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정부 들어 한국 경제규모 세계 10위→13위 추락

2020~21년 연속 '톱 10'에서 지난해 세 단계 밀려

떨어진 경제성장 활력과 원-달러 환율상승이 주 원인

원자재 수출국인 러시아·브라질·호주 등에 추월 허용

올해도 저성장에 강달러 현상 지속 재진입 어려울 듯

2023-07-12     유상규 에디터

지난해 우리나라는 경제 규모 세계 '톱 10'에서 밀려났다. 우리나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지난 2020년과 2021년 연속 세계 10위를 기록했으나, 지난해에는 13위로 잠정 집계됐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명목 GDP(시장환율 적용)는 1조 6733억 달러로, 세계 13위 수준으로 추정됐다.

국가별로는 미국과 중국이 각각 25조 4627억 달러와 17조 8760억 달러로 1, 2위를 기록했다. 3위는 일본이 차지했지만 규모는 4조 2256억 달러로 1, 2위와는 큰 격차를 보였다. 이어 독일 4조 752억 달러, 영국 3조 798억 달러로 '톱 5'에 올랐다.

세계 경제규모 순위

지난해 전 세계 경제 대국 6~10위는 인도(3조 96억 달러), 프랑스(2조 7791억 달러), 캐나다(2조 1436억 달러), 러시아(2조 503억 달러), 이탈리아(2조 105억 달러)가 차지했다.

브라질이 1조 8747억 달러로 11위, 호주가 1조 7023억 달러로 12위였고, 우리나라에 이어 스페인이 1조 5207억 달러, 멕시코가 1조 4597억 달러로 각각 14위와 15위를 차지했다.

명목 GDP란 한 나라에서 재화와 서비스가 얼마만큼 생산됐는지를 보여 주는 지표로, 한 나라 경제의 크기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명목 GDP는 시장가격(당해 연도 가격)을 기준으로 집계한다.

지난해 한국의 경제 규모를 100(한국=100)으로 봤을 때, 전 세계 1위 미국은 15배가 넘는 1522, 중국은 10배가량인 1068이나 됐다.

'톱 5'에 포함된 일본(253), 독일(244)은 2.5배 안팎이었고, 영국(184), 인도(180), 프랑스(166) 등도 우리나라 경제 규모의 1.5배 이상이었다.

한국의 경제 규모 순위는 2021년 10위에서 지난해 13위로 3계단 하락했다.

유엔(UN) 통계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의 명목 GDP는 1조 8109억 달러로 11위였던 러시아(1조 7787억 달러)와 12위 호주(1조 7345억 달러), 13위 브라질(1조 689억 달러)에 앞섰지만, 지난해에는 이들 세 나라에 모두 추월당했다.

 

명목 GDP 국제비교

한국의 GDP 순위는 2005년 처음으로 10위에 올랐지만 이후 줄곧 10위권 밖에 있다가, 2018년 다시 10위를 회복했다. 이듬해인 2019년 12위로 두 계단 하락했지만 2020년 재차 10위를 탈환해 2021년까지 유지했지만 지난해 13위로 뒷걸음질쳤다.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가 세 계단 하락한 것은 전반적인 성장 활력이 떨어진 데다 지난해 달러 강세로 인해 달러화로 변환한 명목 GDP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명목 GDP는 2161조 8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3.9% 증가했다. 그러나 미 달러화 기준으로는 환율 상승(연평균 12.9%) 영향으로 전년 대비 7.9% 감소했다.

원화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은 2019년 1924조 5000억 원, 2020년 1940조 7000억 원, 2021년 2080조 2000억원, 지난해 2161조 8000억원 등으로 계속 증가했지만, 미 달러화 기준으로는 2019년 1조 6510억 달러에서 2020년 1조 6446억 달러, 2021년 1조 8177억 달러, 지난해 1조 6733억 달러 등으로 증감이 교차됐다.

한은은 "지난해 달러 강세로 인해 환율 전환 지표들이 대부분 안 좋게 나오고 있다"면서 "(강달러 상황 속에서도) 자원 수출국들의 경우 다른 통화에 비해서 환율이 강세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명목 GDP 순위가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우리나라를 제친 러시아와 브라질, 호주 등은 모두 석유나 광물 등 원자재 수출국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올해도 우리나라가 다시 '톱 10'에 진입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우리 경제 실질 성장률이 올해 1%대 중반 내외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강달러 현상이 여전해 달러 환산 명목 GDP 역시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4월 내놓은 세계 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7%에서 1.5%로 낮췄다. 반면 선진국 성장률 전망치는 1.1%에서 1.2%로 높여 잡았다.

경제규모 면에서 우리를 추월한 호주의 경우 올해 1.6% 성장할 것으로 전망돼 격차가 더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러시아(0.7%), 브라질(0.9%)의 경우 올해 우리나라보다 저조한 성장이 예상되지만, 명목 GDP 격차나 환율 등을 감안하면 다시 추월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