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총연맹 ‘정치 중립’ 정관 삭제는 윤 대통령 뜻”

장철호 사무부총장이 유튜브 채널서 발언

"총재님께서 대통령 뜻 받들어 오자마자 없애"

3월 정관 삭제 후 대대적인 관변토론회 벌여

자문위원 회의서 총선 아이디어도 나와

연간 138억 정부 지원…총선 개입은 불법

2023-09-05     박승철

(본 기사는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강석호 자유총연맹 총재가 MBC 스트레이트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2023.9.5. MBC 유튜브 채널 캡쳐.

22대 총선을 앞두고 자유총연맹이 불법 선거운동을 계획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3일 MBC <스트레이트> 보도에 따르면 자유총연맹에서 정치 중립 의무 정관 삭제뿐 아니라 보수, 극우 인사 중심의 조직 확장 등 총선을 대비하는 정황이 발견됐다.

한국자유총연맹은 지난 3월 정관에서 ‘정치적 중립’ 조항을 삭제했다. ‘정치적 중립’은 문재인 정부 시절이었던 2018년 자유총연맹의 관권선거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정관에 추가된 조항이었다. 당시 정치중립위원회 설치 조항도 추가됐다. 2016년 4월 총선 동원 의혹,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촛불집회 맞대응 집회 동원 의혹 등이 제기되면서 정치적 중립 논란에 휩싸임에 따라 내려진 조치였다.

그런데 4일 <경향신문>은 지난 3월 ‘정치적 중립’ 조항 삭제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에 의한 것이라는 발언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장철호 자유총연맹 사무부총장은 지난 4월 14일 ‘BJ툴’이라는 유튜버의 채널에 출연해 “강석호 (자유총연맹) 총재님께서 윤석열 대통령의 뜻을 받들어서 (총재로) 오시자마자 3개월 만에 정치중립위원회라는 것을 정관을 변경해서 없애버렸다”고 말했다.

장 사무부총장은 “좌파 문재인 정권이 들어섰을 때 자유총연맹을 망치기 위해, 어떤 우파적인 활동도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정관을 변경해 정치중립위원회라는 걸 만들었다”라면서 “정치중립위원회에 보고를 하고 허가를 받아야만 성명도 발표할 수 있고 모여서 시위도 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정치적 중립 조항이 정관에서 삭제된 이후 자유총연맹은 현 정부의 기조와 관련이 있는 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지난 3월부터 ‘수요일엔 빨간 장미를’이라는 슬로건을 걸고 대국민 토론회를 시작했다. ‘한·일관계 개선’, ‘종북주사파 실체’, ‘광우병 그리고 후쿠시마 선동, 괴담’ 등의 주제로 토론에 나선 것이다.

유튜브 방송에서 이런 내용을 설명하던 장 사무부총장은 마지막 부분에 울먹이면서 “윤석열 대통령님, 그분 마음속에는 우리 국민밖에 없다”면서 “여러분도 끝까지 동참해서 총선 승리를 통해서 대통령께서 마음껏 국민을 위한 국정운영을 펼칠 수 있게 힘을 모아달라”라고 말했다. 자유총연맹 간부가 총선에서 여당 지원을 공개적으로 독려한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해당 영상은 현재 삭제된 상태다.

 

윤석열 대통령이 6월 28일 서울 중구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자유총연맹 창립 69주년 기념식에 입장하며 손을 흔들고 있다. 2023.6.28. 연합뉴스

강석호 총재는 <경향신문>과 <MBC>와의 인터뷰에서 장철호 사무부총장의 발언을 전면 부인했다. 강 총재는 “전혀 아니다”라면서 “대통령께서 그런 것까지 신경 쓰시나. (장 부총장이) 어떤 뜻에서 이야기했는지 몰라도 전혀 그런 지시를 받거나 그런 적이 없었다”라고 말했다. 총선 관련 언급에 대해 강 총재는 “그건 잘못된 것”이라면서 “장 부총장한테 물어보라”고 말했다.

현행법에 따르면 자유총연맹 또는 그 임직원이 선거운동에 나서면 불법이다. 공직선거법은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국민운동단체로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출연 또는 보조를 받는 단체인 자유총연맹은 대표자와 임직원, 구성원 모두 선거운동을 할 수 없다. 특히 자유총연맹은 정부 등으로부터 연간 138억 원의 보조금을 받는 단체다. 그러나 회원수가 300만 명이 넘고 전국 조직을 갖추고 있어 선거가 있을 때마다 보수 세력 지원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아왔다.

자유총연맹의 총선 개입 또는 보수 세력 확장 의도는 보수 유튜버들의 발언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조수경 대한민국회복연합 조직위원장은 지난 6월 유튜브 채널 ‘이주천TV’에 출연해 “정말 반가웠던 게 자유총연맹을 만나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자유총연맹과 함께해서 보수들을 연합하도록’ 그걸 진행을 이야기하셨다고 이야기를 들었다”라고 말했다. 조 위원장은 자유총연맹으로부터 국민소통·회복분과 자문위원장으로 위촉된 인물이다. 당시 조 위원장은 진행자가 “우리 총장님한테?”라고 묻자 “예”라고 답했다. 강석호 자유총연맹 총재가 이같은 발언을 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6월에는 자문위원들이 공개 석상에서 총선 관련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도 했다. 당시 강 총재는 “문제는 내년에 큰 그게 안 있습니까”라고 하면서 “거기에서 어느 정도 우파가 많은 부분을 확보를 해야만 전체가 바로 돌아간다 이런 부분이니까”라고 말했다. ‘내년에 큰 그게’는 ‘총선’을 ‘우파가 많은 부분을 확보를 해야만’은 총선 의석수를 의미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MBC 스트레이트 취재진이 강 총재에게 이 내용에 대해 묻자, 그는 “‘내년에 큰 그것’은 총선이 아니라 ‘자유총연맹 70주년’이고, ‘우파가 많은 부분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은 국회 의석이 아니라 예산”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강 총재의 이같은 발언이 나오자 현장에 있던 자문위원들은 각자 총선 전력과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이민구 자문위원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확장성이라는 문제를 여러분들이 좀 고민을 해주셨으면 한다”라면서 “어차피 승부는 중도에서 얼만큼 더 끌어오냐의 승부라고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승수 세금도둑잡아라 대표는 “‘특정 정당이 총선에서 승리해야 된다’, ‘의석을 많이 확보해야 된다’, ‘우리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된다’ 는 취지의 발언은 선거운동이라고 볼 수 있다”라고 밝혔다.

자유총연맹은 또 극우 보수 인사를 포함한 자문위원 500여명을 신규로 위촉하는 등 조직 확대에도 나서고 있어 총선 대비용 아니냐는 의혹의 눈초리를 받고 있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