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청문회 앞 폭주하는 '윤석열차 방송장악'
방통위, KBS·MBC 이사장 동시 해임절차 착수
이달 중순 전체회의 열어 해임 의결할 듯
이사진 여야 구성 역전 땐 방송사 사장 교체 가능
이동관 '방송장악 없다' 허언…총선 전 완료 전략
(본 기사는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8월 중순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자 청문회를 앞두고 윤석열 정부의 공영방송 장악 혹은 파괴를 위한 시나리오가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청문회 보고서 채택 여부와 상관없이 윤석열 대통령이 이달 중 이동관 방통위원장을 임명하고 같은 시기 KBS·MBC 이사진 교체→경영진·보도국장 교체를 통해 총선 전 공영방송 장악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으로 보인다.
방송통신위원회는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권태선 이사장과 김기중 이사를 해임하는 절차에 착수했다고 2일 연합뉴스와 한겨레 등이 보도했다. 이상인 방통위 상임위원(윤석열 대통령 추천)이 2일 예고 없이 방통위 전체회의에서 권 이사장과 김 이사의 해임을 건의했고, 방통위는 3일 권 이사장과 김 이사에게 해임을 위한 청문절차 개시를 통보했다는 것이다. 방통위는 이달 중순쯤 전체회의를 열어 해임안 의결 절차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방통위가 임기가 아직 남은 권태선 이사장을 해임하겠다는 사유는 MBC 경영에 대한 관리·감독 소홀과 안형준 MBC사장 선임이다. 김기중 이사의 경우, 안형준 사장의 차명주식 의혹에 관한 방문진 특별감사 당시 참관인으로 참여했다는 것이 해임 사유로 알려졌다.
이와 별도로 감사원은 3일 권 이사장을 소환·조사하기로 했으며, 방통위도 4일부터 방문진에 대한 현장 검사·감사를 벌이기로 하는 등 전방위적인 압박을 가하는 중이다. 권 이사장에 대한 감사원 조사는 지난해 공정언론국민연대라는 단체가 ‘방문진의 MBC 방만 경영에 대한 관리·감독 해태 의혹’ 관련 국민감사를 청구하면서 시작됐다. 공정언론국민연대는 윤석열 대선 후보 캠프와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 공영방송 간부·경영진 출신 언론인, 국민의힘 지지 언론인들이 모여 만든 윤석열 정부 지지 단체다.
방통위는 이달 중순 전체회의에서 권 이사장, 김 이사 해임의결과 함께 남영진 KBS 이사장 해임 의결도 동시에 진행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남 이사장의 KBS 방만 경영 방치, 법인카드 부정 사용 의혹 등을 해임 사유로 제기하고 있다.
언론계 안팎에서는 남영진·권태선 이사장에 대한 해임이 윤석열 정권의 방송 장악을 위한 정치 작업의 수순으로 보고 있다. 두 이사장의 해임 사유가 실체가 없거나 과장되었고, 실제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해임에 이르게 할 만큼의 과실이라고 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윤석열 정권은 지난해 출범 이후 한상혁 방통위원장에 대한 기소·면직 등을 통해 결국 위원장 대행의 파행 체제를 조성한 뒤 공영방송 이사회 교체 작업을 벌여왔다. 총 11명으로 구성된 KBS 이사회의 경우 이미 해임된 윤석년 이사와 남 이사장의 공석을 여권 인사가 채우게 되면 여야 4대7에서 6대5로 정치적 구도가 역전된다. MBC 방문진도 9명의 이사 가운데 권 이사장, 김 이사가 해임되면 여권 인사가 5명이 되어 다수를 차지하게 된다.
KBS이사회와 MBC방문진 이사회에 여권 성향 인사가 다수를 점하면 두 공영방송 사장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방송사 사장 교체는 보도국 간부 교체를 불러와 두 공영방송이 과거 이명박·박근혜 시절처럼 친정부·친여당 어용방송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동관 후보자는 2일 기자회견에서 ‘언론은 장악될 수도 없고 장악되어서도 안된다’고 말했지만, 윤 정부의 방송장악은 이미 용의주도하게 진행 중이며 총선을 10개월여 앞두고 더욱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