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취업자 9년째 감소…20년 만에 가장 쪼그라들어
11월 기준 620만 명대로 줄어 비중 1위 50대에 내줘
인구 수 감소도 4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은 14만 명대
2차 베이비붐 세대의 50대 진입 따른 구조변화이지만
제조업 위축으로 인한 '경제 허리' 부실화 우려 목소리
지난달 40대 취업자가 같은 달 기준으로 20년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일자리를 점유한 비중도 6년 만에 50대에 내줬다. 2차 베이비붐 세대가 50대에 접어들면서 40대 인구가 줄어든 영향이긴 해도 우리나라 사회와 경제생활의 중추 세대가 너무 위축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2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등에 따르면 지난달 40대 인구는 790만 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만 9000명 감소했다. 감소 규모가 2019년 8월(-14만 1000명) 이후로 4년 3개월 만에 가장 컸다.
올해 들어 1∼11월 40대 인구는 전년 동기 대비 12만 명 줄었다. 전 연령대에서 15∼29세 청년층(-17만 8000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줄어든 수준이다. 30대는 7만 6000명 줄었다. 반면에 50대는 9000명 증가했고 60세 이상은 50만 9000명이나 늘었다.
40대는 인구 수 감소에 따라 취업자 수도 함께 줄어들고 있다.
올해 11월 40대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6만 2000명 감소한 625만 400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달 기준으로 2003년 617만 2000명 이후로 20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11월 40대 취업자 수는 2014년 694만 7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만 1000명 증가한 이후, 2015년부터 9년째 연속 줄어들고 있다. 올해 전체로도 11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5만 7000명 감소해 인구와 마찬가지로 감소 폭이 청년층(-10만 명) 다음으로 컸다.
전체 일자리의 세대별 비중도 지난해부터 50대보다 작아졌다. 40대는 6년간 유지하던 일자리 규모 비중이 1위에서 2위로 밀려났다. 올해 안에 60대 이상 취업자 수가 40대 취업자 수를 사상 처음으로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 실정이다.
지난해 연간 2645만 개 일자리 가운데 50대 점유한 일자리가 635만 개로 24.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40대를 제쳤다. 40대는 631만 개로 23.8%를 차지했다.
인구 변화의 영향을 적게 받는 고용률로 보면 40대의 경우 지난달 79.1%를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0.6%p 올랐다. 2021년 4월부터 32개월째 상승세다.
40대가 인구 수와 취업자 수에서 줄어들고 있는 것은 1968∼1974년에 태어난 2차 베이비붐 세대가 50대에 접어든 영향이긴 하다. 하지만 그 속도와 규모 면에서 우리나라 제조업의 위축에 따른 결과라는 분석도 나온다. 40대가 가정과 기업 모두에서 허리를 담당하는 중심이기 때문이다.
지난 2019년 11월 발간된 '2019∼2023 국가재정운용계획 : 일자리 보고서'는 "2차 베이비붐 세대가 대부분 50대로 진입하는 2020년대 중반이 되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취업자 증감은 큰 폭으로 축소될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