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올해 성장률 전망 2.2%에서 2.6%로 올려
상반기 2.9% '반짝 성장' 연간 전망치에 바로 반영
하반기 2.3% 조정 거쳐 내년에는 2.1%로 낮아져
수출이 성장세 주도…소비는 여전히 1%대 게걸음
물가상승률 연간 목표치 근접…긴축기조 조정 필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상반기 '반짝 성장'을 반영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2월 내놓은 2.2%에서 석 달 만에 2.6%로 올려 잡았다. 하지만 성장률은 올해 상반기 2.9%, 하반기 2.3%, 내년은 연간 2.1% 등 갈수록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더구나 최근 성장률 회복은 주로 반도체를 비롯한 수출 경기 회복에 힘입은 것이어서 민간소비는 1%대로 저조할 것으로 내다봤다.
KDI는 16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상반기 2.9%, 하반기 2.3%, 연간 2.6%로 제시했다. 지난 2월 수정 경제전망에서 예상한 연간 성장률 2.2%보다 0.4%p 높였다. 하지만 내년 연간 성장률은 2.1%로 낮게 예상했다. 따라서 올해 연간, 특히 상반기 '반짝 성장'(2.9%)이 지난해 1.4%의 극히 저조한 성장의 기저효과 때문이 아닌가 하는 평가도 나온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한국의 지난 1분기 성장률 속보치가 전분기 대비 1.3%로 발표된 이후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수정했다. 이번 KDI와 같은 수준이다. 정부(2.2%)와 한국은행(2.1%)의 전망치는 이보다 낮지만, 상향 조정이 예상된다.
KDI는 올해 반도체 경기의 지속적인 상승세로 수출이 빠르게 증가해 경기 회복세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총수출(물량)은 올해 5.6%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기존 전망치(4.7%)보다 0.9%p 높아졌다.
하지만 성장률이 다소 회복됐음에도 소비는 여전히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총소비는 전년 대비 1.7% 증가에 그칠 것 내다봤다. 상반기 1.1%에서 하반기는 2.2%로 다소 높아지겠지만 내년에도 다시 2.0%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설비투자는 2.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건설투자는 부동산경기 하락에 따라 작년부터 나타난 건설수주 위축 영향으로 올해 1.4%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KDI는 올해 성장률이 다소 높을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지난해 경기 부진을 만회하는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내년 경제성장률을 2.1%로 전망하면서 중립 수준으로의 경기 회복은 내년에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말 미국 대선 이후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심화하면서 글로벌 무역이 위축되는 경우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약화할 가능성도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존 전망치보다 0.1%p 높은 2.6%로 전망했다. 최근 중동정세 리스크로 국제유가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상반기 3.0%에서 하반기 2.3%로 둔화돼 연간 2.6%를 예상했다. 내년에는 물가안정목표(2.0%)와 유사한 2.1%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KDI는 기조적 물가상승세를 나타내는 근원물가 상승률은 올해 2.3%, 내년 2.0% 등 지속적으로 하락해 물가안정목표(2%)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우려는 상당 부분 완화됐다고 보고 고금리 긴축 기조의 점진적 조정을 고려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현재 3.50% 수준인 기준금리를 낮출 필요가 있다는 주장으로 해석할 수 있다. KDI는 이어 고금리 기조가 가계와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을 상승시키는 등 내수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어 긴축 기조의 점진적 조정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KDI는 이런 전망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경기 부양의 필요성이 높지 않다고 강조했다. 경기가 회복되는 가운데 통화정책의 긴축기조가 완화된다면 내수도 점차 개선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KDI는 경기 부양 필요성이 줄어든다는 점에서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도 점차 축소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