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 위기 닥치면 어깨 겯고 광장에 나서는 국민

한국인들의 국난 극복 전통의 바탕은 ‘우리주의’

내 것 네 것 없이 공유하고 나누는 식구가 바로 우리

항쟁을 축제로 만드는 ‘어화둥실~’ 한국인들의 흥

사회대개혁은 ‘우리’ 강화하는 대동세상 만들어야

김태형 심리연구소 '함께' 소장
김태형 심리연구소 '함께' 소장

한국인들의 자랑스러운 국민항쟁 전통

프랑스인들은 자기 나라를 프랑스대혁명의 나라로 부르면서 자랑스러워한다. 프랑스인들은 자신들이 유럽 대륙에서 가장 모범적이고 철저한 시민혁명을 수행한, 저항정신이 투철한 민족이라는 자긍심과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런 프랑스인들도 한국인들에게는 명함을 내밀기 어렵다. 과거의 (지배층에 의해 민란이라는 모욕적인 명칭으로 불렸던) 장구한 국민항쟁의 역사는 차치하더라도, 한국인들은 1950년대 한국전쟁 이후에만도 줄기찬 국민항쟁으로 정권을 3~4번이나 교체한, 전무후무한 세계사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즉 한국인들은 1960년 4.19혁명으로 이승만 독재정권을 퇴진시켰고, 1980년대에는 6월항쟁으로 군부독재를 역사의 무대 뒤로 퇴장시켰으며(80년에는 진보적인 세계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광주에서의 영웅적인 무장항쟁과 해방광주도 있었다), 2000년대 들어와서도 박근혜 정권을 탄핵했고 윤석열 정권의 탄핵을 코앞에 두고 있다. 또한 한국인들은 설사 대통령 임기를 마쳤더라도,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지 않은 대통령은 감옥에 보냈다. 프랑스인들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68혁명을 일으키기는 했지만, 정권교체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니 단지 현대사만 비교하더라도, 대혁명의 나라라며 어깨에 힘을 주는 프랑스인들도 한국의 국민항쟁 역사를 알게 되면 혀를 내두르는 것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흑인에 대한 경찰의 야만적인 행위를 규탄하는 시위를 벌어진 가운데 일부 참가자들이 스타벅스 매장을 부수고 약탈하고 있다. 2020. 5. 29. AP 연합뉴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흑인에 대한 경찰의 야만적인 행위를 규탄하는 시위를 벌어진 가운데 일부 참가자들이 스타벅스 매장을 부수고 약탈하고 있다. 2020. 5. 29. AP 연합뉴스
31일 서울 세종로에서 민주노총 노동탄압 중단 총력투쟁대회가 열렸다. 집회 후 참석자들이 쓰레기를 치우고 있다. 2023.5.31 연합뉴스
31일 서울 세종로에서 민주노총 노동탄압 중단 총력투쟁대회가 열렸다. 집회 후 참석자들이 쓰레기를 치우고 있다. 2023.5.31 연합뉴스

‘우리’와 한국인

한국인들이 자랑스러운 국민항쟁의 역사를 써온 것은 한국인들의 집단심리 혹은 민족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나는 『한국인의 마음속엔 우리가 있다』라는 저서에서 한국인의 대표적인 민족심리를 ‘우리’, 인간중심, 도덕, 비종교, 낙천으로 정의한 바 있다. 이 중에서도 한국인을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민족심리는 단연 ‘우리’다.

‘우리’는 운명공동체라는 자각에 기초한 일심동체의 집단이다. 쉬운 예를 들자면 월드컵 거리응원전에 나선 사람들의 집단, 국민항쟁에 떨쳐나선 사람들의 집단이 바로 ‘우리’라고 할 수 있다. 월드컵 거리응원전이나 국민항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공동의 목적은, 비록 일시적이고 제한적일지라도, 사람들에게 운명공동체라는 자각을 가지게 해준다. 한국인들은 이런 자각에 기초해 한마음(일심) 한 몸(동체)으로 뭉치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우리’다.

한국인들은 먼 옛날부터 개인보다는 ‘우리’를 더 중시하는 ‘우리주의’와 그것을 체화한 심리적 특성, 민족성인 ‘우리성’을 가지고 살아왔다. 이상적인 가족 혹은 화목한 가족은, 본질적으로 ‘우리’와 동일한, ‘우리’의 최소단위 혹은 원형이므로 이를 떠올려보면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다. 이상적인 가족의 구성원들은 항상 개인보다는 가족(집단, 우리)을 우선시(‘우리주의’)하며 가족을 위해서라면 기꺼이 희생(‘우리성’)하려고 한다. 또한 그들은 모두가 한마음이 되어 하나로 뭉쳐 서로 사랑하고 위해주면서 살아간다.

