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정보학회 세미나, 주류 언론 기사 분석 결과

건수로 YTN이 최다, 비중은 TV조선이 최고

채널A·매경·조선·중앙도 '내란동조' 비중 높아

'내란비판' 최고는 경향·MBC·JTBC·한겨레 순

공영언론 KBS·연합뉴스 어정쩡한 중간 순위

내란 완전종식하려면 내란동조 언론 가려내야

‘기레기’로 불려온 우리 주류 언론의 나락(奈落;도저히 벗어나기 힘든 절망적인 상황)은 어디까지일까? 2024년 12.3 비상계엄 이후 우리 주류 언론들은 이전보다 훨씬 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내란과 같은 민주주의 위기가 닥쳤을 때 과연 주류 언론들은 이를 막아내고 바로잡을 능력과 의지가 있는가? 주류 언론의 역할과 책임을 넘어 존재 의미에 대해 국민들은 다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주류 언론들은 윤석열이 보낸 무장군인들이 국회를 침탈했던 그날 밤 현장을 생중계함으로써 시민들의 분노를 이끌어냈고 그 분노는 비상계엄을 막아내는 힘이 되었다. 유튜브와 SNS 같은 뉴미디어도 한몫을 하긴 했지만, 많은 국민들에게 정확하고 풍부하고 체계적인 기사와 논평을 제공한 것은 주류 언론들이었다.

그러나 주류 언론을 향한 국민들의 박수는 오래 가지 않았다. 망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내란범죄자들과 지지자들에게 마이크와 카메라를 빌려주고, 내란수괴의 파면 여부를 결정할 헌법재판소를 흔들기 시작했다. 내란 진압에 나선 야당을 향해서는 (그전에도 그랬듯이) 오히려 내란 정당인 여당에 비해 훨씬 거친 비판을 멈추지 않았다. 

 

YTN의 탄핵찬성 vs 탄핵반대 집회 보도 장면. 유튜브 갈무리.
YTN의 탄핵찬성 vs 탄핵반대 집회 보도 장면. 유튜브 갈무리.

물론 ‘모든’ 주류 언론이 ‘항상’ 내란에 동조한 것은 아니다. 여러 매체들이 윤석열 일당의 끔찍한 비상계엄과 이를 지지하는 극우세력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또 한편에서 한국 사회의 엘리트 집단으로 영향력을 자랑하는 여러 주류 언론들이 내란범의 편에 선 듯한 보도를 쏟아냈다. 중립을 가장해 사실상 내란세력을 옹호하는 프레임도 만들어냈다.

모든 주류 언론을 싸잡아 ‘기레기’라고 부르고 싶지 않다면 옥석을 가려야 한다. 그래야 시민들이 나쁜 언론은 멀리하고 좋은 언론은 키울 수 있다. 여론 형성에 막강한 영향을 끼치는 주류 언론들, 이 가운데 내란범죄에 동조하는 보도를 가장 많이 한 언론과 가장 비판적인 언론은 각각 어디였을까?

경희대 미디어학부 이종혁 교수가 이런 내용을 조사해서 지난 27일 한국언론정보학회와 민언련이 주최한 세미나에서 발표했다. 조사 대상 매체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종합일간지), KBS, MBC, SBS(지상파 방송), TV조선, JTBC, 채널A, MBN(종편방송), YTN(보도전문채널), 연합뉴스(통신), 매일경제(경제지) 등 15개다. 윤석열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해 12월 3일부터 윤석열이 구속되던 올해 1월 26일까지 약 두 달여 사이 포털 네이버에서 ‘윤석열’ ‘계엄’ ‘탄핵’ ‘내란’으로 검색해 모은 기사 8,432건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경희대 이종혁 교수가 분석한 15개 언론매체의 내란동조-내란비판 보도 건수 및 비중. 뉴스토마토 유튜브 화면 갈무리.
경희대 이종혁 교수가 분석한 15개 언론매체의 내란동조-내란비판 보도 건수 및 비중. 뉴스토마토 유튜브 화면 갈무리.

언론사별 보도 경향을 분석한 결과, 15개 주류 언론매체 가운데 내란·탄핵 관련 기사를 가장 많이 보도하고, 그 중 내란에 비판적인 기사 비율이 가장 높았던 언론은 (예상대로) 경향신문, 한겨레, MBC 등이었다.

반면, 내란 관련 보도가 적었고 비판적 보도 비율도 낮은 언론 TV조선, 채널A였으며, 관련 보도는 많았지만 비판 보도의 비율이 낮은 매체는 YTN으로 조사됐다.

‘내란동조’와 ‘내란비판’ 기사를 분류해서 기사 건수로 살펴 보자. 우선 ‘내란 동조’ 기사를 가장 많이 보도한 언론사는 보도전문채널 YTN이었다. YTN의 내란 관련 기사는 총 845건이었는데, 이 가운데 ‘내란동조’ 기사는 103건으로 다른 14개 언론사 가운데 최다였다. 이는 ‘내란동조’ 기사 건수 2~3위인 한겨레(69건), 매일경제(65건)와 비교해 월등히 많은 건수다.

‘내란동조’와 ‘내란비판’ 내용을 섞어서 보도한 ‘혼재’ 기사도 따로 분류했다. 이른바 ‘혼재’ 기사는 기계적 중립을 표방한 것으로 사실상 ‘내란동조’나 다름없다고 볼 수 있다. 탄핵촉구 집회와 탄핵반대 집회를 나란히 보도하는 것이 이 사태를 ‘정치적 공방’ ‘논쟁거리’처럼 인식하게 해 결국 윤석열 일당의 내란에 적잖은 정당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YTN은 이런 ‘혼재’ 기사에서도 136건으로 1위였다. ‘혼재’ 기사 2위인 KBS(51건), 3위 연합뉴스(48건)보다 2배 이상 많은 건수다.

