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택거래 반토막…미분양 6만 가구 육박
국토부 발표 11월 주택통계, 거래량 작년보다 50.1% 감소
미분양 전월보다 23%↑…연말엔 정부 설정 위험선 넘을 듯
올해 주택 매매량은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고, 미분양 물량은 6만 가구 가까이 늘었다.
국토교통부가 30일 공개한 1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까지 전국의 주택 매매량(누계)은 48만18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1% 감소했다. 11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5만827 가구로 전월보다 22.9%(1만810 가구) 증가했다.
주택매매량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19만587건으로 작년 동기보다 58.4% 줄었고, 지방은 28만9600건으로 42.5% 감소했다. 서울 주택 매매량은 1∼11월 5만3163건에 그쳤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55.9% 적은 수치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매매량이 28만359건으로 56.1% 줄었다. 아파트 외 주택 거래량(19만9828건)은 38.1% 감소했다.
11월 한 달 기준으로는 아파트 매매량이 전국 1만8275건으로 1년 새 54.1% 줄었다. 특히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761건에 그치며 2006년 1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넉 달째 1000건을 밑돌았다.
미분양이 한 달새 1만 가구 이상 늘어난 것은 2015년 12월(1만1788 가구) 이후 6년 11개월 만이다. 미분양 물량은 2019년 9월(6만62 가구) 이후 3년 2개월 만에 가장 많다. 특히 수도권 미분양이 1만373 가구로 한 달새 36.3%(2761 가구) 늘었고, 지방 미분양은 4만7654 가구로 20.3%(8049 가구) 증가했다.
면적 85㎡를 초과한 중대형 미분양은 6천3호로 26.5%, 85㎡ 이하는 5만2024호로 22.5% 증가했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7110호로 전월보다 0.5% 늘었다.
국토부는 미분양 아파트 6만2000 가구를 위험선으로 보고 있어, 규제지역 추가 해제 등 부동산 규제 완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최근 한 포럼에서 "정부는 미분양 아파트 6만2000 가구를 위험선으로 보는데, 매달 1만 가구씩 미분양이 늘어나고 있다"며 "당초 예상보다 부동산 경기침체가 심각한 만큼 규제 완화 속도를 더 높이겠다"고 밝혔다.
12월 통계를 집계하면 미분양은 6만2000 가구를 넘을 전망이다. 조만간 정부가 발표할 추가 규제 해제 지역에 서울 노원, 도봉, 강북구 등이 추가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