‘우리’가 되기를 바라고 ‘우리’ 위해 헌신하는 한국인

윤석열 일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많은 국민들이 국회의사당으로 달려가 계엄군을 맨몸으로 막았다. 이 장면을 본 청년들은 크게 감동하여 두려움을 떨쳐내고 거리로 쏟아져 나와 국민항쟁의 주력으로 등장했다. 이런 한국인들의 국민항쟁을 지켜본 일부 미국인들은 “어떻게 저럴 수가 있지? 미국인들은 절대로 저렇게 못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한국인들이 자기의 목숨을 내걸고 맨몸으로 계엄군을 막아선 것, 계엄군에 맞서는 이웃들의 모습을 보고는 거리로 나온 것은 당연히 개인이 아닌 공동체(우리)를 더 중시할 때에만 가능한 행동이다. 만일 개인을 가장 중시한다면 자신의 목숨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을 것이므로 국가나 공동체가 위험에 처한다 하더라도 항쟁에 나서기란 무척 힘들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가 자본주의화 됨에 따라, 특히 신자유주의가 한국을 점령한 이후부터 한국인 특유의 ‘우리주의’는 퇴조, 약화된 반면 개인이기주의가 크게 득세하고 강화되었다. 이 때문에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평소에는 개인주의에 기초해 개인을 우선시하면서 살아간다. 그러나 한국인들은 여전히 강한 ‘우리주의’, ‘우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뚜렷한 공동의 목표가 부각되거나 제시되면 즉시 ‘우리’가 되어 우리를 위해 헌신하는 경향이 있다. (이번 국민항쟁은 개인주의에 완전히 잠식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던 청년들의 마음 속에도 ‘우리’가 잠재되어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이 때문에 한국인이 국난 극복에 강한 민족이라고 평가받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자랑스러운 국민항쟁 전통은 한국인들의 ‘우리주의’ 덕분에 가능했다고 말할 수 있다.

밥 한 술, 물 한 컵 챙겨주는 ‘우리’

국민항쟁 과정에서 많은 이들을 기쁘게 해주고 감동시킨 것 중의 하나는 나눔 문화이다. 항쟁 참가자들을 위해 무료로 음식, 음료 등을 제공하거나 집회장소 근처의 카페나 식당 등에다 선결제를 하는 문화가 일상화되었다. 농민들의 행진로를 차단한 경찰로 인해 다소 급박하게 시작하게 된 남태령 항쟁에서는 그곳으로 배달음식을 보내주었고, 추운 날씨를 걱정하여 항쟁자들이 추위를 피할 수 있도록 난방버스를 보내주기도 했다. 이러한 나눔 문화는 80년의 광주항쟁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80년 광주에서 시민들은 항쟁자들을 위해 자신이 가진 것을 기꺼이 내놓고 나누었다. 가게 주인들은 매대의 물건들을 무료로 제공했고, 택시 기사들은 항쟁자들을 그냥 태워주었으며, 평소에는 공동체와 무관한 삶을 살았을 어깨들조차 헌혈을 하기 위해 줄을 섰다.

나눔 문화는 가족, ‘우리’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다. 통속적으로 말해 ‘우리’란 곧 화목한 가족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가족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네 것, 내 것 구분하지 않고 나누며 서로를 알뜰히 챙겨준다는 것이다. 특히 식구(食口)라는 말이 보여주듯, 가족은 한솥밥을 먹는 사이여서 항상 상대방의 밥을 챙겨준다. 한국인들은 예전부터 식사와 관련된 인사말 혹은 사교말을 애용해왔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과 더 가까워지고 싶으면 “제가 다음에 식사 한번 모실게요”라고 말하고, 친한 사람에게는 “조만간 밥 한번 같이 먹자”는 인사를 건넨다. 타인들을 대상으로 가족 내에서만 사용할 법한 인사말을 적용해온 것은 한국인들이 한 가족, 즉 ‘우리’가 되어 살아가는 세상을 꿈꿔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모두 한 가족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가진 것을 서로 공유하거나 나누어야 하고 서로를 돌봐주면서 서로의 식사까지도 챙겨줘야 한다. 이런 자연스러운 마음의 표출이 바로 국민항쟁에서의 나눔 문화다.

항쟁이 곧 축제가 되는 이유

전통적으로 서구의 사상가들은 사람들이 모여 군중이나 집단이 형성되면 야수성, 폭력성 등을 드러낼 수 있다면서 경계했다. 사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에는 거대한 시위가 빈번하게 약탈과 방화 같은 범죄를 동반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시위대가 상점을 턴다든가 주차된 차량에 방화를 해서 큰 시위가 끝난 현장이 마치 폐허처럼 변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면 감정적으로 흥분하고 책임감이 분산되어 폭력 같은 일탈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게 정설이다.