YTN의 ‘내란동조’와 ‘혼재’를 합친 사실상 ‘내란동조 성향’의 기사는 무려 239건으로, 전체 내란 관련 기사(845건)의 30%에 달했다. 이는 15개 언론사 전체 내란 관련 기사(8,432건)에서 ‘내란동조’(672건)+‘혼재’(571건)가 차지하는 비중 15%의 2배 정도에 해당한다. ‘24시간 보도채널인 YTN을 보고 있으면 24시간 내란동조 보도를 보는 것 같다’는 말이 과장만은 아니었던 것이다.

 

YTN 사옥 모습. 인터넷 사진.
YTN 사옥 모습. 인터넷 사진.

이번엔 ‘내란 비판’ 순위를 보자. ‘내란 비판’ 기사가 가장 많은 언론은 예상대로 경향신문(972건), 한겨레(858건), 연합뉴스(690건), MBC(645건) 순이다. 내란비판 기사가 가장 적은 매체는 채널A(97건), TV조선(137건), 조선일보(238건) 등이다.

전체적으로 내란 관련 보도가 많으면 ‘내란동조’ 기사와 ‘내란비판’ 기사도 많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전체 기사에서 ‘내란동조’ 또는 ‘내란비판’ 기사가 차지하는 비율을 따져보면 매체의 논조를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전체 내란 관련 기사 중 ‘내란동조’ 기사 비율이 가장 높은 매체는 TV조선(14.3%), 매일경제(13.2%), YTN(12.2%), 중앙일보(11%), 채널A(10.9%), 조선일보(9.7%) 순이었다.

이 결과는 ‘내란 비판’ 기사의 비중이 가장 낮은 매체 순서와 거의 비슷한다. ‘내란 비판’ 비중이 낮은 매체 순서는 TV조선(61%), 채널A(70.8), YTN(70.9%), 매일경제(77.4%), 조선일보(79.9%), 중앙일보(80.2%) 였다. ‘내란 비판’ 기사 비중이 가장 높은 매체는 경향신문(91.6%), MBC(90.3%), JTBC와 한겨레(88.8%) 등이었다.

‘내란동조’와 ‘혼재’ 기사를 합친 ‘사실상 내란동조’ 기사의 비중을 보자. TV조선이 29.1%, YTN이 28.3%, 채널A가 22.6% 순이었다. ‘내란 동조’ 보도 성향이 가장 높은 매체 1, 2위는 TV조선과 YTN이었다고 할 수 있다. TV조선은 윤석열을 대통령으로 만든 극우 매체 조선일보의 자매회사로 어쩌면 ‘내란 동조’ 보도 1등이 그렇게 이상하지는 않다. 그러나 한때 비교적 신뢰할 만한 보도전문채널로 생각되어온 YTN의 ‘내란 동조’ 행태가 아쉽다. YTN 민영화가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래도 뜻밖이다. 

 

TV조선 뉴스 화면 유튜브 갈무리. 
TV조선 뉴스 화면 유튜브 갈무리. 

특별히 공영방송 KBS와 국가기간통신사인 연합뉴스를 살펴본다. 국민의 세금이 투입된 언론이고 그래서 공적 책임이 더 큰 언론사이기 때문이다. KBS의 경우 ‘내란 동조’와 ‘혼재’를 합친 ‘사실상 내란 동조’ 기사의 비중이 14%, 연합뉴스는 12.7%다. 이는 15개 매체의 중간 정도 순위에 해당한다. 공영언론임을 감안할 때 KBS와 연합뉴스가 이번 내란 사태 보도에서 그다지 칭찬받을 만한 모습은 아니었다고 볼 수 있다.

수구기득권 언론 동맹인 이른바 ‘조중동’ 카르텔 중 동아일보가 눈에 띈다. 동아일보는 전체 내란 관련 기사(450건)가 많은 편은 아니지만, 그 중 무려 85%인 386건이 ‘내란 비판’ 보도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내란 비판’ 보도 건수 순위에서 한겨레의 뒤를 이어 무려 5위다. 창간 당시 가장 치열하게 쿠데타 세력과 싸우며 민주주의 회복에 크나큰 역할을 했던 한겨레가 이번 내란 사태 보도에서는 그다지 두각을 나타내지 않은 것은 의외라고 해야할까. 

조만간 윤석열 내란수괴가 헌재에서 파면 선고를 받고 형사법정에서도 내란혐의가 인정돼 사형 또는 무기징역형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것으로 내란 상황이 완전히 종결되지는 않을 것이다. 내란수괴 윤석열을 지지하는 극우 파시즘 세력은 그대로 남아 민주주의와 헌법 질서를 흔들 것이다.

주류 언론들은 그동안 사회적 책임은 다하지 않으면서 ‘언론 자유’만을 앞세워 어떤 간섭이나 통제도 받지 않았다. 전에도 그랬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주류 언론들이 불신을 넘어 혐오의 나락에 빠진 이유다. 그러나 내란에 동조하며 극우 파시즘 세력에게는 양분을, 민주주의에는 독극물을 뿌리고 있는 언론들을 그대로 두고서는 민주주의와 헌법질서의 위기가 사라질 수 없다. 독극물 언론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