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산업활동 두 달 연속 늘었지만…감소 같은 증가세
생산 1.1→0.1%, 투자 3.5→0.2% 증가율 급락
소비 기지개로 소매 판매는 0.4→1.0% 늘어나
반도체 출하 증가 영향 제조업 재고 역대 최저치
경기 개선 흐름 있지만 본격 회복세 해석은 무리
지난달 산업생산, 설비투자 등 산업활동이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지만, 증가세가 전달보다 크게 둔화해 거의 정체 상태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6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1.1(2020년=100)로 전월 대비 0.1% 증가했다. 전달 증가율 1.1%와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이다.
산업생산은 지난 2월과 3월 각각 1.1% 증가했고 4월에는 1.3% 감소했다. 지난 5월 다시 1.1% 늘어 지난달까지 두 달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지만 증가율은 제로에 가깝게 줄어들었다.
6월 산업생산은 광공업·건설업에서 줄었지만, 서비스업과 공공행정에서 생산이 늘어난 덕분에 가까스로 감소세를 면했다. 광공업은 반도체(3.6%) 생산실적이 개선됐지만, 자동차(-12.9%)·석유정제(-14.6%) 등 생산이 줄어 전월 대비로 1.0% 감소했다.
제조업 생산은 5월의 높은 증가세(3.0%)에 대한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1.1% 줄었다. 다만, 분기 기준으로는 1분기보다 3.4% 늘며 지난해 1분기 이후 5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2분기 반도체 생산도 20.6% 늘며 5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그러나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18.6% 줄었다.
제조업 재고는 비중이 큰 반도체 출하가 늘면서 전달보다 6.2% 줄었다. 1975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폭 감소다.
반도체는 출하가 41.1% 급증해 재고도 12.3% 줄었다. 6월 반도체 수출이 89억 달러로 연중 최대 실적을 낸 영향이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1.9%로 전달보다 0.9%p 하락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줄었지만 금융·보험, 예술·스포츠·여가 등에서 늘면서 전월 대비 0.5% 증가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6월 106.3(2020년=100)으로 1.0% 늘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와 신발 및 가방 등 준내구재 판매가 줄었지만,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가 늘었다.
6월 설비투자는 0.2%가 늘어 석 달째 증가했다. 그러나 증가율은 전달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설비투자는 지난 3월 2.5% 감소를 기록한 이후 4월 0.8%로 증가 반전했다. 5월에는 증가 폭이 3.5%로 크게 확대됐지만 지난달에는 거의 정체 수준이었다.
건설업체의 실제 시공 실적을 금액으로 나타내는 건설기성은 공사 실적이 토목·건축 모두 줄면서 2.5% 감소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p 하락했다.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p 상승하며 두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산업생산과 소비·설비투자가 두 달째 증가했다고는 하지만 증가 폭이 보합에 가까워 본격적인 경기 회복세로 해석하기는 무리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선행지수 등에서 경기가 조금 개선된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분기 말이라는 특수 요인도 있어 더 지켜봐야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