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불법자금‧미공개정보‧대선자금, 전부 허위"
가상자산 거래소‧발행사들 모두 의혹 전면 부인
국회 윤리특위도 징계 문제 결론 못 내고 장기화
김남국 "상임위 시간에 투자한 것은 깊이 반성"
"가난 코스프레 한 적 없어…진심 다해 일했다"
국힘‧언론에 명예훼손 고소장, 민사소장 작성 중
가상자산(암호화폐) 보유 논란으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남국 의원이 국민의힘과 언론의 아니면 말고식 무분별한 의혹 제기와 인신공격을 다시금 강하게 반박했다.
지금까지 김 의원이 이용했던 업비트, 위메이드, 넷마블 등 가상자산 거래소와 코인 발행사들은 자금 세탁, 불법 로비, 사전 정보 제공 등 관련 의혹을 전면 부인해왔으며 국회 윤리특별위원회도 김 의원 징계 문제에 대해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김 의원은 국회 상임위 활동 중에 일부 거래를 한 점에 대해서는 반성의 뜻을 재차 밝혔다.
김 의원은 8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길지 않은 시간이었더라도 상임위 시간에 가상화폐 투자를 한 것에 대해서는 깊이 반성하고 있다"며 "그리고 가상화폐 투자가 국민 정서에 맞지 않다는 점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그러나 무슨 불법 자금 투자네, 미공개정보 투자네, 대선자금 세탁이네 하는 것들은 모두 터무니없는 허위사실이고 근거 없는 정치공세"라면서 "가난 코스프레 한 적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말 진심을 다해서 진정성 있게 일했다. 동네 주민 한분 한분 모두 본다는 생각을 부지런히 다녔다. 그냥 축사만하고 형식적으로 인사하고 떠나는 정치인이 아니라 항상 한마디, 한마디 정성과 진심을 담고자 했다"며 "결코 어떤 권력 욕심이나 자리 욕심으로 일하지는 않았다. 어떻게 해야지 제 진심이 온전히 전해질지 모르겠지만, 다시 한번 돌아보고 더 낮은 자세로, 더 성실하게 일하겠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명예훼손 고소장 및 민사소장을 작성하고 있다는 점도 알렸다. 앞서 그는 국민의힘 김성원 의원과 장예찬 최고위원을 각각 허위 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죄로 고소한 바 있다. 또 "정당한 의혹 제기와 비판의 수준을 넘어 너무나 명확한 허위사실에 기반한 악의적 보도 등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법적 조치를 취해 나갈 예정"이라며 언론에 대해서도 민·형사상 조치를 취하겠다고 예고했었다.
김 의원은 지난 7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기본사회 1주년 기념토론회에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하는데, 그렇게 힘들지 않다"며 "항상 긍정적으로 보내려고 해서 많은 것을 알차게 하고 있다"고 소회를 피력했다. 민주당 탈당 뒤 첫 공개 행사였던 이 토론회에서 김 의원은 "처음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성남시장 시절부터 기본소득을 널리 알렸으나 많은 국민에게 개념적으로 많이 와닿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며 "기본사회로 가는 것이 금융·소득·교육·주거 등 여러 정책들이 있겠지만, 향후 집권했을 때를 대비해 어떤 정책부터 실현해 기본사회를 만들어 나갈지 구체적으로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한편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윤리심사자문위원회는 지난 3일 김 의원 징계안을 논의했으나 또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유재풍 자문위원장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 결론 내지 못해 18일 오후에 다시 모이기로 했다"며 "(김 의원이 제출한) 자료를 죽 검토했고,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검토할지도 논의했다"고 말했다. 유 위원장은 '김 의원이 자문위가 요구한 자료를 모두 제출했느냐'는 질문에 "거래소별 (거래 내역) 자료를 냈다"면서 "(자문위가 필요한 자료를) 다 받았다고는 할 수는 없지만 국회법 개정안에 따른 자료를 모두 냈다고 하니 이를 중심으로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윤리특위는 지난 5월 30일 전체회의에 김 의원 징계안을 상정하고 이를 자문위에 회부했었다. 특위는 김 의원에 대한 비난 여론을 감안, 자문위에 첫 활동 시한인 6월 29일까지 심사를 마쳐달라고 요청했으나 자문위도 의혹의 실체를 확인하지 못해 논의가 장기화하는 모습이다. 자문위는 윤리특위에 30일의 활동 기한 연장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