그러나 한국인들의 국민항쟁은 이런 주장이 제한적임을 보여준다. 한국인들은 국민항쟁에 참여하면 평소보다 오히려 덜 흥분하고, 덜 폭력적으로 되는 반면 더 도덕적으로 되기 때문이다. 서구인들은 거대 집단을 이루었을 때 평소에 쌓인 개인적 분노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폭발시키곤 하기 때문에 대규모 시위를 분노, 증오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 지배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한국인들은 국민항쟁을 통해 거대 집단을 이루면, ‘우리’가 되었다고 느끼기 때문에 부정적인 감정이 아닌 기쁨과 행복감 같은 긍정적인 감정에 젖는 경향이 있다.

‘우리’가 되면 “어화둥실~” 흥이 나는 한국인들

한국인들은 흥이 많은 민족이다. 한국인의 ‘흥’이라는 주제를 연구한 결과들에 의하면 흥이 나는 것은 ‘우리’가 되었다고 느끼는 것에 비례한다. 다시 말해 한국인들은 ‘우리’가 되었다는 느낌을 받으면 흥이 난다는 것이다. 술자리를 통해 하나 된 듯한 느낌을 받으면 기분이 고조되어 기어이 2차, 3차를 하려고 하는 것, 좋아하는 가수(공동의 사랑의 대상은 공동의 목적과 유사하다)의 공연장에서 하나 된 느낌을 받으면 끝없이 떼창을 하며 즐거워하는 것 등은 ‘우리’가 되었을 때 체험하는 긍정적인 감정이 바로 ‘흥’임을 보여준다.

어찌 보면 국민항쟁은 목숨을 걸어야 하는 처절하고 두려운 싸움이다. 그러나 막상 국민항쟁 현장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너무나 기쁘고 흥겨워한다. 국민항쟁의 현장은 일상에서는 잊고 있었던 ‘우리’를 되찾은 곳이자 그 ‘우리’가 주인이 된 우리 세상, 해방구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한국인들의 국민항쟁은 분노나 증오 등이 아닌 기쁨과 행복감 등이 지배하는 흥겨운 축제마당이 되곤 하는 것이다. 과거의 동학농민항쟁이 그랬고, 80년의 해방광주가 그러했으며, 오늘날의 국민항쟁이 그렇다.

 

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재표결이 이뤄지는 14일 오후 부산 부산진구 서면의 한 카페에서 선결제 관련 안내문이 놓여 있다. 2024.12.14. 연합뉴스
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재표결이 이뤄지는 14일 오후 부산 부산진구 서면의 한 카페에서 선결제 관련 안내문이 놓여 있다. 2024.12.14. 연합뉴스
5일 오후 광주 동구 5·18 민주광장에서 열린 '윤석열 정권 퇴진 광주 비상행동' 집회에서 오월어머니집 회원들이 주먹밥을 만들고 있다. 2024.12.5. 연합뉴스
5일 오후 광주 동구 5·18 민주광장에서 열린 '윤석열 정권 퇴진 광주 비상행동' 집회에서 오월어머니집 회원들이 주먹밥을 만들고 있다. 2024.12.5. 연합뉴스

사회대개혁의 목표는 ‘우리’가 화목하게 살아가는 대동세상

한국인을 대표하는 민족심리가 ‘우리’라는 것은 한국인들이 ‘우리’가 되어 살아가기를 간절히 바라며, ‘우리’가 되었을 때 가장 행복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뒤집어 말하자면 한국인들이 가장 싫어하거나 끔찍하게 여기는 것은 ‘우리’가 붕괴되어 홀로 살아가는 것, 동료나 이웃들과 갈등하고 다투면서 살아가는 것임을 의미한다. 한국 사회가 본격적으로 신자유주의화 하기 시작한 90년대부터 자살률이 세계 1위로 치솟아 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은 신자유주의가 한국인들을 개인으로 갈갈이 찢어놓음으로써 한국인들에게서 ‘우리’를 박탈했기 때문이다.

한국인들은 ‘우리’가 되기를 열망하며 ‘우리’가 되어야만 행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대개혁은 그 무엇보다 ‘우리’를 복원,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즉 한국 사회는 불평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평등을 실현하고, 각자도생의 개인 간 생존경쟁과 서열경쟁을 강요하는 오징어게임을 중지함으로써 모두가 ‘우리’가 되어 화목하게 살아가는 대동세상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