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경기, 2년 전 수준으로 후퇴

생산지수 23개월 만에 최저

가동률 2.7%P 줄어 바닥권

세계 경기 둔화로 수출 감소

이르면 4분기 역성장 전망도

2022-12-04     유상규 에디터

세계 경기 둔화로 인한 수출 감소와 국내 소비 둔화로 국내 제조업 경기가 2년 전 수준으로 후퇴했다. 투자 전망도 밝지 않아 올 4분기 또는 내년 1분기에 우리 경제가 역성장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10월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기준)는 전월보다 3.6% 감소한 110.5(2015=100)였다. 이는 2020년 11월(109.6) 이후 23개월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생산능력 대비 실제 얼마큼 생산됐는지 실적을 보여주는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전월보다 2.7%포인트 하락한 72.4%로 2020년 8월(70.4%) 이후 가장 낮았다.

제조업 경기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의 충격을 받은 2020년 수준으로 되돌아간 셈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중국의 경기 둔화 등으로 수출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제조업 경기가 직접적으로 타격을 받는 모습이다.

지난 10월 수출은 1년 전보다 5.7% 줄어 2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바 있다. 지난달 수출 감소율은 14.0%로 더 크게 줄면서 제조업 전망은 어두워지고 있다.

제조업의 침체가 가시화하면서 가계 소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제조업에 종사하는 가구주가 벌어들인 근로소득은 전체 가구주 근로소득 가운데 26.9%를 차지했다. 이는 도소매업(9.3%),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8.2%), 건설업(7.8%) 등을 웃도는 비중으로 전 산업 가운데 가장 크다.

제조업 경기가 부정적으로 돌아선다면, 가계 소득에 일정 부분 악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다. 이는 최근 한국경제 성장을 견인한 소비를 제약하는 요인이다. 고물가·고금리에 더해 악재가 하나 더 얹어지는 것이다.

수출은 감소하고 소비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투자에 대한 전망도 밝지 않다.

지난 10월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보합(0.0%)을 기록했지만, 향후 국내 설비 투자의 동향을 예고하는 국내기계수주는 9월(-25.8%), 10월(-13.5%) 두 달 연속 감소했다.

10월 주요 지표들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4분기 한국경제가 역성장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기준 2020년 2분기(-3.0%) 이후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이 없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