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극우행보에…유럽 "테슬라 차 안 산다" 반발
테슬라 차 판매 프랑스 63%, 독일 59.9% 감소
EV 구매계약 파기 60%가 “머스크 극우행보 탓”
X 규제 움직임도-독일 대학들 다수 X 사용 중단
도널드 트럼프 정부와 손잡은 세계 최대갑부 일론 머스크의 극우적 행보 때문에 그가 소유한 전기자동차(EV) 생산업체 테슬라의 자동차 판매가 유럽에서 급락하고 있다. 또 그의 소셜 미디어 X(예전 트위터)에 대한 사용 중단 조치도 잇따르고 있다.
테슬라 차 판매 프랑스 63%, 독일 59.9% 감소
독일 연방자동차국에 따르면, 지난 1월 독일에서 신규 등록된 테슬라 EV는 1277대로,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59.9%나 줄었다. 독일 EV시장이 연간 50% 이상 커졌기 때문에, 이같은 결과는 테슬라 EV의 판매가 매우 부진하다는 걸 의미한다고 일본 <마이니치신문>이 10일 독일 연방자동차국의 발표를 인용해 보도했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는 유럽 다른 나라들에서도 지난 달의 테슬라 자동차 판매 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크게 줄었다며, 프랑스의 경우 63%나 줄었다고 보도했다. 스웨덴(44%), 노르웨이(38%), 영국(8%)에서도 테슬라 차 판매가 줄었다.
이런 판매 부진 원인에 대해, 유럽 언론들은 소비자들이 인기 차종의 갱신을 기다리며 구입을 미루고 있는 탓도 있지만, 극우 정당들을 지지하는 등 유럽 정치에 개입하는 머스크의 정치적 언행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EV 구매계약 파기 60%가 머스크 극우행보 탓
머스크는 오는 23일 실시되는 독일 총선거를 앞두고 독일 극우 정당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 독일의 “유일한 희망”이라며 공개적으로 지지 발언을 하고, X를 통해 AfD 당수 알리스 바이델과 장시간 대담을 하는 등 지속적인 지지 행보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중도좌파인 영국 집권 노동당의 키어 스타머 총리에 대해서는 “사퇴하라”며 압박하고 있다.
유럽은 머스크가 친환경적이라는 전기자동차를 대량 생산 판매하고 있지만,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지구 대기 평균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1.5도 이하로 억제하자는 파리협정을 탈퇴하고 천연가스와 석유 등 화석연료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는 정책을 밀어붙이는 반환경적 트럼프를 지지하고 그의 정부 요직(정부효율화서비스부 책임자)까지 차지한 것에 대해서도 못마땅해 하며 경계하고 있다.
영국 EV정보 인터넷 사이트 ‘일렉트리파잉(Electrifying.com)’ 이 지난 1월에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EV 소유자나 구입을 검토하고 있는 사람의 60%가 머스크의 언행을 계약 파기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독일 남서부의 한 사업가가 만든 “나는 이 테슬라 차를, 머스크가 미치기 전에 샀다”는 스티커를 사겠다는 주문이 발매 1주일도 되지 않아 2000건이나 밀려들었다는 현지 언론 보도를 인용해 전하기도 했다. “소비자들이 머스크의 유럽 정치 개입에 반발”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독일 대학들 테슬라의 X 사용 중단
독일의 많은 대학들에서는 머스크 소유 소셜 미디어 X 게재 글의 화면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AI(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한 우려 때문에 X 이용 자체를 중단했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소셜 미디어가 민주주의를 침식하고 있다”며 유럽연합(EU)에 대책을 세우라고 촉구했다.
머스크의 재무부 결제 시스템 접속권한 일단 중지
한편, 미국 연방법원은 8일(현지시각) 머스크가 수장으로 있는 트럼프 정부의 정부효율화서비스부(DOGE)에 부여된 재무부 결제 시스템 접속 권한을 일단 중지하도록 함으로써, 이 문제를 둘러싼 논란을 일단 잠재웠다.
뉴욕 남부연방법원의 폴 엥겔마이어 판사는 DOGE의 해당 권한이 유지될 경우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우려된다며 이같은 내용의 긴급 임시명령을 내리고, 재무부 시스템에서 내려받은 모든 자료의 사본을 즉각 파기할 것도 명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이날 보도했다. 엥겔마이어 판사는 DOGE의 접속으로 민감한 기밀 정보가 공개되고 시스템이 해킹에 더 취약해질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엥겔마이어 판사는 현행법상 재무부 재정국의 기록에 대한 접근권은 직무수행의 필요에 따라 전문성을 갖춘 공무원에게만 부여될 수 있다고 봤다. 이에 따라 재무부 소속이 아닌 정무직 및 특별 공무원 등은 재무부 결제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