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투자은행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1% 턱걸이"

씨티 등 9개 IB 전망치 평균 1.1%…노무라는 –1.3% 예상

국제금융센터 "올해보다 내년 한국 경제가 더 안 좋을 것"

물가상승률 3.1%…경상수지는 GDP 대비 2.2% 흑자 전망

2022-12-06     유상규 에디터

주요 투자은행(IB)들은 내년 우리 나라 경제 성장률이 1%대 초반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5%대에서 내년 3%대로 떨어지지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은 2%대로 저조할 것으로 예상했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9개 주요 외국계 투자은행(IB)들이 지난달 말 기준 보고서에서 밝힌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1.1%로 나타났다. 국제금융센터가 집계한 주요 투자은행은 바클레이즈,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BoA-ML), 씨티, 크레디트스위스, 골드만삭스, JP모건, HSBC, 노무라, UBS 등이다.

이들 투자은행들이 지난 10월 말 기준 보고서의 전망치 평균(1.4%)과 비교하면 한 달 사이에 0.3%p 낮아진 수치다.

기관별로는 BoA-ML가 2%로 전망해 가장 높았고, 이어 HSBC가 1.5%, 크레디트스위스·골드만삭스·JP모건 각 1.4%, 바클레이즈 1.3%, UBS 1.1% 등의 순이었다. 씨티는 내년 한국 경제가 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고, 노무라증권은 -1.3%의 역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10월 말과 비교하면 UBS는 내년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7%p나 낮췄고, 크레디트스위스는 0.8%p, 노무라는 0.6%p 각각 내려잡았다.

노무라는 내년 주택가격 하락과 금융여건 악화로 소비가 감소할 것이라며 한국 성장률 하향조정 배경을 설명했다. UBS는 우리 생산과 수출의 기반이 되는 반도체 등의 부문에서 다운사이클에 따른 부진을 예상했다.

반면 9개 투자은행들은 우리 경제가 올해 2.5% 성장할 것으로 예상해 10월 대비 전망치를 0.1%p 상향 조정했다.

국제금융센터는 "11월 일부 투자은행들이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큰 폭 내려 잡으면서 평균이 하락했다"면서 "투자은행들은 전반적으로 올해보다 내년 한국 경제가 더 안 좋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투자은행들은 우리 경제 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2.5%에서 올해 5.1%로 상승하겠지만 내년에는 3.1%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10월 말 당시 전망과 비교하면 올해와 내년 물가 상승률 전망치 모두 0.1%p 내려 잡았다.

BoA-ML이 내년 3.8%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 대부분 기관은 3%대 물가 상승률을 예상했다.

HSBC(2.7%)와 노무라(2.0%)는 물가 상승률이 2%대로 복귀할 것으로 내다봤다.

투자은행들은 이와 함께 한국의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이 지난해 4.9%에서 올해 1.9%로 급락한 뒤 내년에도 2.2%로 저조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