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2.2%, 이재명 대표 불체포 특권 포기 ‘긍정 ’
여론조사꽃 정례 조사…“검찰 수사 정치적 편향” 62.1%
“윤 대통령 수능 발언 부적절” 60.4%
“중국과 균형 외교 필요” 보수층서도 60% 넘어
(본 기사는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우리 국민의 과반수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불체포 특권 포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꽃은 23~24일 양일간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17명을 전화면접조사한 결과 이재명 대표의 불체포 특권 포기에 대해 응답자의 52.2%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고 26일 밝혔다. ‘부정적’이라는 응답은 34.7%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윤석열 정부의 검찰 수사가 정치적으로 편향되어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2.1%가 ‘편향돼 있다’고 답했다. ‘편향되지 않다’는 응답은 30.7%였다. 70세 이상과 국민의힘 지지층, 보수층 정도에서만 ‘편향되지 않다’가 높았다. 반면 무당층의 73.8%, 중도층의 64.2%가 ‘검찰 수사가 편향돼 있다’고 답했다.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여권 지지층에서도 검찰 과잉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전주와 동일한 39.1%, 국민의힘이 전주 대비 0.7%p 하락한 33.4%를 기록했다. 양 당 간 격차는 5.7%p로 오차범위 내에 있었다. 중도층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0.2%를 기록하며 국민의힘(26.0%)을 앞섰다. 지역별로는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과 호남권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앞섰으나 충청, 영남, 강원권에서는 국민의힘이 우위를 보였다.
윤석열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해서는 ‘긍정’ 평가가 전주 대비 0.5%p 오른 37.0%, ‘부정’ 평가는 전주 대비 0.6%p 하락한 60.2%로 집계됐다. 중도층에서는 ‘긍정’ 평가가 31.3%, ‘부정’ 평가가 67.0%였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심각한 현안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2.5%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꼽아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이재명 대표의 불체포 특권 포기’(10.2%),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 발언’(8.3%), ‘북한 정찰위성 발사’(7.7%), ‘대통령의 수능 발언’(6.7%)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응답자의 27.7%가 ‘이재명 대표의 불체포 특권 포기’라고 답하며 1위를 기록했다.
박시영 박시영TV 대표는 “이재명 대표 불체포 특권 포기가 여권 지지층에서 상당한 파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수능 난이도 관련 발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0.4%가 ‘대통령이 수능을 몇 개월 앞두고 수능 난이도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라고 답했다. ‘사교육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목적이므로 언제라도 지적하는 게 맞다’는 의견은 35.0%였다. ‘킬러 문항’을 없애는 것이 사교육비 경감에 도움이 될지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3.3%가 ‘과도한 경쟁과 대학 서열화가 사교육 원인이므로 난이도 조절로 사교육비가 줄어들지 않을 것이다’라고 답했다. ‘고난이도 문제 때문에 사교육을 받는 것이므로 난이도가 낮아지면 사교육비가 경감될 것이다’라는 응답은 27.6%에 불과했다.
‘초과수익을 벌어들이는 일타 강사는 사회악’이라는 국민의힘 주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6.1%가 ‘대통령 잘못을 희석할 희생양을 찾는 것이다’라고 답했다. ‘과도한 수익은 불공정하므로 적절한 지적이다’라는 응답도 41.0%로 팽팽했다. 대통령 지시에 따라 이번 수능부터 출제방식을 바꾼다면 수험생들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57.1%였다.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을 것’(23.6%),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14.8%)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한국의 대중국 외교의 바람직한 방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미일 편중 외교를 벗어나 중국과도 균형 외교를 회복해야 한다’는 응답이 72.9%로 다수를 차지했다. ‘중국은 믿을 수 없는 국가이므로 경계하며 단호한 외교를 해야 한다’는 응답은 23.8%에 불과했다. 18~29세, 70세 이상, 국민의힘 지지층, 보수층에서도 중국과 균형 외교를 회복해야 한다는 답변이 60%를 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