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5·18 단체들 "매년 특전사 묘역 참배하겠다"
시민언론 민들레 '추진계획안' 문건 입수
부상자회장 "시민단체 동의 필요없다"
"특전사와 함께 진행할 행사 더 있다"
두 5·18단체(부상자회·공로자회)가 특전사동지회와 함께 올해부터 매년 서울 국립현충원 특전사 묘역을 합동 참배할 계획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사실은 시민언론 민들레가 23일 입수한 두 5·18단체의 내부 관련 문건을 통해 밝혀졌다.
문건에 따르면, 두 5·18단체 회원과 특전사동지회 회원 300명은 매년 4월 1일 현충원을 찾아 ‘특전사 묘역 합동 참배’를 할 계획이다. 4월 1일은 특전사 창립일이다.
두 5·18단체는 지난달 27일에도 현충원 특전사 묘역을 찾아 참배했다. ‘국가에 의해 동원돼 희생된 계엄군의 아픔을 함께 보듬고, 비극이 다시는 벌어져서는 안 된다’는 취지였다.
두 단체가 특전사동지회와 함께 기획한 행사는 또 있다. 오는 5월 21일에는 특전사동지회 회원들과 함께 5·18민주묘지를 방문, 합동 참배를 진행할 예정이다. 역시 연례 행사로 기획돼 있다. 3월 이후 ‘적당한 시기’에 광주 5·18자유공원에서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사랑의 국수 나눔 봉사’ 활동도 진행한다. 역시 특전사동지회(광주시 지부) 회원들과 함께하는 행사다.
두 5·18단체들은 특전사동지회와 지난 19일 개최한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 선언식> 행사로 지역 사회의 거센 비판에 직면, 후폭풍을 맞고 있는 상황이다. 같은날 5·18민주묘역을 ‘기습 참배’한 것을 두고도 ‘도둑 참배’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전사동우회와의 화해’를 주도하고 있는 황일봉 부상자회 회장은 현충원 합동 참배 등 예정된 행사들을 계획대로 진행할 뜻임을 분명히 밝혔다.
황 회장은 23일 시민언론 민들레와의 통화에서 “그분들(특전사동지회)과 지속적으로 인간 관계를 통해야 우리가 도저히 알 수 없었던 5·18 당시의 역사적 진실을 규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른 5·18단체와 시민단체의 공감대가 먼저 있어야 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그게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사사건건 시민단체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면, 우리는 아무 의사결정권이 없다는 말이냐”는 불만이었다.
한편 황 회장은 위에 언급된 프로그램 외에도 “(특전사동지회와 함께하는) 다른 관련 행사도 여럿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시민단체 등이 또 동의도 안 받고 행사를 한다고 (비판하면 계획이) 달라질 수도 있어 밝히기는 곤란하다”고 덧붙였다.
시민언론 민들레가 입수한 문건은 부상자회·공로자회·유족회·특전사동지회 이름으로 작성됐다. 이 가운데 유족회는 “진상 규명이 우선”이라는 이유로 지난 19일의 행사 개최에 반대하며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