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성 직접투자 부적절" 55% "관세율 낮춰야" 29%

[NBS]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2%p 또 떨어져 57%

주 4.5일제 반대(63%)가 찬성(32%) 압도

2025-10-02     강기석 에디터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들이 22일 서울 종로구 주한미국대사관 앞에서 조지아주 한인 구금 사태 해결과 한미 관세 협상 관련 입장을 담은 서한문에 손을 얹고 있다. 왼쪽부터 김상욱, 김준혁, 이재강, 임미애, 권향엽 의원. 2025.9.22 연합뉴스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관세를 낮추는 것보다 현금성 직접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의견이 두 배이상이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도는 한 달새 하향세를 이어갔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가 9월 29일~10월 1일(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287명, 중도 311명, 보수 291명,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고)에서 현재 난항 중인 한미 관세협상 기조에 대한 인식을 물었다. 그 결과, ‘관세율을 낮추지 못하더라도 우리 경제 사정상 현금성 직접투자는 적절치 않다’는 응답이 55%로 ‘미국의 요구에 맞춰 현금성 직접투자를 하더라도 관세율을 낮추는 게 적절하다’는 의견(29%)보다 26%p 높게 나타났다.

'우리 경제 사정상 현금성 직접투자는 적절치 않다'는 인식은 40대(67%) 50대(68%) 60대(60%), 더불어민주당(68%) 및 조국혁신당(79%) 지지층에서 특히 높았으며, ‘관세를 낮추는 게 더 적절하다’는 의견은 18~29세(40%) 30~39세(42%) 등 젊은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국정운영 방향성 ‘올바른 방향’ 55% ‘잘못된 방향’ 37%
정당지지도는 거의 변화 없어 민주당 41%, 국민의힘 22%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잘하고 있다(매우+잘함)’는 긍정적 평가는 57%, ‘잘못하고 있다(매우+못함)’는 부정적 평가는 34%로 조사됐다(모름/무응답 10%). 2주 전 조사에 비해 긍정은 2%p 떨어졌고, 부정은 3%p 오른 것이다.

30대~60대에서는 긍정 평가가 높고, 18-29세와 70대 이상은 긍·부정 평가가 비슷했으며, 이념성향별 진보층(n=287)과 중도층(n=311)에서는 긍정 평가가 각 87%, 58%로 높은 반면, 보수층(n=291)에서는 부정 평가가 63%로 높았다.

 

더 주목할 만한 것은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성에 대한 평가로 지난 조사(9월 1주)에 비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매우+대체로)는 응답이 7%p나 떨어진 55%,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매우+대체로)는 응답은 6%p 오른 37%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념성향별 진보층(n=287)과 중도층(n=311)에서는 ‘올바른 방향’이라는 응답이 각 88%, 55%로 높았던 반면, 보수층(n=291)은 ‘잘못된 방향’이라는 응답이 71%로 조사됐다. 2주 전 조사에서는 진보층의 91%, 중도층의 65%가 ‘올바른 방향’, 보수층의 69%가 ‘잘못된 방향’으로 응답했다. 즉 한 달 사이 중도층에서 ‘잘못된 방향’ 응답자가 대폭 늘어난 것이다.

 

정당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1%, ‘국민의힘’ 22%, ‘개혁신당’ 3%, ‘조국혁신당’ 3%, ‘진보당’ 1% 등의 순으로 나타나(‘태도유보’(없다+모름/무응답) 30%), 지난 9월 3주 조사 결과와 유사했다.

 

대북(정책) 기조 공감도: 北 체제 존중 ‘공감’ 56%
조희대 청문회 출석 여부 찬반 43% vs. 41% 팽팽

이재명 대통령이 UN 총회에서 밝힌 ‘체제 존중 및 흡수통일 배제’라는 대북 정책 기조에 대해 ‘공감(매우+공감하는 편)’하는 비율은 56%, ‘공감하지 않는(전혀+공감하지 않는 편)’ 비율은 33%로 조사됐다(모름/무응답 11%).

연령별로 보면 30~60대에서는 ‘공감’ 비율이 과반을 차지한 가운데, 18~29세에서 ‘공감하지 않음’이 가장 높았고, 이념성향별 진보층(n=287)과 중도층(n=311)에서는 ‘공감’이 각 84%, 57%로 높은 반면, 보수층(n=291)에서는 ‘공감하지 않음’이 58%로 높게 나타났다.

 

국회 법사위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대법원의 공직선거법 유죄 취지 파기 환송 결정과 관련한 현안 청문회를 열고 조희대 대법원장을 증인으로 채택한 것에 대해 ‘중대 현안에 대한 의혹 해소 차원에서 필요한 조치였다고 본다’가 43%, ‘사법권 독립을 침해하는 과도한 조치였다고 본다’는 41%로 비슷하게 조사됐다.

지지정당 및 이념성향별 인식의 차이가 크게 드러난 가운데 무당층(n=298)에서는 ‘과도한 조치’라는 응답이 우세한 반면, 이념성향별 중도층(n=311)과 유보층(n=114)은 양측 의견이 팽팽하게 나뉘었다.

사회 양극화 심각성 인식 비율: 수도권과 지방 격차 89%
빈부 격차 85%, 정보 격차 71%, 교육 수준 격차 70%

우리 국민은 사회의 양극화 현상 중 ‘수도권과 지방 간 격차’(89%)를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빈부 격차(85%)’, ’디지털 활용 능력에 따른 정보 격차(71%)’, ‘교육수준의 격차(70%)’ 순으로 양극화의 심각성이 높게 평가됐다. 2024년 10월 2주 조사 결과 대비 모든 항목에서 양극화 수준에 대해 심각하다는 인식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주 4.5일제 ‘찬성한다’ 32% < ‘반대한다’ 63%
추석 기대감 ‘지난해보다 크다’ 14% 불과

주4.5일제 도입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63%로 ‘찬성’(32%) 의견을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연령대에 걸쳐 ‘반대한다’는 비율이 과반을 차지한 가운데, 60대 이상 고령층에서의 반대 의견이 70% 이상으로 특히 높았다. 직업별로는 주부, 자영업자, 블루칼라 직업군의 반대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더불어민주당 지지층(n=406)에서는 찬반 비율이 각 49%, 46%로 거의 비슷한 반면에, 국민의힘 지지층(n=221)에서는 ‘반대’가 86%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올해 추석에 대해 ‘지난해보다 행복감이나 기대가 더 크다’는 응답이 14%, ‘지난해보다 부담이나 염려가 더 크다’는 응답이 37%로 나타났으며, ‘지난해와 별 차이가 없다’는 응답은 47%였다. 작년 추석 명절을 앞두고 조사한 2024년 9월 1주차 조사 결과 대비 ‘행복감이나 기대가 더 크다’는 응답이 7%p 증가하고, ‘부담이나 염려가 더 크다’는 응답은 5%p 감소했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