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전뉴스'의 부활 '땡윤뉴스' 안 된다…야4당 공동 투쟁
윤석열 정권 언론장악 저지 공동대책위 발족
이관섭 수석 "지지율 낮은 이유는 언론 때문"
친윤‧어용 매체 대부분인 현실과 정반대 인식
야 4당 "땡윤뉴스 주문하며 비판 언론 탄압해"
"공영방송 말살…정권 손아귀에 넘기지 않겠다"
(본 기사는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50억 클럽 특검' 및 '김건희 특검'에 관한 이른바 '쌍특검법'의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 지정과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추진 등에서 위력을 증명해온 야권 공조가 이번엔 윤석열 정권의 언론 장악 저지를 위해 다시 가동됐다. 민주당과 정의당, 기본소득당, 진보당 의석을 합치면 재적의원 5분의 3인 180석을 훌쩍 넘어 입법 등에서 실질적인 힘을 크게 발휘할 수 있다.
민주당 고민정, 정의당 류호정, 기본소득당 용혜인, 진보당 강성희 의원은 22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윤석열 정권 언론장악 저지 야4당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윤석열 정권의 언론 장악을 위한 시도가 전방위적으로 자행되고 있다"며 "감사원과 검찰 등 권력기관까지 동원해 언론탄압에 나서고 있고, 이명박 정권에서 군사정권의 보도지침을 다시 살려낸 언론 장악의 설계자 이동관 특보를 방통위원장 후보로 거론하면서 언론 자유가 무너진 흑역사를 다시 쓰려고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의 낮은 국정수행 지지율의 원인을 집권세력의 부족함에서 찾지 않고, '기울어진 언론 지형이 원인'이라는 '오진'을 내리고 '땡윤 뉴스'를 만들기 위한 언론 장악에 혈안이 돼 있는 것"이라고 했다.
앞서 이관섭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은 지난 2일 국민의힘 지도부와 전국 당협위원장 200여 명이 모인 워크숍에서 '윤석열 정부 1년의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강연하며 "1년 차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이유는, 지난 대선에서 굉장한 양자구도 대선이었는데 우리를 지지하지 않았던 진보 지지층이 여전히 '안티 세력화'돼 있어서다"라며 "국회에서는 거대 야당이 발목잡기를 하고 있다. 또 언론이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정치‧경제‧외교 등 국정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극도의 무능과 무책임을 드러내며 국가 시스템과 민주주의를 퇴행시키는 데 대한 일말의 성찰은커녕 국민과 야당과 언론 탓만 하는 집권세력의 비뚤어진 인식을 고스란히 노출한 것이다. 조중동을 비롯한 언론 대부분이 연일 서로 경쟁이라도 하듯 친윤‧어용 논조를 낯뜨거울 정도로 노골화하는 현실과도 전혀 맞지 않는 주장이다. '정권에 기울어진 운동장'이 실제 언론 지형인 것이다.
야 4당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바이든 날리면' 외교 참사 이후 MBC 기자 전용기 탑승을 배제하고, MBC 관리감독기구인 방송문화진흥회에 대한 감사원 감사로 압박하고, 한동훈 장관 개인정보 유출이라는 말도 안 되는 구실로 MBC 뉴스룸에 압수수색까지 벌였다"며 "듣기 싫은 방송을 없애기 위해 TBS 지원 조례를 폐지해 예산을 깎더니 긴급 수혈 예산도 보류시켜 방송 기능 중단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아울러 "준공영 보도전문채널 YTN을 민영화하기 위해 YTN 대주주인 공공기관의 팔을 비틀어 주식을 매각하도록 하는 등 윤석열 정권은 비판적 언론에 재갈을 물리기 위한 탄압을 서슴지 않아 왔다"면서 "정권 초부터 '땡윤뉴스'를 주문하며 비판적 언론을 탄압한 결과, 올해 대한민국의 언론자유지수는 47위로 전년보다 4단계나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내년 총선이 불과 1년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윤석열 정권의 언론장악 시나리오는 본격적으로 공영방송을 향하고 있다. 용산 대통령실이 직접 나선 엉터리 여론조사를 근거로 공영방송 KBS의 주요 재원을 허물어뜨릴 TV 수신료 분리 징수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을 부당 면직시킨 후, 반쪽짜리 방통위를 앞세워 '시행령 개정'으로 국회의 입법권마저 침해하며 공영방송 재원 옥죄기를 통한 방송장악에 나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에 우리 야4당은 '윤석열 정권 언론장악 저지 야4당 공동대책위원회'(야4당 언론장악저지 대책위)를 구성하고 언론의 자유를 탄압하고 손아귀에 넣으려는 윤석열 정권의 시도에 함께 맞설 것"이라며 "시민사회와도 함께 연대해 민주주의의 기둥인 언론의 자유를 지켜내겠다"고 선언했다. 야4당 언론장악저지 대책위는 다음과 같이 결의했다.
첫째, 윤석열 정권의 언론 장악 시도에 힘을 모아 단호히 맞서겠다. 소통과 자유를 강조하더니 불통과 언론 탄압을 앞세우며, 독재정권 시절 언론장악 흑역사를 다시 쓰려 하는 윤석열 정권의 언론 자유 말살 시도를 결코 묵과하지 않을 것이다.
둘째, 국민들께서도 이미 탈락 판정을 내리신 이동관 특보의 방통위원장 지명을 반대한다. 이명박 정권의 언론장악 설계자로, 국정원까지 동원한 언론 장악 장본인인 이동관 현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는 공정성과 독립성이 생명인 방송통신위원장 자격이 없는 인물이다.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시 반대한다는 국민이 과반이 넘는다.
셋째, 공영방송 KBS의 보도를 통제하려는 의도로 제대로 된 국민 여론 수렴 없이 졸속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수신료 분리 징수 시행령 개정은 철회해야 한다. 정부 차원에서 'TV수신료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어설픈 여론몰이가 아니라, 국민 의견을 제대로 수렴해야 한다. 또한, 여야가 함께 국회 내 '공영방송 공공성 강화 특위'를 설치해 수신료를 포함한 공영방송의 재원과 공공성 강화 정책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
이들은 "우리 야4당 언론대책위는 윤석열 정권의 언론 장악을 저지하고 방송의 공정성을 강화해 공영방송을 정권의 손아귀가 아닌 국민의 품으로 돌려드리기 위해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거듭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