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1 → 1:4 역전…윤 정권과 국힘에 '레드카드'
서울·충청·전남·경남 석권한 야권, TK에 여당 봉쇄
혁신당, 첫 지자체장 배출…내년 호남 공략 교두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치러진 4·2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 야권이 압승을 거뒀다. 야권 후보들은 보수세가 강한 부산과 경남을 비롯해 '민심의 풍향계'라 불리는 충청권에서도 국민의힘 후보를 큰 격차로 꺾었다. '윤석열 탄핵'에 대한 민심이 그대로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보수세 강한 경남 거제시장 재선거에서 56.75%를 득표한 민주당 변광용 후보가 38.12% 득표율을 기록한 국민의힘 박환기 후보를 큰 표차로 제치고 당선됐다. 거제는 지난 2022년 지선에 이어 지난해 4·10 총선에서도 국민의힘 후보가 내리 당선된 곳이지만, 이번 재보선에서는 민주당 후보가 승리했다.
부산시 교육감 재선거에서도 진보 성향의 김석준 후보가 51.13%를 득표해 2위인 정승윤 후보(40.19%)를 약 11%포인트(p)차로 따돌리고 당선됐다. 3위 최윤홍 후보는 8.66%에 그쳤다. 특히 검사 출신인 정 후보는 현 정부에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낸 친윤계 인사다. 보수 성향이 강한 부산에서 정 후보가 큰 표차로 낙선한 것은 현 정권에 대한 민심을 그대로 보여준다는 평가가 나온다.
'민심의 풍향계'로 평가되는 충남권의 아산시장 재선거에서는 57.52%를 득표한 민주당 오세현 후보가 39.92%를 득표한 국민의힘 전만권 후보를 약 17%p 차이로 꺾었다. 아산은 윤석열 정권 출범 직후 열린 2022년 지선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됐지만, 4·10 총선에서는 아산갑(복기왕)과 을(강훈식) 2곳 모두 민주당 의원들이 당선됐다.
서울 구로구청장 보궐선거에서는 민주당 장인홍 후보가 56.03%를 득표해 여유있게 당선됐다. 자유통일당 이강산 후보는 32.03%, 조국혁신당 서상범 후보는 7.36%, 진보당 최재희 후보는 4.56%를 기록했다. 국민의힘은 보선의 원인을 제공한 책임으로 후보를 내지 않았다. 문헌일 전 청장은 지난해 10월 자신이 설립·운영하는 회사 주식과 관련해 백지신탁 결정이 내려지자 이에 불복해 자진 사퇴했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후보 2파전으로 야당끼리 맞대결을 펼친 전남 담양군수 재선거에서는 이변이 벌어졌다. 조국혁신당 정철원 후보가 51.82%를 득표해 당선되면서, 혁신당은 창당 이후 첫 기초자치단체장을 배출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행정관을 지낸 민주당 이재종 후보 득표율은 48.17%였다. 두 후보간 득표수 격차는 904표였다. 혁신당은 이번 당선으로 내년 지선에서 호남을 공략할 교두보를 놓게 됐다.
경북 김천시장 재선거에서는 국민의힘 배낙호 후보가 51.86%를 득표해 무소속 이창재(26.98%), 민주당 황태성(17.46%) 후보를 꺾고 당선됐다. 김천은 2022년 지방선거와 지난해 4·10 총선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높은 득표율로 당선된 지역이다. 12·3 내란에도 극우 정당이 여전히 기세를 떨치는 것으로 보인다.
광역의원 재보선이 치러진 8곳 중 국민의힘은 4곳(대구 달서, 인천 강화, 충남 당진, 경남 창원마산회원), 민주당은 3곳(대전 유성, 경기 성남분당, 경기 군포)에서 승리했다. 경북 성주는 무소속 후보가 단독 입후보해 무투표로 당선됐다.
기초의원 재보선이 치러진 9곳을 보면 국민의힘은 2곳(경북 고령, 인천 강화), 민주당은 6곳(서울 중랑·마포·동작, 전남 광양·담양, 경남 양산)에서 승리했다. 전남 고흥은 무소속 후보가 당선됐다.
이번 재보선은 서울 구로구청장 등 기초단체장 5곳과 부산시 교육감 1곳 등 전국 23곳에서 실시됐다. 기초단체장 재보선 권역만 놓고 본다면 서울과 충청, 전남, 경남 등 서남권을 모두 야권이 석권하면서 여권을 대구·경북 지역에 묶어놓은 형국이 이뤄졌다.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비슷한 흐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편 이번 재보선 최종 투표율은 26.27%로 잠정 집계됐다. 국회의원이나 광역단체장 선거가 없는 '미니 재보선'으로 치러지고, 선거운동 기간 영남권 산불 사태, 윤석열 탄핵 정국 등의 상황이 겹치면서 과거보다 선거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