과 ‘특검이 필요하다’ 62.3% 대 ‘특검이 필요하지 않다’ 31.5%, ARS 조사 결과 ‘특검이 필요하다’ 64.1% 대 ‘특검이 필요하지 않다’ 31.6%로 응답해 의외로 높은 비율의 찬성 여론을 보였다. 또 “국회의장, 원내대표 등 선출시 당원의 의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전화면접조사 결과 ‘공감한다’ 69.3% 대 ‘공감하지 않는다’ 24.3%, ARS 조사 결과 ‘공감한다’ 69.3% 대 ‘공감하지 않는다’ 23.7%로 나타나 10명 중 6명 이상은 “국회의장, 원내대표 등 선출 시 당원의 의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조사의 모든 지역, 모든 연령대, 남녀 모두에서 ‘공감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지지층뿐 아니라 국민의힘 지지층도 모두 한목소리로 “국회의장 등 선출시 당원의 의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이념성향에 상관없이 진보, 중도, 보수층 모두 “당원의 의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하며 모두 같은 목소리를 냈다(전화면접 ‘공감’: 진보 80.7%, 중도 70.1%, 보수 66.2% 대 ARS조사 ‘공감’: 진보 81.8%, 중도 68.7%, 보수 64.0%). ‘민주정당’ 혹은 ‘당원 중심 정당’에 대한 욕구는 지지정당에 관계없이 대단히 높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