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이하 청년층 은행 주담대 연체율 역대 최고치
6월 말 기준 0.44%…타 연령대의 2.1~2.6배
청년 전월세 대출받은 19세이하는 무려 20%
일자리나 고정 수입 없는 무소득자가 대부분
전체 금융시스템의 잠재 불안 요인 확산 우려
20대 이하 청년 세대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다른 연령층보다 2배 이상이고, 역대 가장 높은 연체율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19개 은행(시중·지방·인터넷은행)의 '연령별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2분기 말 기준 만 20대 이하 연령층의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4%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평균 연체율 0.21%의 2배가 넘는 수준이며 30대 연령층의 0.17%보다는 2.6배나 된다.
20대 이하 연령층의 주담대 연체율은 연령별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8년 3분기 이후 5년 새 가장 높은 수치이며, 사실상 역대 최고 수준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2018년 이전 연령별 연체율이 제출되지 않았지만, 최근 5년 사이 부동산 가격 급등과 저금리 등으로 20대의 대출과 연체액이 급증한 만큼 연체율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20대 이하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6월 말 현재 34조 2500억 원으로 2018년 9월 말(13조 4700억 원)의 2.54배에 이른다. 같은 기간 연체액도 200억 원에서 7.5 배인 1500억 원으로 급증했다.
30대·40대·50대·60세 이상 연령층의 연체율은 6월 말 현재 각각 0.17%, 0.21%, 0.20%, 0.21%였으며 전체 평균 연체율은 0.21%를 기록했다.
30대의 경우 2019년 3분기 말 0.17% 이후 가장 높고, 40대는 2019년 4분기 말 0.21% 이래 최고 기록이었다. 50대와 60대는 각 2020년 2분기 말 0.20%, 같은 해 1분기 말 0.22% 이후 가장 높았다.
특히 '20대 이하' 연령층을 세분해 '19세 이하'와 '20대'로 나눠보면, 19세 이하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올해 2분기 말 현재 20.0%에 이르렀다.
2022년 1분기 말까지 줄곧 0%였던 19세 이하 연체율은 지난해 2분기 말 12.5%로 크게 증가했으며, 그 이후 1년 새 다시 7.5%p나 뛰었다. 19세 이하 연체율이 이처럼 급격하게 늘어난 것은 주택금융공사 보증부 청년 전·월세 대출 정책 금융상품의 영향이라고 은행 관계자들은 설명한다.
경제 취약계층인 청년층의 전세보증금과 월세를 지원하자는 취지로 도입된 이 상품은 만 19세 이상 30세 이하 청년 가운데 '무소득자'도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당연히 연체 발생 가능성이 커 일반 시중은행들이 판매에 소극적인 반면, 이 상품의 비대면 대출 절차까지 갖춘 카카오뱅크가 전체 청년 전·월세 대출 상품의 약 60% 이상을 취급했다.
이에 따라 카카오뱅크의 19세 이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6월 말 현재 27.0%까지 치솟았고, 나머지 은행들의 19세 이하 연체율도 4.2%로 높아졌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카카오뱅크에서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을 받은 만 19세 청년들 가운데 대부분이 무소득자"라며 "일자리나 고정 수입이 없는 데다 금리까지 오르자 이자를 갚지 못하는 취약 청년층이 늘고 연체율도 오른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20대 청년층의 대출금 연체 등 부담 증가는 전체 금융시스템의 잠재 불안 요소일 뿐 아니라, 저출산 등 사회 문제로 확산될 우려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