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현재대로 살아도 된다’ 57%, ‘반드시 통일’ 39%

[전국지표조사] ‘자유 왕래하는 2국가 체제’ 49%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찬성’ 54% 〉 ‘반대’ 32%

주변국 호감도 미국 62%, 일본 45%, 중국 26%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긍정적’ 64%, ‘부정적’ 22%

2025-07-24     강기석 에디터
폭염이 기승을 부린 11일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에서 태양빛이 민간인통제선 철책에 걸린 통일 기원 리본 위로 내리쬐고 있다. 2025.7.11 연합뉴스

남북이 꼭 통일되지 않고 현 상태로 살아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국민이 여전히 과반을 훌쩍 넘고, 자유롭게 왕래하는 ‘2국가’ 체제를 원하는 비율도 절반에 육박(49%)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 회사가 번갈아 조사하는 전국지표조사(NBS)가 7월 21~23일(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방식(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3.1% point, 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285명 중도 377명 보수 243명,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으로 우리 국민의 통일 인식을 조사한 결과, 남북이 ‘통일이 되지 않고 현재 상태로 살아도 된다’는 응답이 57%로 절반을 넘고 ‘반드시 통일이 되어야 한다’는 응답은 39%로 나왔다. 이 수치는 지난해 7월과 같은 것이며 2023년 7월에는 55%-40%, 2022년 7월에는 56%-41%를 기록했었다.

 

남한과 북한이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도 ‘자유로운 왕래가 가능한 2국가’를 꼽은 응답이 49%로 가장 높고, ‘현재와 같은 2국가 체제’ 20%였다. ‘통일된 단일국가’는 20%, ‘하나의 국가 내 2개의 체제’ 6% 순으로 나타났다.

‘반드시 통일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가진 응답층(n=386)에서는 ‘통일된 단일국가'(43%)와 ‘자유로운 왕래가 가능한 2국가'(42%)를 선호했으며, ‘현재 상태로 살아가도 된다’는 응답층(n=574)에서는 ‘자유로운 왕래가 가능한 2국가'(56%), ‘현재와 같은 2국가 체제'(34%)를 선호했다. 5년 연속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자유로운 왕래가 가능한 2국가’ 항목의 응답 비율이 2023년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시작전권은 환수하되 시간을 두고 천천히”
우리 국민 미국 선호도 급락, 일본 선호도 지속 상승
이 대통령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 ‘찬성’ 48% ‘반대’ 37%

현재 미국이 갖고 있는 한국군의 전시작전통제권을 환수하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한다’가 54%, ‘반대한다’는 32%였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n=431)과 진보 성향층(n=285)에서 ‘찬성한다’는 응답이 각 73%, 74%로 나타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n=171)과 보수 성향층(n=243)에서는 ‘반대한다’가 각 53%, 52%로 나타났다. 다만 전시작전통제권을 환수해야 한다는 응답자(n=537)들도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시기에 대해서는 ‘시간을 두고 논의해야 한다’가 70%, ‘가급적 빨리 환수해야 한다’ 28%였다.

주변 5개국에 대한 호감도는 미국이 62%로 가장 높고, 이어서 일본 45%, 중국 26%, 북한 20%, 러시아 17% 순으로 나타났다. 2024년 7월 4주 조사 대비 미국에 대한 호감도가 12%p 하락한 반면, 북한에 대한 호감도는 10%p 상승했다. 바이든 행정부 시기 70%대를 유지했던 미국에 대한 호감도는 이번 조사에서 60%대로 하락했고, 20년 10월 4주 조사 이후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오는 9월 열리는 중국 전승절 80주년 행사에 이재명 대통령이 참석하는 것을 ‘찬성한다’는 응답이 48%, ‘반대한다’는 37%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n=431)과 진보 성향층(n=285)에서 ‘찬성한다’는 응답이 각 59%, 58%로 나타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n=171)과 보수 성향층(n=243)에서는 ‘반대한다’가 각 52%, 53%.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평가 및 신뢰도 지속적 고공행진
이진숙 지명 철회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도 높은지지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잘하고 있다’(매우+잘함)라는 긍정적 평가는 64%, ‘잘못하고 있다’(매우+못함)라는 부정적 평가는 22%로 조사(모름/무응답 14%)돼 7월 2주 조사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신뢰한다’(매우+신뢰함)는 응답은 64%, ‘신뢰하지 않는다’(전혀+신뢰하지 않음)는 응답은 28%였다.

 

지지정당별로 살펴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n=431)에서는 ‘신뢰한다’가 96%, 국민의힘 지지층(n=171)에서는 ‘신뢰하지 않는다’가 65%였고 이념성향별로는 진보 성향층(n=285)과 중도층(n=377)에서는 ‘신뢰한다’가 각 90%, 66%로 높은 반면, 보수 성향층(n=243)에서는 ‘신뢰하지 않는다’가 57%였다.

이재명 대통령이 청문회 과정에서 논란이 있던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한 것에 대해 ‘잘한 일이다’는 응답이 74%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현재 세종시에 있는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추진에 대해서도 ‘찬성한다’는 응답이 61%로 높게 나타났다. ‘반대한다’는 20%. 모든 지역에서 50% 이상 이전을 찬성하는 가운데, 이전 예정지인 부산이 포함된 부산/울산/경남에서는 찬성 응답이 74%로 높았다.

끝없는 국힘당 지지율 하락, 또 최저치 17% 기록

 

정당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3%, ‘국민의힘’ 17%, ‘조국혁신당’ 4%, ‘개혁신당’ 4%, ‘진보당’ 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태도유보’ (없다+모름/무응답) 29%). ‘더불어민주당’은 2주 전보다 2% 떨어졌으니 전 연령층에서 ‘국민의힘’을 앞섰다. ‘국민의힘’은 지역에서 대구/경북만 19%-35%로 앞섰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