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영업익 96% 줄어 불과 6천억 원

1조 원 밑돌기는 14년 만에 처음

갤럭스 S23 호조 덕에 겨우 적자 면해

반도체 4조원 안팎 적자…"메모리 생산 하향조정"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96%가량 줄어든 것으로 발표된 7일 오전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 2023.4.7. 연합뉴스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96%가량 줄어든 것으로 발표된 7일 오전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 2023.4.7. 연합뉴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000억 원에 그쳤다. 지난해 1분기 14조 1200억 원과 비교하면 95.8%나 감소했고, 사실상 영업적자를 간신히 면한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7일 연결 기준으로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보다 95.75% 감소한 6000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이 1조 원을 밑돈 것은 2009년 1분기(5900억 원)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삼성전자는 실적 잠정치 발표 때 부문별 세부 실적을 공개하지 않지만, 통상 삼성전자 영업이익의 60∼70%를 차지하던 반도체 부문에서 4조 원 안팎의 적자를 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력 분야였던 반도체 부문의 대규모 적자를 그나마 보충한 것은 갤럭시 S23 판매 호조 등으로 모바일 사업부였던 것으로 증권업계는 분석했다. 갤럭시 S23 시리즈의 올해 1분기 판매량은 약 1100만 수준으로 S22 대비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매출은 63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9% 감소했다.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반도체 수요 둔화에 따른 출하 부진과 가격 하락이 시장의 예상보다 더 심각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는 증권가 전망치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증권사들은 삼성전자의 1분기 매출은 17.3% 감소한 64조 2953억원, 영업이익은 94.9% 급감한 7201억원으로 예측했었다. 증권가에서는 올해 초만 해도 1조∼2조 원대의 영업이익을 예상했으나, 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한 올해 1월 이미 반도체 업황이 더 나빠지면서 전망치를 더 내려 잡았다.

삼성전자는 통상 잠정실적 발표 때 매출과 영업이익 수치만 공개해온 것과 달리 작년 4분기에 이어 이번에도 보충 자료를 통해 "IT 수요 부진 지속에 따라 부품 부문 위주로 실적이 악화하며 전사 실적이 전 분기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영업이익 급감 등 실적 부진에 대응하기 위해 메모리 반도체의 감산에 들어가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이미 진행 중인 미래를 위한 라인 운영 최적화와 엔지니어링 런(시험 생산) 비중 확대 외에 추가로 공급성이 확보된 제품 중심으로 의미 있는 수준까지 메모리 생산량을 하향 조정 중"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난이도가 높은 선단 공정과 DDR5·LPDDR5 전환 등에 따른 생산 비트 그로스(bit growth·비트 단위로 환산한 생산량 증가율) 제약을 대비해 안정적인 공급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했으나, 특정 메모리 제품은 향후 수요 변동에 대응 가능한 물량을 확보했다는 것이 삼성전자의 판단이다.

구체적인 감산 규모와 시기 등을 명확히 밝히지는 않았으나 업계는 DDR4를 중심으로 감산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세계 1위 메모리 업체인 삼성전자가 감산에 돌입하겠다는 뜻을 밝힘에 따라 업계에서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세가 진정되고 업황 반등도 앞당겨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작년 4분기 콘퍼런스콜 당시에는 "올해 시설투자(캐펙스·CAPEX)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 될 것"이라며 '인위적 감산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다만 당시에도 설비 재배치 등 생산라인 최적화와 미세공정 전환 등을 통한 '자연적 감산' 여지는 남겼다.

실제로 시장에서는 이미 20%가량의 자연적 감산이 이뤄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미 감산에 나선 마이크론은 추가 감산도 시사했다. 마이크론은 최근 실적 발표에서 2023회계연도의 시설투자(CAPEX) 금액을 기존 '최대 75억 달러'에서 '최대 70억 달러'로 하향 조정해 제시했다.

하지만 문제는 2분기 전망도 어둡다는 점이다.

메모리 가격은 역대급 수요 침체로 빠르게 하락하며 '현금 원가'(cash cost)에 근접하기 시작했다. D램 고정가는 지난해 초 3.41달러에서 올해 1∼3월 1.81달러까지 하락했고, 낸드 고정가는 작년 1∼5월 4.81달러 수준에서 지난달 3.93달러까지 떨어졌다.

현재 메모리 업황에서는 가격 상승보다 출하량 증가에 따른 재고 소진이 선행돼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