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향한 민주당 의원들 '반성문'…이재명 "미안하다"

"검찰과 가짜뉴스에 똑같이 당하는 저조차 의심"

"얼마나 억울했을까…잘못했다, 정신 차리겠다"

2021년 의원총회로 제명…'명예회복' 복당 주목

"온갖 공격 견디며 외롭게 싸워" "마녀사냥 당해"

"희대의 파렴치범으로 몰던 사람들 지금 뭐 하나"

2023-02-11     김호경 에디터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페이스북 글에 첨부된 이미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11일 정의기억연대(정의연) 후원금을 유용한 혐의 등으로 온갖 마녀사냥을 당하다 1심 재판에서 사실상 무죄를 선고받은 윤미향 의원에 대해 "미안하다"는 심경을 털어놨다.

한 달 새 세 차례나 검찰에 출석한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윤미향 의원을 악마로 만든 검찰>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8개 혐의 징역 5년 구형. 2년 반 재판 후 7개 무죄. 1개 벌금"이라고 적었다. 이어 "인생을 통째로 부정당하고 악마가 된 그는 얼마나 억울했을까"라며 "검찰과 가짜뉴스에 똑같이 당하는 저조차 의심했으니…"라고 토로했다.

언론의 무책임한 의혹 제기와 정치검찰의 먼지털이식 표적 수사로 고통받는 처지에서 윤 의원에게 동병상련을 표시하며, 한편으로는 그 같은 검언 합작의 여론몰이에 자신도 속아 한때 윤 의원을 의심했음을 고백한 것이다.

이 대표는 "미안합니다. 잘못했습니다. 다시 정신 바짝 차리겠습니다"라고 밝혔다. 이는 민주당에서 제명까지 당한 윤 의원을 향해 공개적으로 진솔한 반성문을 쓴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아니면 말고식 폭로극과 인간사냥으로 특정 타깃의 여론재판을 유도해 '악마화'하는 수법을 곧잘 쓰는 언론과 검찰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윤 의원에 대한 미안함과 응원을 담은 민주당 의원들의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언론과 검찰은 물론, 마녀사냥에 동조했던 지식인 등 이른바 여론주도층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윤미향 의원(가운데)이 10일 서부지법에서 '정의연 후원금 횡령' 사건 1심 선고 공판을 마친 후 강민정 의원(왼쪽)과 함께 나오고 있다. 2023.2.10. 연합뉴스

윤 의원의 선고 공판을 직접 방청한 강민정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마녀' 윤미향의 죄는 단 한 개를 제외하고 15개가 넘는 세상 악질적 죄목 모두 '무죄' 판결났다"며 "횡령죄라 불린 그 단 한 개 죄도 판결문에 의하면, 단체 돈 1700만 원 횡령했는데 그보다 많은 금액을 단체에 기부한 사람에게 내려진 1500만 원 벌금이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인권을 지키고, 무엇보다 식민지배에 대한 일본의 사과를 받기 위해 30년 헌신한 윤미향은 그동안 곳곳에서 받은 1억 가까운 강사료를 단체에 기부해 왔다"며 "이상하지 않느냐? 1억 기부한 사람이 1700만 원 횡령해 벌금을 내야 한다는 사실이? 윤미향이 끝까지 '마녀'로 남아 있기를 바라는 이들을 의식한 판결이라고밖에 생각할 수 없었다"고 했다.

강 의원은 "지난 2년 8개월 동안 '마녀'로 살아야 했던 윤미향은 진짜 죽을 생각도 했다고 최후진술에서 말했다"면서 "그동안 혼자 온갖 공격을 견디며 외롭게 싸워온 윤미향에게 미안하고 고마울 따름"이라고 밝혔다.

김상희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윤미향 의원에 대한 검찰의 무리한 기소가 대부분 무죄로 밝혀졌다"며 "순식간에 '피해자 돈을 훔친 파렴치한 도둑'으로 몰렸고, 오랜 세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활동해온 삶을 부정당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윤미향 의원에 대한 마녀사냥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모욕과 공격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면서 "오늘 이후 윤미향 의원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향한 거짓에 기반한 악의적인 모욕을 멈추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양이원영 의원은 "검사와 언론의 마녀사냥의 결과"라며 "온갖 횡령죄와 파렴치범으로 몰아가더니 7개 혐의 중 6개 혐의 무죄, 통장 섞어 썼다고 벌금"이라고 지적하고 "윤미향 의원님 고생 많으셨습니다"라고 전했다.

정춘숙 의원은 "마녀사냥식으로 희대의 파렴치범으로 한 사람을 몰아가던 소위 우리 사회 여론주도층들과 언론들은 지금은 뭘 하고 있나요??"라고 꼬집었다.

민주당은 지난 2021년 6월 의원총회를 거쳐 윤 의원을 제명, 출당 조치했다. 표면적으론 '주택 차명 보유' 의혹 때문이었으나 실제론 정의연 의혹과 관련한 언론의 융단 폭격과 검찰 수사가 미친 영향이 컸다.

당시 윤 의원의 남편 김삼석 씨는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지금 작태가 노모의 비바람 막아 줄 함양 교산리 집 구입이 소위 부동산 명의신탁이라는 것"이라며 "이게 부동산 투기냐. 이게 부동산 투기 의혹이냐. 묻고 싶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어 "부동산 투기는 전혀 없다. 제대로 파악하지도 않고 소탐대실하는 민주당 지도부에 큰 실망이다. 마구잡이로 써 재끼는 언론에도 경고한다"면서 "대선을 앞두고 잘 짜여진 각본처럼 놀아나는 독화살을 품은 민주당 지도부와 보수 언론들의 펜대 놀음의 끝이 어디로 갈지 염려가 된다"고 민주당 지도부에 거듭 실망감을 표시했다.

결국 경찰은 부동산 불법 거래 사실이 없다고 판단해 윤 의원을 무혐의 처리했지만 민주당은 좌고우면하다 "다른 재판 결과 등을 종합해 판단할 것"이라며 끝내 복당시키지 않았다. 대선을 앞두고 윤 의원이 복당하는 게 부담스러웠던 것이다.

이 같은 민주당의 기회주의적 처사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시민사회에서 적지 않게 제기됐지만 민주당은 외면과 회피로 일관하며 법안 처리를 위한 국회 상임위 투표 등 아쉬울 때만 윤 의원이 가진 '의석 1석'을 이용해 왔다.

윤 의원은 무소속 신세임에도 지난 대선 때 이재명 당시 민주당 후보 지지를 선언했었다. 이번 판결 결과에 따라 당내에서 윤 의원의 명예 회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윤 의원 복당 문제가 다시 검토될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