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민주당 지지도 소폭 동반 상승

[한국갤럽]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 54%→56%

민주당 지지율도 4%p 오른 43%, 국힘당과 격차 18%p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적절' 37%, '부적절' 44%

향후 1년간 경제 ‘좋아질 것’ 33%, ‘나빠질 것’ 42%

2025-10-24     강기석 에디터

한국갤럽이 2025년 10월 넷째 주(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이념성향: 보수 293명, 중도 343명, 진보 254명)에게 이재명 대통령이 현재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잘못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물은 결과(2점 척도, 재질문 1회), 56%가 긍정 평가했고 33%는 부정 평가했다. 11%는 의견을 유보했다.(표본오차 ±3.1%포인트, 95% 신뢰수준) 지난주 조사에 비해 긍정 평가는 2%포인트 오르고 부정 평가는 2%포인트 떨어졌다.

대통령 직무 수행: 40·50대 긍정률 70%대 중반, 중도층은 59%

이 대통령이 '잘하고 있다'는 평가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93%), 성향 진보층(89%), '잘못한다'는 국민의힘 지지층(75%)과 보수층(60%)에서 두드러진다. 중도층은 59%가 긍정적, 29%가 부정적으로 봤다. 연령별로 보면 40·50대에서 긍정률 70%대 중반으로 높고, 이외 연령대에서는 긍·부정률 격차가 15%포인트 이내로 쏠림이 덜한 편이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이하 '가중적용 사례수' 기준 563명, 자유응답) '경제/민생'(19%), '외교'(14%), '전반적으로 잘한다', '소통'(이상 7%), '직무 능력/유능함'(6%), '추진력/실행력/속도감'(5%), '서민 정책/복지', '전 정부 극복'(이상 4%), '주가 상승', '열심히 하다/노력한다'(이상 3%)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는(325명, 자유응답) '외교'(15%), '부동산 정책/대출 규제'(11%), '친중 정책/중국인 무비자 입국'(9%), '경제/민생'(8%), '전반적으로 잘못한다'(7%), '독재/독단', '도덕성 문제/자격 미달'(이상 6%), '과도한 복지/민생지원금'(4%), '좌 편향', '법을 마음대로 변경'(이상 3%) 등을 이유로 들었다.

 

현재 지지하는 정당은(당명 로테이션, 재질문 1회) 더불어민주당 43%, 국민의힘 25%, 조국혁신당 3%, 개혁신당 2%, 진보당 1%, 이외 정당/단체 1%, 지지하는 정당 없는 무당(無黨)층 25%다. 추석 전후 40%를 살짝 밑돌던 여당 지지도가 40%선을 회복했고, 국민의힘은 석 달째 20%대 중반이다.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74%가 더불어민주당, 보수층에서는 56%가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중도층에서는 더불어민주당 46%, 국민의힘 15%,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유권자가 34%다.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적절하다' 37%, '적절하지 않다' 44%

주택 유무별, 거주지별 차이보다 정치적 태도별 시각 차 큰 편

정부가 10월 15일 서울 전체·경기 12곳 규제지역·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 강화 등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그에 대한 여론은 '적절하다' 37%, '적절하지 않다' 44%로 엇비슷하게 나뉘었고, 19%는 의견 유보했다. 성향 진보층은 57%가 적절, 보수층은 67%가 부적절하다고 답해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의 집을 가진 유주택자(적절 41%:부적절 44%)와 무주택자(31%:44%)나 거주지별 차이보다 정치적 태도별 시각 차가 더 큰 편이다.

 

한국갤럽의 7월 8~10일 부동산 정책 평가에서는 긍정 35%, 부정 25%였고, 40%가 평가를 유보했다. 당시로서는 대책 효과를 판단하기 이르고, 후속 정책이 어떨지 관망하는 것으로 봤다이어 출범 100일 무렵인 9월 9~11일 부동산 정책 평가에서는 긍정 32%, 부정 35%로 7월 대비 부정률이 10%포인트 늘었다(평가 유보 34%).

