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희생자 감추기야말로 패륜이고 2차 가해"
'패륜' '2차 가해' 프레임에 시민들 반발 확산
"차제에 명단 공개 사회적 합의 끌어내야" 조언도
시민언론 민들레가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을 공개하자 국민의힘과 기성 언론들이 반발하며 들고 나온 프레임은 '패륜'과 '2차 가해'였다.
‘유족 동의 없는’이라는 단서를 붙이기는 했으나 공개 자체가 패륜이고 2차 가해라는 논리였다. 이른바 진보매체와 진보단체들도 이에 동조했고 정의당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를 두고 시민들 상당수가 온라인상에서 반론을 펼쳤다. 특히 "정부의 희생자 감추기야말로 패륜이고 2차 가해 아니냐"는 분노의 목소리가 많았다. "유족들에게 이름 공개 여부에 대해 단 한 번도 묻지 않았던 윤석열 정부와 여당이 패륜 운운 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국민의힘 인사들의 발언에 대해서는 시민들이 일일이 팩트체크에 나섰다.
주호영 원내대표의 "유족 대부분이 공개를 원치 않는 것을 누가 함부로 공개했는가"라는 발언에 대해서는 "거짓말 하지 말라. 정부에서 유족에게 물어봤다는 얘기를 단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외교부가 "외국인 희생자 유족들이 명단 공개를 원치 않는다"고 발표한 데 대해서는 "그런 거짓말이야 말로 패륜이고 2차 가해"라고 지적했다.
언론을 향해서는 조롱 섞인 비판이 쏟아졌다.
"과거의 모든 참사 때마다 앞다퉈 희생자 명단을 보여주던 신문과 방송들이 갑자기 입장 바꿔 패륜 타령을 하니 변신 로봇이 따로 없다", "당신들의 과거 명단 공개도 패륜이었느냐. 그렇다면 그 패륜에 대해 사과부터 하라"는 등의 쓴소리가 줄을 이었다.
"차제에 우리 사회가 참사 희생자들의 명단 공개에 대한 사회적 논쟁을 시작해야 한다", "정쟁을 멈추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계기로 삼자"는 조언도 있었다.
'촛불행동' 김민웅 상임대표의 페이스북 글 중에서
“어느새 우리 사회가 공동체 의식이 소멸되어가면서 공적 정보를 동의 대상이 되는 사적 정보로 둔갑시켜도 반발하지 않는 사회가 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합니다. 윤석열 정권과 기타 여러 단체들은 이걸 이용하고 있거나 이를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것입니다. 한 진보 지식인이 명단 공개에서 적개심까지 느낀다며 퇴진을 선동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그가 희생자에 대해 비통함과 이 정권의 대응에 대한 분노가 치밀어 퇴진이 추모라고 스스로 먼저 외치는 이 나라 민중의 심정을 이해하지 못하게 된 감정능력 손상과 의식 해체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대중과 함께 있지 않은 이의 과잉된 관념적 소신은 현실을 증발시키게 마련입니다. 언론노조와 민변도 다르지 않습니다. 시민언론 민들레는 이런 생각과 태도에 맞선 것입니다. 공적 정보의 사회적 가치를 명확히 인식한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