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꽃 '비상계엄은 애초 경고용' 29.9%

'윤석열 군통수권자 복귀'마저 '찬성' 32.7%

대구·경북 70대 이상이 보수 성향 응답의 핵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 2.2%p 하락한 48.2%

조국혁신당과 합해 국힘당(34.3%)과 18.9%p 차

‘여론조사꽃’이 2025년 2월 7일부터 8일까지 이틀간 전국 남녀 18세 이상 1006명(진보 267명, 중도 436명, 보수 269명, 모름/무응답 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당 지지도 전화면접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p,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48.2%로 직전 조사(1월 31일~2월 1일) 대비 2.2%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민의힘은 34.3%로 변동이 없어 양당 간 격차는 13.9%p로 집계됐다. 조국혁신당의 지지율은 5.0%로 1.5%p 상승하면서 민주당 하락분 대부분을 흡수했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합산 지지율(53.2%)과 국민의힘(34.3%) 지지율 격차는 18.9%p.

이념 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 민주당이 7.6%p 하락한 47.1%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국민의힘 지지율 28.9%(2.2%p↑)를 크게 앞섰다(격차 18.2%p).

 

대구·경북만 ‘경고용 계엄이었기 때문에 조기 해제’ 높아

‘비상계엄이 조기 해제된 이유’ 등을 묻는 설문과 연관된 설문에서 윤석열 측의 주장에 동조하는 보수성향의 답변이 30% 안팎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그 중심에는 대구·경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비상계엄이 빠르게 해제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응답자의 65.6%는 ‘시민들이 계엄군을 막고, 국회가 신속하게 의결했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반면, ‘애초부터 금방 해제할, 경고용 계엄이었기 때문’이라는 응답은 29.9%였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호남권(86.6%)과 서울(71.5%)에서는 시민과 국회의 역할을 결정적인 이유로 꼽은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반면, 대구·경북에서는 ‘애초부터 경고용 계엄’(47.5%)이라는 응답이 ‘시민과 국회’(43.7%)보다 3.8%p 높아 다른 권역과 차이를 보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 이하는 압도적으로 ‘시민과 국회’ 덕분에 비상계엄이 빠르게 해제될 수 있었다고 응답했다. 특히 40대(83.3%)와 50대(74.5%)에서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70대 이상 남성도 49.4% 대 37.4%였으나 60대 여성(48.8% 대 47.7%) 70대 여성(33.9% 대 58.6%)은 ‘경고용 계엄’ 쪽이 높았다.

이밖에 민주당 지지층 96.4%가 ‘시민과 국회’, 국민의힘 지지층 74.7%는 ‘경고용 계엄’이라고 응답했다(무당층 ‘경고용 계엄’ 27.8% 대 ‘시민과 국회’ 58.2%). 이념성향별로 보면 진보층 92.9%와 중도층 69.0%가 ‘시민과 국회’, 보수층은 61.8%가 ‘경고용 계엄’이라고 응답해, 지지 정당과 이념 성향에 따라 계엄이 빠르게 해제된 이유에 대한 의견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체포 지원 목적’에 대한 질문에도 ‘계엄과 무관’ 대구·경북만 팽팽

이런 응답 성향은,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이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에게 “싹 다 잡아들이라”는 전화를 한 목적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조사에서도 ‘계엄과 무관한 방첩 업무 지시’ 라는 응답이 26.1%인 것에서도 드러났다.

응답자의 65.2%는 ‘국회의원과 언론인 등 체포 지원 지시’라고 응답했다. 이 역시 호남권(85.1%)과 서울(69.8%), 경인권(67.0%)에서 ‘체포 지원 지시’라는 응답이 높았으나 대구·경북에서는 응답이 팽팽하게 엇갈렸다(‘계엄 무관’ 45.2% ‘체포 지원 지시’ 42.4%).

 

이 역시 민주당 지지층의 95.1%는 ‘체포 지원 지시’라고 응답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은 ‘계엄과 무관한 방첩업무 지원 지시’라는 응답(64.5%)이 많아 지지하는 정당에 따라 의견이 달랐으나 무당층(66.7%) 3명 중 2명은 ‘국회의원과 언론인 등 체포 지원 지시’라고 응답하며, 전체적으로 체포 지시를 의심하는 응답이 우세한 경향을 보였다. 이념성향에 따라서도 진보층(91.8%)과 중도층(67.2%)은 ‘체포 지원 지시’라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중도층의 67.2%는 ‘체포 지원 지시’라고 응답했으나 보수층의 51.3%는 ‘계엄과 무관한 방첩 업무 지원 지시’라고 응답하며 다른 이념 성향과 대조되는 결과를 보였다.

윤석열 측이 헌재에서 계엄 당시 국회에서 끌어내라고 한 것은 ‘의원’이 아니라 ‘요원’이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국회의원’이라는 응답이 70.0%, ‘작전요원’이라는 응답은 25.0%였는데 대구·경북에서는 ‘국회의원’ 46.0% 대 ‘작전요원’ 47.3%로 엇비슷하게 나왔다. 민주당 지지층 98.4%가 ‘국회의원’이라고 압도적으로 응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 67.2%는 ‘작전 요원’이라고 응답했으며 무당층에서도 10명 중 8명 이상(81.4%)이 ‘국회의원’이라고 응답하여, 윤석열의 주장을 신뢰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심지어 ‘윤, 군 통수권자 복귀’에도 대구·경북 ‘찬성’ 57.6%

이같은 답변 성향은 심지어 윤석열의 군 통수권자로 복귀에 대한 생각에서도 무려 32.7%가 ‘찬성’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응답자의 66.8%가 ‘반대한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윤석열이 군 통수권자로 복귀하는 것에 ‘반대’의견이 우세했다. 특히 호남권의 87.5%가 강력하게 반대했으며, 서울(71.0%), 경인(67.9%), 충청권 (67.7%)에서도 반대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대구·경북은 윤석열이 군 통수권자로 복귀하는 것에 ‘찬성’(57.6%) 응답이 반대(42.4%)를 앞섰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 이하 모든 연령대에서 ‘반대’ 응답이 다수를 차지했다. 특히 40대의 83.7%가 강한 반대 입장을 보였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의 98.8%가 윤석열의 군 통수권자 복귀에 반대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86.8%가 복귀에 찬성하며 양측의 명확한 대립 구도를 보였다. 무당층에서도 반대가 81.1%로 압도적이었으며, 찬성은 16.7%에 그쳤다.

이념 성향 별로는 진보층의 95.4%가 복귀에 ‘반대’했고, 중도층 역시 ‘찬성’(28.8%)보다 ‘반대’ (70.5%)가 41.7%p의 격차를 보이며 반대 의견이 우세했다. 반면, 보수층에서는 68.4%가 복귀에 ‘찬성’하며 ‘반대’ 의견(30.9%)보다 우위를 보였다.

계엄 체포 대상자 명단 선정자는 ‘윤석열’ 압도적

한동훈, 이재명, 우원식을 비롯한 정치인과 언론인, 판사 등이 포함된 계엄 체포 대상자 명단을 선정한 사람이 누구라고 생각하는지 물은 결과 ‘윤석열’일 것이라는 응답이 57.5%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김용현 전 국방장관’ 13.3%,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5.8% 순이었다.

 

권역별 모든 지역, 모든 연령대, 남녀 모두, 이념 성향별 차이없이, 지지 정당 상관없이 ‘윤석열’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김용현’(26.5%)이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아 차이를 보였다. 무당층에서도 55.3%가 ‘윤석열’이라고 응답했고 ‘김용현’(14.0%)이 그 뒤를 이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