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단체들, 언론재단 해외연수 선발 취소 비판 성명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자체 선발한 해외장기연수 예정자에게 규정에도 없는 선발 취소를 통보한 것에 대해 언론비상시국회의 등 언론시민단체들이 18일 “정권 핵심의 심기를 거스르는 오보를 했다는 이유로 심사위원단의 결정을 언론재단 내부 임원들이 뒤집은 쿠데타와 같은 행위”라고 비판했다.
언론비상시국회의·동아투위·조선투위·80년해직언론인협의회·언론광장·새언론포럼은 이날 공동 성명에서 “언론진흥재단은 심사위원단이 선발규정에 따라 내린 최종 결정을 정당한 이유 없이, 필요한 절차도 밟지 않고 번복했다”며 “무엇보다 비판적 언론 활동을 위축시키려 사후 검열을 했다. 치졸한 보복이 아닐 수 없다”고 규탄했다.
"친윤 언론인들 재단 임원으로 들어온 직후 벌어진 사태"
이들 단체는 특히 이번 사태가 "중립적인 자세로 자유로운 언론 활동을 지원해야 할 언론진흥재단에 의해 이뤄졌다는 사실에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면서 "아울러 이번 사태가 최근 ‘친윤 언론인들’이 언론진흥재단의 임원으로 임명된 직후 벌어졌다는 사실에 주목한다"고 말했다.
이어 “앞서 대통령실이 윤 대통령의 바이든 대통령 비하 발언 보도를 이유로 MBC 기자의 대통령 동행 취재를 위한 전용기 탑승을 막은 일이 있었는데, 그 연장선상에서 ‘친윤 언론인’들이 장악한 언론재단이 윤 정권에 조금이라도 부정적인 보도를 하는 기자는 연수 기회조차 주지 않겠다는 경고를 보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언론재단에 대해 KBS 기자의 연수 취소 결정을 즉각 철회할 것, 이번 사태의 전말을 밝히고 책임자를 문책할 것, 정권에 굴종하는 자세를 버리고 언론인들에게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언론재단은 지난 12일 ‘한일정상회담 일장기 경례’라는 오보를 내보낸 KBS 범기영 기자에 대해 해외연수를 취소했었다. 언론재단이 해외연수자 선발을 취소한 건 이번이 처음으로, 연수자 선발에 재심사 또는 취소 규정은 없다.
기자협회보에 따르면 심사위원회는 재단 내부 인사 2명과 외부 인사 3명 등 총 5명인데, 이번 취소는 내부 심사위원과 재단 임원들의 결정만으로 이뤄졌다.
아래는 성명서 전문이다.
언론진흥재단의 KBS 기자 연수취소는 ‘비판 언론인 길들이기’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한일정상회담 때 윤석열 대통령이 일장기에만 경례했다고 잘못 보도한 <한국방송(KBS)> 기자에 대해, 이미 결정된 해외 장기연수 지원을 취소하는 결정을 했다. 일찍이 없던 일이다.
언론진흥재단은 심사위원단이 선발규정에 따라 내린 최종 결정을 정당한 이유 없이, 필요한 절차도 밟지 않고 번복했다. 단언컨대 정권 핵심의 심기를 거스르는 오보를 했다는 이유로, 심사위원단의 결정을 내부 임원들이 뒤집은 것이다. 쿠데타가 따로 없다.
언론진흥재단은 헌법에 규정된 소급 처벌 금지의 정신을 어겼다. 무엇보다 비판적 언론 활동을 위축시키려 사후 검열을 했다. 치졸한 보복이 아닐 수 없다.
이 조치가 중립적인 자세로 자유로운 언론 활동을 지원해야 할 언론진흥재단에 의해 이뤄졌다는 사실에 우리는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 아울러 이번 사태가 최근 ‘친윤 언론인들’이 언론진흥재단의 임원으로 임명된 직후 벌어졌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앞서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바이든 대통령 비하 발언 보도를 이유로 <문화방송> 기자의 대통령 동행 취재를 위한 전용기 탑승을 막은 일이 있다. 그 연장선에서, ‘친윤 언론인들’이 장악한 언론진흥재단이 윤 정권에 조금이라도 부정적인 보도를 하는 기자는 연수 기회조차 주지 않겠다는 경고를 보낸 것으로, 우리는 본다.
영원한 언론인으로서 우리는, 언론진흥재단의 반성을 강력히 촉구하면서 이렇게 요구한다.
1. 언론진흥재단은 한국방송 기자의 연수 취소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
2. 언론진흥재단은 이번 사태의 전말을 그대로 밝히고, 책임자를 문책하라.
3. 언론진흥재단은 정권에 굴종하는 자세를 버리고 언론인들에게 사과하라.
2023년 4월 18일
언론비상시국회의, 동아투위, 조선투위,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 언론광장, 새언론포럼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