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에까지 칼 겨눈 검찰…MBC 이직 기자도 압색
이효상·손구민 기자, 뉴스버스 윤진희 기자 대상
'대선 개입 허위보도' 수사한다며 또 압수수색
부산저축은행 수사 당시 조우형 혐의 무마 보도
중앙지검 특별수사팀 표적된 언론 5곳으로 늘어
'신학림-김만배 녹취'서 대선 초기 기사까지 확대
이른바 '대선개입 허위보도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이번엔 경향신문과 뉴스버스 기자들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이로써 수사 대상이 된 매체는 뉴스타파, JTBC, 리포액트를 포함해 5곳으로 늘었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강백신 반부패수사1부장)은 26일 오전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경향신문 이효상 기자와 MBC로 이직한 손구민 기자의 주거지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취재 자료 등을 확보하고 있다. 인터넷 매체 뉴스버스에서 퇴직한 상태인 윤진희 기자도 주거지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이들은 대장동 의혹이 불거진 이후인 2021년 10월쯤 국민의힘 유력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이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건을 수사하면서 대장동 대출 브로커였던 조우형 씨 사건을 무마해줬다는 취지의 보도를 한 혐의를 받고 있다.
당시 경향신문은 윤 대통령의 부실 수사 의혹을 여러 차례 다뤘다. 2021년 10월 7일 <김만배·박영수, 부산저축은행 수사 때 '대장동 인연'…주임검사가 윤석열> <검찰, 부산저축은행 수사 당시 '대장동 대출'은 손대지 않았다>, 같은 해 10월 21일자 <대검 중수부, 2011년 '대장동 PF대출 수수료 10억' 브로커 불법 묵인 정황> <갈수록 짙어지는 대검 중수부의 대장동 부실수사 정황>, 같은 해 10월 26일자 <윤석열 중수부, 2011년 대장동 대출 브로커 계좌 추적했다> 등이다. 10월 21일자 기사의 경우 대장동 초기 사업자인 이강길 씨와의 통화 내용을 근거로 대검 중수부가 조우형 씨의 혐의를 인지하고도 최소한의 확인도 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당시 주임검사였던 윤 대통령에게도 이 씨 면담 내용이 보고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뉴스버스 역시 2021년 10월 21일자 <[단독] 대검 중수부, 2011년 부산저축은행 대장동 대출 비리 '은폐'>기사에서 경찰 수사 기록에 나오는 조 씨의 진술과 이 씨와의 인터뷰 내용 등을 근거로 대검 중수부가 조 씨와 주변 계좌 추적까지 벌여놓고도 입건하지 않았으며, 당시 부산저축은행 비리 수사 주임검사는 중수2과장이던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라고 보도했다.
이처럼 검찰 수사는 대선 사흘 전 보도됐던 뉴스타파의 '신학림-김만배 대화 녹취' 의혹에서 시작해 이제는 대선 초기인 2021년 10월 기사들로까지 확대되는 양상이다. 검찰은 이날 확보한 자료들을 분석한 뒤 해당 기자들을 불러 보도 과정에 정치권을 포함한 외부의 개입이 있었는지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손구민 기자의 경우 경향신문을 떠나 지난해 1월 MBC 경력기자로 이직해 현재 법조팀에서 일하고 있다. 손석희 전 JTBC 총괄사장의 아들이기도 하다.
뉴스버스에서 근무한 윤진희 기자는 지난 2021년 6월 김건희 씨와 단독 전화 인터뷰를 해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당시 인터뷰에서 김건희 씨는 "석사학위 두 개나 받고 박사학위까지 받고 대학 강의 나가고 사업하느라 정말 쥴리를 하고 싶어도 제가 시간이 없다"고 세간의 의혹을 강력 부인하며 "나중에 쥴리를 한번 취재해봐달라. 진실을 취재해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