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명이나 되는 생명 죽었는데 아무도 책임 안 져"
"애도를 말하면서 오히려 시민들 침묵 속에 가두려"
"윤 대통령, 사람다움 부정하는 비정 가장 무거운 죄"
"희생자 이름 부르며 기도가 패륜? 백번 천번 하겠다"
“10.29 참사의 희생자들은 쉬이 갈 수 없는 길을 떠났습니다. 우리는 쉬이 보낼 수 없는 비통한 마음으로 이 자리에서 묻습니다. 158명이나 되는 생명이 죽었는데도 아무도 책임지지 않습니다. 지금은 애도할 때이지 참사의 원인을 따질 때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정의구현사제단)은 14일 저녁 서울 중구 서울파이낸스센터 앞에서 ‘용산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 미사’를 열었다. 숙연한 분위기에서 진행된 미사에는 사제단 소속 신부와 함께 신자를 비롯한 일반 시민 등 800여 명이 참석했다. 시민들은 저마다 손에 촛불을 들고 함께했다.
강론을 맡은 사제단 대표 김영식 신부(안동교구 태화동성당)는 “정부는 시시비비를 따져 다시는 이런 고통스러운 참사가 재발되지 않도록 시민의 안전을 책임지고 보호해야 할 의무를 지니고 있다. 언론은 참사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이고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느냐를 매섭게 따져 물어야 한다. 무엇 때문에 우리의 아들과 딸, 손자, 손녀, 이웃사촌이 보호받지 못하고 죽어야만 했는지를 밝혀야 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정부와 언론은 애도를 말하면서 오히려 시민들을 강제된 침묵 속으로 가두어두려고만 한다”며 “애도하면, 원인 규명을 하라고 요구하면, 책임자를 처벌하라고 하면 모두 패악의 집단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애도하고 원인을 규명해 달라고 요구하고, 참사의 책임자를 처벌하라고 요구하는 것이 패악이라면 우리는 패악질을 서슴지 않겠다”고 밝혔다.
또 “패악질을 서슴지 않는 모든 사람들에게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은 배후가 되겠다. 그들의 동반이 되겠다”면서 “그들의 손을 잡고 미래의 희망찬 나라로 함께 가자고 기도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미사에서 김 신부는 희생자들의 이름을 가나다순으로 일일이 호명하며 그들의 안식을 기원했다.
이날 미사에선 사제단의 성명서도 발표됐다. 상지종 신부(의정부교구 교하성당)가 낭독한 성명서를 통해 사제단은 윤석열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했다.
사제단은 “최근 대통령 윤석열의 퇴진을 촉구하는 함성이 각계각층으로부터 봇물 터지듯 나오고 있다”며 “집권 초기부터 상식에서 한참 벗어난 기이한 행실과 국정 운영으로 경제, 외교, 안보 등 국정 전반에서 나라를 위기로, 온 국민을 궁지에 빠뜨리고 있는 잘못들 때문이겠지만 사제들은 한사코 사람의 사람다움을 부정하려 드는 그의 목석같은 무정과 비정을 가장 무거운 죄로 여긴다”라고 밝혔다.
사제단은 “분노할 일에 분노하고 사람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서도 남김없이 울어야 한다. 끝까지 남아서 울었던 마리아가 부활의 최초 목격자여 증언자가 되었다는 사실을 생각하자”며 “진심으로 통곡할 줄 아는 양심이라야 복음이 주는 기쁨을 빼앗기지 않는다”라고 호소했다.
김 대표신부는 또 15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10‧29 참사로 희생된 사람들의 영혼도 하느님의 품 안에서 영원한 안식을 누리라고 한 분 한 분 이름을 정성껏 불렀다”며 “이름을 부르면 패륜이라고 하는데, 이름을 부르면서 기도하는 것이 패륜이라면 백 번이고 천 번이고 패륜하는 기도를 할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이어 “기도함으로써 패륜하는 사람들의 길동무가 되는 것이 기도해야 할 사제들의 몫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시민언론 민들레‧더탐사에서 희생자들 명단을 공개한 것을 두고 논박이 있는데 대해선 “부담은 전혀 없었다”며 “희생자들을 호명한 것은 어떤 정치적 프레임으로 가둬서 이리저리 휘두르는 사람들에게 시민들의 자유를 옭아매지 마라, 그런 생각들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