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전망 전국 평균 30%, '보합' 49%, '하락' 15%

10.15 부동산 대책: 효과 없을 것 53%, 있을 것 37%

양도세 인하-보유세 인상: ‘찬성’ 52%, ‘반대’ 36%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는 횡보 ‘긍정’ 56%, ‘부정’ 35%

초강력 주택 수요 억제책으로 평가받는 10·15대책 후 전세 매물이 급감하고, 월세화가 가속하며 전월세값 동반 급등세가 심화되고 있는 26일 서울의 한 부동산에 관련 정보가 부착돼 있다. 2025.10.26 연합뉴스
초강력 주택 수요 억제책으로 평가받는 10·15대책 후 전세 매물이 급감하고, 월세화가 가속하며 전월세값 동반 급등세가 심화되고 있는 26일 서울의 한 부동산에 관련 정보가 부착돼 있다. 2025.10.26 연합뉴스

우리 국민은 부동산 시장이 불안한 것은 주택 공급 부족 때문이 아니라 과도한 투기성 수요 때문이라고 보고 있으며 거래세 인하와 보유세 인상을 찬성하는 비율이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4개사가 10월 27~29일(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279명, 중도 317명, 보수 295명)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 방식의 전국지표조사(NBS·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3.1%p)에서, 6개월 후 현재 거주 지역의 전반적인 주택가격에 대해 ‘변화가 없을 것이다’는 전망이 49%로 나타난 가운데, ‘오를 것이다’는 전망이 30%, ‘내릴 것이다’는 전망이 15%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보합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서울에서는 상승 전망이 45%, 보합 전망이 37%로 타 지역에 비해 상승 전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향후 1년 내 이사 가능성이 없는 응답자(n=776)는 보합 전망이 우세했으나, 1년 내 이사 가능성이 있는 응답자(n=204)에서는 상승과 보합 전망이 엇비슷했다.

 

 

서울 전 지역 및 경기도 12개 지역을 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주택담보대출 조건을 강화하는 10.15 부동산 대책이 ‘효과가 없을 것’(전혀+별로)이라는 전망이 53%, ‘효과가 있을 것’(매우+다소)이란 전망이 37%로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에 비해 높았다(모름/무응답 11%).

연령별로는 40~50대에서는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다른 모든 연령층에서 부정 평가가 높았고, 지역별로는 광주/전라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효과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 높았다. 앞으로 1년 이내에 이사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층(n=204)에서는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부정 전망(60%)이 긍정 전망(31%)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높았다.

 

부동산 시장 불안정 원인: 과도한 투기성 수요 69% 압도적
거래세 인하-보유세 인상’: 찬성한다 52%, 반대한다 36%

현재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과 관련해, ‘과도한 투기성 수요의 문제가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응답이 69%, ‘주택 공급 부족의 문제가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응답이 22%였다.

모든 응답층에서 ‘부족한 주택 공급’보다 ‘과도한 투기성 수요’가 더 문제라고 응답한 가운데,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n=279)과 중도층(n=317)에서 ‘과도한 투기성 수요’를 지적한 비율이 특히 높게 나타났다.

 

주택을 거래할 때 발생하는 양도소득세, 취등록세 등 거래세는 낮추고 일정 금액 이상의 주택에 대한 보유세를 높이는 방안에 대해서는 ‘찬성한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52%, ‘반대한다’는 부정적인 반응이 36%였다.

 

연령별로는 40대와 50대에서 특히 찬성 의견이 많았고,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n=393)에서는 찬성 의견이, 국민의힘 지지층(n=252)에서는 반대 의견이 우세했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n=279), 중도층(n=317)에서는 찬성 의견이, 보수층(n=295)에서는 반대 의견이 우세했다. 주택 소유 현황별로는 무주택자(n=277)와 1주택자(n=565)에서는 ‘찬성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으나, 2주택 이상 보유자(n=139)에서는 ‘찬성한다’는 응답과 ‘반대한다’는 응답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진보층 88%, 중도층 57%가 국정운영 긍정 평가
대통령 국정운영 방향성 평가: ‘올바른 방향’ 55%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잘하고 있다’(매우+잘함)는 긍정적 평가는 56%, ‘잘못하고 있다’(매우+못함)는 부정적 평가는 35%로 조사됐다(모름/무응답 10%). 2주 전 조사와 같은 수치다. 이념성향별 진보층(n=279)과 중도층(n=317)에서는 긍정 평가가 각각 88%, 57%로 높은 반면, 보수층(n=295)에서는 부정 평가가 65%였다.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성에 대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매우+대체로)는 응답이 55%,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매우+대체로)는 응답이 37%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 진보층(n=279)과 중도층(n=317)에서는 ‘올바른 방향’이라는 응답이 각 89%, 54%로 높은 반면, 보수층(n=295)에서는 ‘잘못된 방향’이라는 응답이 67%로 조사됐다.

 

정당지지도: 민주당 39%, 국민의힘 25%, 조국혁신당 3%
정당호감도: 민주당 49%, 국민의힘 30%, 조국혁신당 32%

정당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39%, ‘국민의힘’ 25%, ‘조국혁신당’ 3%, ‘개혁신당’ 3%, ‘진보당’ 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태도유보’ 25%). 지난 10월 3주 조사 결과와 대체로 유사하다.

정당별 호감도의 경우, ‘호감이 간다’(매우+호감이 가는 편)는 응답이 더불어민주당 49%, 국민의힘 30%,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18%, 진보당 21%로 나타났다. 각 정당의 호감도는 지난해 같은 시점인 24년 10월 4주차 결과와 유사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