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모 권리 보장하라"…오후 2시 15분쯤 설치 마무리

경찰과 서울시 공무원 방해, 유족 쓰러져 치료 받기도

"대통령 사과" "이상민 파면" 요구… 경찰, 채증 위협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시민들이 추모행진을 하자 경찰이 물리력을 행사해 저지하고 있다. 김성진 기자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시민들이 추모행진을 하자 경찰이 물리력을 행사해 저지하고 있다. 김성진 기자

10·29 이태원참사 100일을 하루 앞둔 4일 유가족과 시민들이 경찰의 방해를 무릅쓰고 서울시청 앞에 시민 분향소를 설치했다.

유가족을 비롯해 종교계 인사와 시민들은 이날 오전 11시쯤 녹사평역 시민분향소에서 대통령실이 있는 삼각지역을 지나 광화문 광장을 향해 추모행진을 시작했다. 오후 1시 10분쯤 행렬이 광화문광장에 이르렀을 즈음 그 숫자는 2000여 명에 이르렀다.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과 남인순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의 얼굴도 보였다.

경찰이 이들을 저지하려 하자 유가족과 시민들은 구호를 외치기 시작했다. “추모할 권리를 보장하라.” “국가책임 인정하고 대통령은 공식 사과하라.” “참사의 최고책임자 행정안전부 장관 파면하라.”

이 과정에서 경찰이 물리력을 행사하자 유가족과 시민들은 다시 “경찰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시민 여러분 경찰을 막아주십시오” “시민 여러분 인도로 모여 주십시오, 인도에서 경찰이 시민을 밀고 있습니다” 라고 외치며 시민들의 동참과 질서유지를 호소했다.

서울시 공무원 수십 명도 경찰을 도와 분향소 설치 방해에 나서는 모습도 보였다. 이 과정에서 한 유족이 쓰러져 치료를 받기도 했다.

경찰을 밀어낸 시민단체 회원, 자원봉사자 등은 곧바로 천막을 치고, 미리 준비한 목재로 분향소 설치 작업을 시작했다. 우여곡절 끝에 분향소는 오후 2시 15분쯤 설치가 마무리됐다.

애초 유가족과 시민단체 등은 광화문 광장 옆 세종로 공원에 분향소를 차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서울시가 끝내 추모대회와 추모장소 설치 등 광화문 광장 사용을 불허하면서 유가족과 시민들은 서울시청 앞에 분향소를 설치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경찰은 유가족과 시민들에게 “집회 및 시위에 관힌 법률 위반이니 채증하겠다”며 유가족과 시민들을 향해 계속 경고하기도 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시민들이 경찰과 서울시 공무원들의 방해 속에 분향소를 설치하고 있다. 김성진 기자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시민들이 경찰과 서울시 공무원들의 방해 속에 분향소를 설치하고 있다. 김성진 기자

[이태원 참사 관련 기사의 댓글창 운영에 대해 알려 드립니다] 

이태원 참사 집중 추모기간인 2월 3~5일에 2차 가해의 온상으로 지적되는 댓글창을 닫아 달라는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의 요청에 대해 시민언론 민들레는 그 취지에 전적으로 공감한다는 뜻을 밝힙니다. 

다만 민들레의 관련 기사 댓글창에는 다른 매체들과 달리 참사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 및 진상규명 노력을 지지하는 글들 외에 2차 가해에 해당되는 글은 거의-‘전혀’라고 해도 될 정도로-달리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민들레는 댓글창을 닫아 시민들의 지지와 응원의 글을 막기보다는 이 기간 중에 혹시 달릴 수 있는 2차 가해성, 악성 댓글을 발견하는 대로 즉시 삭제 조치하는 방식으로 ‘댓글창 닫기’에 동참하기로 했음을 알려 드립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