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상승에…3월 수출입물가 두 달째 올라

수출물가지수 2.0%↑·수입물가지수 0.8%↑

환율 반영 안한 계약통화 기준지수는 내려

2023-04-13     유상규 에디터
1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상반기 붐업코리아 수출상담회에서 바이어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2023.4.12. 연합뉴스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지난달 수출입물가지수가 두 달 연속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3월 기준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15년 수준 100)는 117.52로 2월(115.25)보다 2.0% 상승했다. 지난 2월의 0.8% 오른 데 이어 두 달 연속 상승세다.

품목별로 화학제품(2.8%), 컴퓨터·전자·광학기기(2.2%) 등의 수출가격이 올랐고, 농림수산품(-2.3%), 석탄·석유제품(-0.5%) 등은 내렸다.

세부 품목별로는 냉동수산물(-2.4%), 제트유(-3.7%), 경유(-1.6%) 등이 내렸으나, 자일렌(4.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8.2%), D램(2.0%) 등은 올랐다.

지난달 원/달러 평균환율은 1,305.73원으로 전월 대비 2.8% 올랐다. 원화로 환산하지 않은 계약통화 기준 수출 물가는 전월보다 0.6% 하락했다.

전년 동월 대비 수출물가지수는 6.4% 내렸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석유제품 가격이 내리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정보기술(IT) 가격 내림세가 지속됐기 때문이다.

3월 수입물가지수는 138.86으로 2월(137.82)보다 0.8% 상승했다. 수입물가도 2월(1.9%)에 이어 두 달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용도별로 원재료는 광산품(-1.6%)을 중심으로 전월보다 1.1% 하락했다. 중간재는 화학제품(2.2%), 제1차 금속제품(1.3%) 등이 오르며 전월보다 1.6% 상승했다.

세부 품목 가운데 돼지고기(6.8%), 화학첨가제(4.8%), 동정련품(2.3%) 등이 많이 올랐다.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국제유가 하락에도 환율이 상승하면서 화학제품, 제1차금속제품을 중심으로 원화 기준 수입물가지수가 상승했다"고 말했다.

국제 유가는 2월 평균 82.11달러(두바이유·배럴당)에서 3월 78.51달러로 4.4% 하락했다.

계약통화 기준 수입 물가는 전월보다 1.8% 내렸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