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미분양 10년만에 최대인데…정부 "개입할 상황 아냐"

전월보다 10% 늘어난 7만 5천호 넘어서

업계 '특단 조치' 요구에 정부 "자구노력 우선"

2023-02-28     유상규 에디터
GS건설의 '영등포자이 디그니티'가 지난 24일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에 견본주택을 열고 본격적인 분양 일정에 들어갔다. 정부가 1·3 대책을 발표한 후 서울에서 입주자 모집공고를 내고 청약을 진행하는 첫 단지다. 2023.2.24 연합뉴스

미분양 주택이 크게 늘어나면서 해소책을 놓고 건설업계와 정부가 서로 책임을 미루는 모양새다.

지난 1월 중 미분양 주택은 전달보다 10% 증가한 7만 5000가구를 넘어섰다. 10년 2개월만에 최대 규모다.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 5359호로 전달(6만 8148호)보다 10.6% 증가했다. 2012년 11월(7만 6319호) 이후 10년 2개월 만에 최대치다.

미분양 주택이 늘어나는 속도는 다소 둔화했다. 지난해 11월과 12월은 1만호씩 증가했으나 1월엔 7211호가 늘었다.

미분양 물량의 84%는 지방에 몰려있다.

지난달 수도권 미분양은 10.7%(1181호) 늘어난 1만 2257호였지만, 지방은 10.6%(6030호) 증가한 6만 3102호나 됐다. 수도권과 지방이 증가율은 비슷하나 물량은 지방이 훨씬 많은 상태다.

규모별로는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이 전달보다 25.9% 증가한 8926호였고, 85㎡ 이하 미분양은 6만 6433호로 전월 대비 8.8% 늘었다.

공사가 끝났는데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7546호로 전월보다 0.4%(28호) 증가했다.

 

건설업계에서 이처럼 많아진 미분양 해소를 위해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는 분양가를 낮추는 등 건설사의 자구 노력으로 미분양 물량의 상당 부분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1월 미분양이 늘어난 지역이 주로 외곽이나 분양가가 인근 시세보다 높았던 곳이라는 게 그 근거다.

정부는 특히 1월 미분양은 지난해 4분기 분양 물량이 늘어난 데 따른 영향을 상당 부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분양 물량은 지난해 2분기 5만 1000호, 3분기 7만 2000호, 4분기엔 9만 9000호로 늘면서 미분양이 늘었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준공후 미분양은 한 달 간 28호 증가한 수준이고, 지난해 미분양이 급증한 대구에서도 1월 미분양은 120호 증가에 그쳤다"며 "현재 상황만으로 미분양이 심각하다고 속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앞서 원희룡 국토부 장관도 "현재 미분양은 건설사의 가격 할인 등 자구 노력으로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는 일시적인 마찰성 미분양이라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원 장관은 준공 후 미분양도 장기 평균의 4분의 1 수준이라 정부가 개입할 정도는 아니라면서, 건설업계가 요구하는 미분양 주택 매입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