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여 제주 시민단체·정당 등 ‘화물연대 파업 지지’
환경·농민·여성·문화·예술단체 등 제주항서 공동 선언
"국민 안전ㆍ생존 책임 안 지는 정부는 우리 정부 아니다”
“합의 뒤집은 尹 정부, 화물연대와 함께 끝까지 싸울 것”
제주지역 29개 시민단체·정당 등이 30일 화물연대 총파업 지지를 선언했다.
이들은 이날 제주항 6부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가 합의를 뒤집고 화물연대에 대한 탄압을 계속한다면, 국민의 안전과 생존을 책임지지 않는 정부로 규정하고 끝까지 함께 싸우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화물연대의 총파업은 지난 6월 파국 직전 어렵사리 합의한 내용을 정부가 이행하지 않으면서 이미 예상된 결과”였다”며 “5개월이 지나도록 국토부는 합의의 시행을 위한 대화는 외면한 채 시간만 보내고 말았다”고 정부의 책임을 물었다.
윤 대통령의 업무개시명령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업무개시명령은 노동자의 단결권과 단체행동권을 제약하는 위헌적 요소가 강하다”며 “지난 6월 합의의 불이행에 대해 사과하고 화물연대와 진정성 있는 대화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덧붙여 “안전운임제 일몰제를 폐지하고 차종·품목 확대를 위한 방안 마련에 적극 응할 것”을 촉구했다.
임기환 민주노총 제주본부장은 “화물 노동자가 더 이상 과로로, 과속으로 죽지 않고 안전하게 일하겠다는 것이 무엇이 잘못이냐, 화물 노동자도 인간답게 최소한의 임금으로 살아야겠다는 것이 도대체 무엇이 잘못됐냐”고 정부를 성토했다.
전국적으로 업무개시명령 대상 노동자는 시멘트업 운송에 종사하는 2500여명이다. 이중 제주지역에서 활동하는 노동자는 40여명인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윤 대통령은 지난 29일 시멘트 운송 거부자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의결, 화물연대와 노동계는 물론 시민사회의 큰 비난을 샀다.
파업지지 시민·사회단체·정당
▲제주참여환경연대 ▲제주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 ▲제주환경운동연합 ▲진보당 제주도당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제주도연합 ▲제주주민자치연대 ▲제주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 ▲정의당 제주도당 ▲서귀포여성회 ▲제주녹색당 ▲전국농민회총연맹제주도연맹 ▲평등노동자회제주위원회 ▲제주평화인권센터 ▲양용찬열사추모사업회 ▲제주통일청년회 ▲서귀포시민연대 ▲제주여성인권연대 ▲노동안전과현장실습정상화를위한제주네트워크 ▲노동인원실현을위한노무사모임제주지부 ▲곶자왈사람들 ▲제주여민회 ▲제주여성회 ▲노동열사김동조추모사업회 ▲제주민예총 ▲시민정치연대제주가치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제주평화인권연구소왓 ▲노동당 제주도당 ▲강정평화네트워크 (무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