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파킹? "시누이는 직계 아니니 합법"이라는 김행
인사청문회서 제기된 의혹들 모두 부인
“강간 당해도 애 낳아야 한다고 한 적 없다”
“언론·정치경력 40년…김건희 픽업 말도 안 돼”
한준호 “부채를 회삿돈으로 갚아 배임 의혹있다”
김한규 “IC코퍼레이션 등 문제회사 경력 2개 누락”
(본 기사는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5일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김행 후보자는 부채 관련 배임 의혹과 주식 파킹 의혹, 과거 재산 축소 신고 의혹, 고의적 경력 축소 누락 의혹 등 각종 의혹에 대해 부인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김 후보자가 요구 자료를 불성실하게 제출했다며 항의했고 국민의힘은 민주당 의원들의 질의 도중 영상 사용에 대해 항의하는 등 청문회 도중 여러 차례 여야 간 실랑이가 벌어졌다.
이날 청문회에서 2019년 공동창업자 공 모 씨에게 주식을 되사들이면서 공 씨와 맺은 약정서 내용을 통해 김 후보자의 배임 의혹이 제기됐다. 한준호 민주당 의원은 “본인 소유 소셜 뉴스 주식을 반환받기로 하면서 부채도 본인(김행 후보자)이 취득했다”면서 “약정서에 부채 승계 내용이 들어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회사를 인수했는데 (김행 후보자 본인에게) 부채 상환 의무가 있는데 회사가 부채 상환을 퇴직금 등의 명분으로 공 씨에게 주고 그것으로 부채를 상환했다”면서 “이것에 곧 배임”이라고 말했다.
본인 소유 주식을 반환받는 계약을 체결하면서 부채를 승계했는데 이 부채는 김 후보자가 직접 상환해야 하는데도 퇴직금, 법인카드 등 회삿돈으로 상환했기 때문에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양이원영 의원은 ‘퇴직금 규모’를 문제 삼았다. 양이원영 의원은 “급여가 2차 약정서에 1300만 원 지급했다고 되어 있다”면서 약정서상 퇴직금이 실제 공 씨에게 지급되어야 할 퇴직금보다 많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에 김 후보자는 “퇴직금은 세무서에서 계산한 근거로 했으며 자료를 제출하겠다”라고 말했다.
김 후보자가 디시인사이드 관련 경력을 고의적으로 숨긴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김한규 민주당 의원은 “넥서스투자라는 데서 근무했나”라는 질문에 대해 “그런 자리는 있지도 않았다”라고 말했다. 김 의원이 “2006년 광주일보 칼럼을 3번 쓰는데 경력이 현 ‘넥서스투자 고문’으로 돼 있고 2015년 중구 예비후보 등록 때는 넥서스투자 상임고문으로 돼 있다”면서 “자료를 허위로 기재한 것인가”라고 묻자 김 후보자는 “보니까 제가 생각한 상임고문은 착각인 것 같다”라고 말했다.
디시인사이드는 2006년 우회상장을 위해 IC코퍼레이션 인수에 나섰고 당시 이 회사 관계자가 회삿돈을 빼돌린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았다. 우회상장 시도 당시 디시인사이드는 넥서스투자와 ICM으로부터 각각 5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 두 회사의 모회사가 글로벌 리소스였는데 김 후보자는 이 회사 지분 8.8%를 보유한 대주주였다. 김 후보자는 또 IC코퍼레이션의 사외이사로도 이름을 올린 적이 있다.
김 의원은 “두 군데(넥서스 투자, IC코퍼레이션) 회사가 기업 근무 경력에서 빠졌는데 의도적인 것인가?”라고 물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공동창업자 공 모 씨가 남편하고도 가까워 자기가 전문 경영인으로 갔는데 투자해 달라고 해서 투자를 해 줬다”면서 “이사회에는 단 한 번도 참여한 적이 없다”라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이른바 ‘주식 파킹’ 논란에 대해서도 부인했다. '주식 파킹'은 김 후보자가 박근혜 청와대 대변인 시절 신고한 24억 원보다 이번 재산 신고 재산 총액이 총 163억 원으로 늘어나는데 있어 핵심적 배경이 됐다.
이원택 민주당 의원은 “2013년 청와대 대변인 임명 때 (시누이에게) 소셜뉴스 주식을 매각한 다음 2018년 재매입했는데 주식 파킹 논란이 있다”라고 지적하자 김 후보자는 “15억 정도 빚이 누적돼 있고 사줄 사람이 없어서 시누이가 산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모든 회사가 경영이 좋을 때가 있고 안 좋을 때가 있다”면서 “그런 이유로 매각하는 것은 공직자윤리법, 자본시장법에 맞지 않으며 통정매매에 해당할 수 있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어 “명의신탁일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통정매매를 인정할 수 없다”면서 “주식을 매매할 때 직계 존비속한테 하지 않으면 되게 되어 있으며 직계 존비속이 아니기 때문에 위법 사항이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명의신탁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김건희 친분설’도 전면 부인했다. 김 후보자는 “정당에서 여의도연구소를 만들었고 상당한 역할을 했고 그다음 언론사에 있었다”면서 “국민통합21에서 대통령 후보 대변인을 했고 박근혜 대통령 청와대 대변인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활동 이력이 20년 정도 되고 당 비상대책위원, 공천관리위원도 했다”면서 “언론, 정치권에서 거의 40년을 활동했는데 어떻게 김건희 씨가 픽업했다고 생각할 수 있나”라고 말했다.
김행 후보자는 최근 논란이 됐던 “강간당해도 애를 낳아야 한다”는 발언에 대해 “그런 말을 한 적 없다”고 해명했다. 김 후보자는 “저도 인권을 공부하고 사회학을 공부했던 사람인데 강간당해도 애를 낳아야 한다고 말할 리가 없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2012년 한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너무 가난하거나 강간당해 임신을 원치 않을 경우에도 우리 모두가 부드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톨러런스가 있다면 여자가 어떻게든 아이를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본안보다 부차적인 지엽적인 문제를 놓고 특정 제목으로 편집하면 메시지가 왜곡되기 십상”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자가 과거 박근혜 정부 청와대 대변인으로 일할 때 재산 신고에서 미술품을 고의적으로 누락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동주 민주당 의원은 “청와대 대변인 시절 미술품을 재산신고에서 누락한 사실이 있느냐”라고 물었고 김 후보자는 “그렇게 보실 수 있다”라고 답했다.
김 후보자는 이번 공개를 통해 미술품 7점을 신고했다. 총 10점을 보유하고 있는데 감정가가 500만 원 이상인 7점을 신고했고 감정 평가 총액은 1억 5000만 원에 이른다. 이 미술품은 1980~90년대에 매입한 것으로 2013년 박근혜 정부 청와대 대변인으로 근무할 당시에도 보유 중이었는데 당시 재산 신고에서 이를 누락했다는 의혹이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나쁜 의도가 있었다면 이번에 그림을 신고하지 않았다”라면서 “누가 저희 집에 와서 보고 (그림을) 알겠는가”라고 말했다. 이어 “옥션에서 최고가로 써달라고 했다”라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또 “(박근혜 정부 시절) 미술품 가격이 500만 원이 될 것이라고 생각을 못했다”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