(참고로, 지난 윤석열 정부는 2022년 8월부터 1년간 부동산 정책 긍정률이 30% 안팎이었으나, 이후 하락해 2024년 11월 17%로 끝났다.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긍정률 최고치는 출범 초기인 2017년 8월 44%, 최저치는 2021년 9월 6%다 19회 조사 평균 22%. 부정률은 2018년 9월, 2019년 12월, 2020년 7월 등 집값 상승 전망이 급증할 때마다 동반 상승했고 2021년 9월 최고치 79%에 달했다)

부동산 보유세 '높여야' 26%, '낮춰야' 27%, '현 수준 유지' 33%

성향 진보층 44% '인상', 보수층 40% '인하', 중도층 37% '유지'

‘보유세 강화, 취득세·양도소득세 완화’ 주장: 찬성 54%, 반대 27%

부동산 공시가격에 따라 부과하는 재산세, 일정 기준 이상 주택 보유자에게 부과하는 종합부동산세를 일컬어 부동산 보유세라고 한다. 부동산 보유세 수준에 관해서는 '현재보다 높여야 한다' 26%, '현재보다 낮춰야 한다' 27%, '현재대로 유지해야 한다' 33%로 엇비슷하게 갈렸고, 14%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 역시 주택 유무나 거주지보다 정치적 태도별로 뚜렷한 차이를 드러냈다. 성향 진보층은 44%가 부동산 보유세 인상(유지 31%, 인하 17%), 보수층 40%는 인하(유지 34%, 인상 15%), 중도층은 37%가 유지(인상 28%, 인하 23%)를 바랐다.

부동산 보유세를 높이고, 부동산 거래 시 취득세와 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는 낮추자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찬성 54%, 반대 27%, 의견 유보 18%로 나타났다. 선행 10.15 대책, 보유세 증감, 주택 유무, 정치적 태도 등 대부분 응답자 특성에서 절반가량 찬성으로 수렴해, 일종의 절충안으로 받아들일 만하다고 본 듯하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개념적 방향성에 대한 인식일 뿐, 실제 세제 개편 시에는 조정 대상과 폭에 따라 달리 반응할 수 있다. 현재 정부와 여당은 부동산 세제 개편을 공식화하고 있지 않지만, 구윤철 경제부총리 등이 '보유세 강화, 거래세(취득세, 양도소득세) 완화'를 거래 활성화의 한 방편으로 언급한 바 있다.

경기 낙관론 6월 대선 직후 대비 19%포인트 감소

향후 1년간 살림살이 전망도 활황 국내 증시와 온도차

한국갤럽이 2017년 9월부터 매월 1회 전국 유권자 1000명 대상으로 실시하는 경제 전망 조사 결과 33%가 '좋아질 것'이라고 내다봤고, 42%는 '나빠질 것', 22%는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다. 3%는 의견을 유보했다. 경기 낙관론은 지난 6월 8년 내 최고치(52%)에서 19%포인트 감소, 같은 기간 비관론은 최저치(25%)에서 17%포인트 증가했다. 두 달째 비관론이 낙관론을 앞선다.

 

향후 1년간 살림살이에 대해서도 '좋아질 것' 24%, '나빠질 것' 26%, '비슷할 것' 49%로 나타났다. 살림살이 전망 역시 지난 6월에 8년 내 가장 긍정적 수치를 기록했으나 8월부터는 한풀 꺾인 모양새다.

정권 교체 전까지 살림살이 전망은 경기 전망에 비해 정치적 태도보다 생활수준 상하 간 차이가 컸는데, 6월 이후로는 그렇지 않다. 경기 전망 못지않게 살림살이 전망에서도 성향별 대비가 뚜렷하다: 살림살이 전망 순지수(낙관-비관) 기준 생활수준 상/중상층 +11, 하층 -28; 성향 진보층 +22, 보수층 -25; 대통령 직무 긍정 평가자 +25, 부정 평가자 –43. 교차집계표의 Net Score(순(純) 지수)는 낙관-비관 응답 비율의 차이다. 양수(陽數)가 클수록 낙관론이, 음수(陰數)가 클수록 비관론이 우세하다고 볼 수 있으며 0에 가까울수록 낙관·비관 격차가 작음을 의미한다.

 

코스피(KOSPI, 종합주가지수)가 10월 20일 종가 기준 첫 3800, 23일 장중 첫 3900 돌파하는 등 호황인데도 이번 달 경기·살림살이 전망은 연일 기록 경신 중인 국내 증시와 온도 차가 있다. 이는 집값·환율 불안정, 관세 협상 불확실성, 대외 관계 등 불안 요소가 산재한 탓으로 추정된다. 한편, 보수층에서는 경기 비관론이 한층 강해졌다(6월 50%→10월 66%).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