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교체 후 우리 사회 ‘안전하다’ 인식 크게 높아져
[전국지표조사] ‘대형사고’ 안전 인식 39%→57%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긍정 5%p 올라 61%
정당 지지도, 민주당 42%, 국힘 21%, 태도유보 27%
정권교체 이후 우리 사회의 안전에 대한 인식이 크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4개사가 11월 10~12일(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274명, 중도 351명, 보수 287명)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 방식의 전국지표조사(NBS·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3.1%p)에서, 우리 사회 분야별 안전 인식을 조사한 결과 자연재해는 65%, 범죄는 64%, 대형사고는 57%, 산업 현장은 49%의 응답자가 ‘안전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25년 5월 조사 대비 ‘안전하다’는 인식이 높아진 가운데 ‘자연재해’와 ‘대형사고’에서 ‘안전하다’는 응답 비율의 변화 폭이 컸다.(자연재해 48%→65%, 대형사고 39%→57%)
국정운영, 신뢰한다 61% > 신뢰하지 않는다 33%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서도 ‘잘하고 있다(매우+잘함)’는 긍정적 평가는 61%, ‘잘못하고 있다(매우+못함)’는 부정적 평가는 29%로 조사됐다(모름/무응답 10%). ‘잘하고 있다’는 긍정 평가는 직전 조사(56%) 대비 5%p 올랐고 부정 평가(35%)는 6%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 보면, 진보 성향층(n=274)과 중도 성향층(n=352)에서는 긍정 평가가 각 90%, 66%로 높은 반면, 보수 성향층(n=288)에서는 부정 평가가 61%였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서도 ‘신뢰한다(매우+신뢰함)’는 응답이 61%로 높게 나타났다. ‘신뢰하지 않는다(전혀+신뢰하지 않음)’는 응답은 33%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 성향층(n=274)과 중도 성향층(n=352)에서는 ‘신뢰한다’는 응답이 각 91%, 66%로 높은 반면, 보수 성향층(n=288)에서는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7%였다.
정책 추진을 잘할 것 같은 정당, 모든 분야 민주당 우세
복지 정책에서 국힘당과 격차 가장 크고, 부동산 정책 가장 작음
정당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2%, ‘국민의힘’ 21%, ‘조국혁신당’ 4%, ‘개혁신당’ 3%, ‘진보당’ 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태도유보’(없다+모름/무응답) 27%). 지난 조사 대비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도 격차가 벌어진 양상(145p→21%p)을 보였다.
각 정책 부문별로 가장 잘 추진할 것 같은 정당을 질문한 결과, 복지 정책(민주 54% vs. 국힘 17%), 외교·통상 정책(민주 53% vs. 국힘 23%), 남북관계 및 안보 정책(민주 50% vs. 국힘 25%), 방역 보건 정책(민주 49% vs. 국힘 19%), 고용 정책(민주 46% vs. 국힘 18%), 양극화 해소 정책(민주 44% vs. 국힘 18%), 부동산 정책(민주 34% vs. 국힘 26%) 등 모든 정책 분야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우세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두 정당 간 격차가 적은 분야는 부동산 정책 분야였다.
초심야배송 제한: ‘현행 유지’ 49%, ‘일정 부분 제한’ 45%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초심야배송을 제한하자는 의견에 대해 ‘소비자 편익을 위해 지금처럼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 49%,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심야 배송을 일정 부분 제한해야 한다’ 45%로 비슷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 미만(18-29세 56%, 30대 58%)에서 ‘지금처럼 유지’ 응답이 타 연령층 대비 높게 나타났다. 자영업 종사자의 경우, ‘지금처럼 유지’가 60%로 특히 높게 조사됐다. 진보 성향층(n=274)에서는 ‘일정 부분 제한’ 응답이 59%인 반면 보수 성향층 (n=288)에서는 ‘지금처럼 유지’가 63%였다.
정부 재정 방향: ‘긴축 재정’ 50%, ‘확장 재정’ 38%
정부의 재정 운용 기조와 관련해 ‘국가 재정이 안 좋으므로 긴축 재정이 필요하다’는 응답 50%로, ‘민간 경제가 안 좋으므로 확장 재정이 필요하다’ 38%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40~50대에서는 ‘확장 재정’을, 타 연령대에서는 ‘긴축 재정’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고, 진보 성향층(n=274)에서는 ‘확장 재정 필요’ 응답이 57%로 높은 반면, 중도 성향층(n=352)과 보수 성향층(n=288)에서는 ‘긴축 재정 필요’가 각각 49%, 70%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