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건희 퇴진·정치검찰 해체·전쟁 반대

일요일인데도 조국 현실 걱정에 동참

"응원 메시지와 댓글 달고 후원하자"

이역만리지만 '윤건희 정권'의 퇴진을 위해 줄기차게 싸우는 분들이 있다.

바로 호주 시드니에 사는 교민들이다. 시드니 교민들은 일요일인데도 불구하고 1일 오후 4시 웨스트 라이드의 콜스앞 광장에서 윤석열 탄핵 김건희 특검을 촉구하는 촛불집회를 열었다.

 

호주 시드니 교민들은 일요일인데도 불구하고 1일 오후 4시 웨스트 라이드의 콜스앞 광장에서 윤석열 탄핵 김건희 특검을 촉구하는 촛불집회를 열었다. 2024. 12. 01 [시드니 촛불행동 제공] 시민언론 민들레
호주 시드니 교민들은 일요일인데도 불구하고 1일 오후 4시 웨스트 라이드의 콜스앞 광장에서 윤석열 탄핵 김건희 특검을 촉구하는 촛불집회를 열었다. 2024. 12. 01 [시드니 촛불행동 제공] 시민언론 민들레

일요일인데도 조국 현실 걱정에 동참

시드니 촛불행동(회장 노현무)이 주최한 이 집회는 이날로 벌써 17번째가 됐다. 날이 갈수록 속절없이 퇴보하는 조국의 현실에 대한 걱정 때문이 아니었을까 짐작된다.

'촛불 교민'들은 '범국민 항쟁으로 전쟁광 윤석열을 탄핵하자'란 주제로 열린 이날 집회에서 "윤석열 김건희는 국가권력 사유화로 나라의 기강을 무너뜨리고 민생을 파탄시키며 나라와 국민의 권위를 추락시켰다"며 "윤건희 정권 타도를 위해 투쟁하겠다"라고 결의했다.

시드니 촛불행동에 따르면, 이날 집회에서 한 참석자는 즉석 발언을 통해 재외 교민의 한 사람으로서 윤건희 정권 퇴진 집회에 나설 수밖에 없는 심경을 밝혀 눈길을 끌었다.

이 교민은 '윤건희 정권'의 문제에 대해 △ 윤석열 정권 집권 후 한국 민주주의 퇴보와 독재화 진행 △ 민족 자부심 훼손한 굴욕적인 친일 외교 △ 반중국, 반러시아 통한 경제·안보 위험 촉발 △ 국내외에서 벌인 김건희 여사의 온갖 "엽기적 의혹들'을 거론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6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열린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특검 촉구 제3차 국민 행동의 날'에 참가해 발언하고 있다. 2024.11.16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6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열린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특검 촉구 제3차 국민 행동의 날'에 참가해 발언하고 있다. 2024.11.16 연합뉴스

윤건희 퇴진·정치검찰 해체·전쟁 반대

그는 "한국의 국격은 재외동포인 우리가 이 다문화사회에서 어떤 심리적 대우를 받는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국가 이미지는 추락하고 있고 우리도 그 부끄러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현 정권은 평화 정착에 힘쓰기는커녕, 한반도에 전쟁 위기를 몰고 오고 있다. 한국에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들이 있는 우리는 이를 결코 바라만 보고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교민은 이어 "해외동포들의 이런 노력이 한국에 알려지면 이 잔혹한 정권에 맞서 용감하게 투쟁하고 있는 분들에겐 힘이 되고...작으나마 자극제가 될 수 있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8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쉐라톤 와이키키 호텔에서 열린 동포간담회에 참석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2024.7.9.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8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쉐라톤 와이키키 호텔에서 열린 동포간담회에 참석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2024.7.9. 연합뉴스

"응원 메시지와 댓글 달고 후원하자"

끝으로 작은 실천도 제안했다. 그는 "용기 있게 앞장서 싸우는 분들에게 힘을 실어줄 응원의 메세지와 댓글을 쓰고, 후원금을 보냅시다. 투표권이 있는 분들은 꼭 투표하자"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 윤석열을 탄핵해라 △ 김건희를 구속하라 △ 정치검찰 해체하라 △ 민족분단 몰아내고 평화통일 성취하자 등의 구호를 함께 외친 뒤 집회를 마쳤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1심 법원의 '중형 선고'에 격분한 시드니 '힐스촛불'(대표 한준희) 교민들은 일요일인 11월 17일 시드니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항의 집회와 피켓팅 시위를 벌이고 '윤건희 검찰 독재정권'의 이재명 죽이기와 이를 묵인, 방조하는 사법부를 규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