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기획위 '국정과제' 이름에 보기 힘든 한글

핵심 용어에 한자말 84%, 토박이말은 14%

K-컬처, AI 등 외국어도 자리를 파고드는 현실

'토박이말'과 '한글' 살릴 국정과제 추가하기를

광복 80돌을 맞는 뜻깊은 해에, 새 정부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가슴 벅찬 큰 뜻을 보여주었습니다. 지난 13일 발표된 '123대 국정과제'는 대한민국이 나아갈 길을 밝히는 등대와 같으며 그 뜻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약속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국정운영 5개년 계획
국정운영 5개년 계획

정부는 이번 국정과제를 '대한민국 5년의 나침반'이자 '국정운영의 설계도'이며, '국정을 관리하고 평가하는 기준점'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크나큰 뜻과 꼼꼼한 계획이 담긴 이 밑그림을 보며 많은 사람들이 새 정부에 새로운 기대를 품었을 것입니다. 다만 그 훌륭한 밑그림을 더욱 알차고 튼튼하게 만들어줄 '주춧돌' 하나가 빠져 있는 듯하여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 바로 우리 문화의 바탕이자 겨레 얼이 담긴 '토박이말'과 '한글'에 대한 정책적 보살핌입니다.

우리가 왜 이 주춧돌을 이야기해야 하는지는, 국정과제에 쓰인 말을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넉넉하게 어림할 수 있습니다. 123개 과제 이름을 이루는 데 쓴 모두 667개의 알맹이 낱말을 살펴보니, 정책 내용을 풀이하는 말에 '한자말'이 557개(83.51%)나 됩니다. 이는 나라 살림의 전문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때로는 국민과 정책 사이에 거리감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에 견주어, 우리의 삶과 얼을 오롯이 담고 있는 토박이말은 87개(13.04%)에 그쳐, 우리가 가진 넉넉한 말글살이 밑천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아쉬움을 남깁니다. 여기에 'AI', '글로벌', '디지털', '콘텐츠', 'K-컬처', '거버넌스', 'NEXT(넥스트)', '바이오헬스', 'K-AI 시티', '코리아 프리미엄', '시스템', '스포츠', 'K-방산', 'G7+'과 같은 외국어(23개, 3.45%)가 자리를 파고드는 모습입니다. 우리가 스스로 우리말과 글을 지키려고 애를 쓰지 않으면 우리말과 글이 설 자리를 잃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우리가 왜 토박이말과 한글 정책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값진 바탕 자료입니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2025.8.13. 연합뉴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2025.8.13. 연합뉴스

말할 것도 없이 정부는 103번 'K-컬처 시대를 위한 콘텐츠 국가전략산업화 추진'과 104번 '전 국민이 누리고 세계인과 소통하는 K-컬처'라는 과제를 통해 문화강국으로 나아가려는 뜻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참된 문화강국은 살아 숨 쉬는 숨탄것(생명체)와 같습니다. 우리 겨레의 삶과 얼이 오롯이 녹아있는 '토박이말'이 그  뼈대이자 몸통이라면, '한글'은 그 몸통을 싣고 드넓은 하늘로 솟구치게 하는 두 날개입니다. 대한민국 문화의 꾸준한 발전을 위해서라도 이제는 우리 문화의 몸통을 살찌우고 날개를 힘차게 가꾸는 일에 눈을 돌려야 할 때입니다.

이것이 더욱 안타까운 까닭은, 이러한 제언이 이미 준비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토박이말 진흥을 바라는 국민들’은 새 정부의 성공을 바라는 마음으로 ‘토박이말 진흥 정책 제안서'를 국정기획위원회에 이어주었습니다. 이 제안서는 어려운 다른 나라말과 한자말 때문에 국민의 '알 권리'가 막히는 현실을 넘어, 참된 언어 주권을 이루는 길을 하나하나 담고 있었습니다.

제안서는 ▲정책의 구심점이 될 '국립 토박이말 진흥원' 만들기 ▲대학 전공 개설 등 '전문 일꾼을 키우는 틀' 마련 ▲공공 부문부터 토박이말 쓰기를 앞장서는 '살가운 사용 환경' 만들기라는 세 가지 큰길을 담았습니다. 결코 비판을 위한 비판을 하자는 게 아닙니다. 정부의 '나침반'이 더 바른길을 가리키고, '밑그림'이 더욱 튼튼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모인 보탬말이었습니다.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123개의 과제에 더해, 우리 문화의 뿌리를 튼튼히 할 '124번째 국정과제'로 토박이말과 한글을 살리는 정책을 받아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국민이 주인인 나라'라는 국정의 큰 뜻은, 그 주인인 국민이 가장 쉽고 편안하게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말과 글을 아끼고 가꿀 때 비로소 이룰 수 있습니다.

부디 국민들의 참마음이 담긴 제안에 귀를 기울여, 언어문화라는 굳고 튼튼한 주춧돌 위에 세계가 우러러보는 참된 문화강국을 세워주시길 바랍니다. 새 정부가 그 크디큰 걸음을 내디디리라 믿으며, 온 마음으로 빕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