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옥·수배에도 기개 남달랐던 '영원한 청년'
타계 직전까지도 '윤석열 퇴진 운동'에 헌신
한평생을 오직 민주화와 통일운동에 바쳐온 조성우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전 상임의장이 18일 오전 9시 30분 서울대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향년 75세.
조 전 의장은 작년 말까지 '윤석열 즉각 퇴진 사회대개혁 비상행동' 공동의장, 주권자전국회의 상임대표, 전국비상시국회의 상임공동대표 등을 맡아 활발한 대외활동을 해왔지만, 최근 폐암 4기 진단을 받고 투병해왔다.
1950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서울 대신고를 졸업한 고인은 1968년 고려대 행정학과에 입학했다. 해군 복무 중 박정희의 3선 개헌에 반대투표를 했고, 복학해 교내 서클 청년문제연구소를 만들어 학생운동에 나섰다. 1974년 고려대 비상총학생회장을 맡았다가 1975년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처음 투옥된 것을 시작으로 투옥과 수배, 투옥이 점철되는 길을 걸었다.
민주청년협의회 의장을 맡고 있던 1979년 11월 '명동YWCA 위장결혼 사건'을 주도해 계엄령 위반으로 수배된 데 이어, 1980년 전두환 신군부에 의해 조작된 김대중내란음모사건 혐의로 투옥됐고, 1983년 9월 '민청련'을 결성했다가 강제로 일본으로 추방됐다가 1987년 귀국했다.
1988년 평화연구소를 설립했다가 1년간 감옥 생활을 했으며, 1990년에는 베를린 남북 해외실무회담 남측 대표를 맡았다가 징역 1년 6월이 선고됐다. 1994년 범민족대회를 주도한 혐의로 수배됐고 1996년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모두 5번의 투옥 생활을 했으나 대한민국의 민주화와 민족의 통일을 향한 고인의 의지를 꺾지는 못했다.
첫 평화적 정권 교체를 통해 김대중 정부가 들어선 1998년 진보·보수를 망라한 통일운동 단체인 민화협 결성을 제안해 출범시켰고, 그 후 민화협 집행위원장과 상임위원장 등으로 활동하며 남북 민간교류 협력에 힘을 쏟았다. 이에 북한도 '민족화해협의회'로 화답했다. 2021년 민간통일운동과 관련한 노력을 인정받아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유족은 부인 홍연실 여사와 사이에 2녀(조정연·조수연)와 사위 황순식(전국비상시국회의 대외협력위원장)·오정인(회사원)씨 등이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이며, 발인 22일, 장지는 경기도 마석 모란공원이다. 연락처: 02-2072-2010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