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워크아웃 여파…건설투자 '역성장' 전망
부동산PF 리스크에…건설투자 0.2%↑→1.2%↓ 수정
정부, 올해 성장률 2.2%·물가상승률 2.6% 전망
작년 하반기 때보다 성장률 0.2%p↓ 물가 0.3%p↑
세계 주요국보다 더딘 회복세…G20 2.8% 성장 전망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2.2%, 물가상승률 2.6%로 전망했다.
기획재정부는 4일 발표한 '2024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2%로 예상했다. 지난해(예상치 1.4%)보다 0.8%p 높은 수치다. 지난해 7월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한 전망치보다는 0.2%p 낮다.
국내외 기관들이 제시한 전망치와 비교하면 한국개발연구원(KDI)과는 같지만, 한국은행(2.1%)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정부 전망보다 높은 2.3%를 제시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아시아개발은행(ADB)는 2.2%로 정부 전망치와 같다.
정부가 올해 성장률을 지난해 예상치보다 높여잡은 것은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수출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하반기 들어 좋아지는 흐름을 보였다. 작년 10월부터 3개월 연속 증가세다. 연간으로는 7.4% 감소했다.
정부는 수출 회복에 따라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지난해 310억 달러에서 올해 500억 달러로 개선될 것으로 봤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수출은 회복되기 시작됐다"며 "어느 정도 속도와 폭으로 회복할 지 불확실성이 남아있지만 예상하는 궤도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해보다 올려잡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세계 주요국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작년 11월 OECD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세계 경제는 2.7%, G20 국가는 2.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 전망치(2.3%)보다 0.4∼0.5%p 높다. 경제 회복의 속도와 추세가 주요국에 못 미친다는 의미다. 지난해 연간 성장률도 세계 경제 2.9%, G20 3.1%로 나타나 한국(1.4%)보다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IMF도 올해 세계 경제가 2.9%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선진국 성장률 전망치는 1.4%로 한국보다 낮았다.
정부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완만하게 둔화해 연간 2.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직전 전망보다는 0.3%p 높여 잡았다. 국제 원자재 가격 안정 등으로 작년보다는 인플레이션 부담이 줄겠지만, 올해 상반기까지는 3% 내외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정학적 리스크와 기상여건 등에 따른 불확실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3.6%를 기록했다. 공공요금 인상으로 전기·가스·수도 물가가 역대 최대폭 상승했고 지난해 하반기 들어 크게 뛴 농산물 물가도 쉽사리 진정되지 않았다. 2022년(5.1%)보다는 상승률이 둔화했지만 19년 만에 처음으로 2년 연속 3% 이상으로 올랐다.
지난해에 비해 성장률은 오르고, 물가상승률은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고물가·고금리 장기화로 인해 내수 활성화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올해 민간소비가 지난해와 같은 수준인 1.8%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직전 전망치(2.2%)보다 0.4%p 낮췄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 등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잠재 리스크로 자리잡고 있어 건설경기 전망도 어둡다. 정부는 올해 건설투자가 전년보다 1.2%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0.2% 증가로 전망했지만, 이날 '마이너스'로 수정했다.
고용지표는 그간 고용 호조를 견인하던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취업자 증가는 23만 명으로 지난해 32만 명(예상치)보다 9만 명 줄여 잡았다. 인구 감소의 영향을 적게 받는 고용률의 경우 지난해 62.6%에서 올해 62.8%로 소폭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