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총선 ‘정부 지원론’ vs ‘권력 견제론’ 팽팽

여론조사꽃 정례 조사

오발령 사태 책임 소재 '대통령실' 23%로 최다

일본의 북일 정상회담 제안에 ‘남한 패싱 우려’ 60.6%

정당 지지도 민주당 43.6%, 국민의힘 32.9%

2023-06-05     시민언론 민들레

 

윤석열 대통령 긍정 및 부정 평가. ARS는 자동응답전화조사, CATI는 전화면접조사. 2023.6.5. 여론조사꽃

차기 총선에서 ‘정부 지원론’, ‘권력 견제론’, ‘소수 정당 지원론’에 대한 입장이 팽팽하게 갈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꽃은 전국 18세 이상 성인남녀 1030명을 대상으로 6월 2~3일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차기 총선에서 어느 당의 당선을 더 지지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의 35.4%가 ‘권력 견제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더 많이 당선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고 5일 밝혔다. ‘정부가 일할 수 있도록 국민의힘 후보가 더 많이 당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은 33.1%로 집계됐다. ‘다양성을 위해 소수 정당 또는 무소속 후보가 많이 당선되어야 한다’는 응답은 24.8%였다.

특히 차기 총선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서울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다수’가 36.9%, ‘국민의힘 다수’가 31.3%로 오차 범위 내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손을 들어준 유권자의 숫자가 많았다.

2달 전이었던 4월 동일한 질문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을 꼽은 응답은 36.9%였으며, ‘국민의힘’을 꼽은 응답은 33.6%, ‘소수 정당 및 무소속’을 꼽은 응답은 23.6%였다.

이번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전주 대비 1.9%p 상승한 43.6%, 국민의힘은 3.0%p 상승한 32.9%로 집계됐다. 양당간 격차는 10.7%p로 오차 범위 밖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정당 지지도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앞서는데도 총선 승리 정당을 묻는 질문에서 양당 간 팽팽한 결과가 나온 것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 ‘소수 정당 및 무소속’ 쪽으로 이동한 응답자가 더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차기 총선에서 승리해야할 정당을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 2023.6.5. 여론조사꽃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긍정’ 평가는 전주 대비 3.4%p 상승한 35.1%를 기록했다. 부정 평가는 62.3%를 기록했다. 지난주 오발령 파동, 한국노총 노동자 유혈진압, MBC 기자 압수수색 등 대통령에게 악재가 될 만한 이슈가 있었지만 여론조사꽃 결과에서는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리얼미터가 5월 30일부터 6월 2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성인남녀 20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동응답전화(ARS) 조사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긍정’ 평가가 5주 연속 상승세를 멈추고 하락 반전해 전주 대비 0.2%p 내린 39.8%를 기록했다. 부정 평가는 57.4%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포인트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북한 인공위성 발사 후 경계경보를 잘못 발령한 사태에 대한 책임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대통령실이라는 응답이 23.0%, 발송 주체인 서울시와 지령을 보낸 행안부라는 응답이 각각 16.5%였다. ‘군 당국’이라는 응답은 11.0%였으며 ‘누구의 책임도 아니다’라는 응답은 16.1%였다. 특히 오발령 사태가 발생했던 서울에서는 대통령실의 책임이라는 응답이 30.6%로 다른 지역보다 높았다.

서울시의 경계경보 오발령 사태 관련 오세훈 서울시장이 과잉 대응이나 오발령이 아닌 필요한 조치였다고 해명한 것에 대해서는 ‘시민 안전을 위해 과잉 조치가 낫기 때문에 납득이 된다’는 응답이 48.6%였다. ‘불안을 조장하는 불필요한 조치였으므로 변명에 불과하다’는 의견은 44.7%로 두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 특히 서울 지역은 49.9%대 49.0%로 더 팽팽한 대립을 나타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북한에 정상회담을 제안하고 북한이 긍정적으로 화답한 데 대해서는 ‘남한을 패싱하는 일본 주도의 외교·안보 구도가 우려된다’는 의견이 60.6%로 나타났다. 반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응답은 26.2%에 그쳤다.

윤 대통령이 5월 한 달간 3명의 일본 전·현직 총리를 만난 것에 대해서는 ‘일본 이익을 관철하려는 방문으로 경계해야 한다’는 응답이 54.9%를 차지했다.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우호적인 방문으로 긍정적’이라는 응답은 39.3%였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